• 제목/요약/키워드: SCADA Security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4초

SCADA 시설에 대한 보안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 Security Safeguard Plan for SCADA Infrastructure)

  • 정윤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53-160
    • /
    • 2006
  • 현재 제어시스템은 국가 기간시설 및 대규모 산업 플랜트 등 우리 생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하여 SCADA 시스템을 운영하고, 이런 SCADA 시스템은 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운영하는 추세이다. 또한 SCADA 시스템의 운영체제는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운영체제인 윈도즈나 유닉스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에 물리적으로 별도 네트워크로 안전하게 운영되던 시스템을 정보시스템에 대한 위협요소인 사이버테러에 노출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정보시스템보다 제어시스템에 대한 사이버테러 가능성은 아직까지는 미비하지만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사이버테러가 발생하면 국가, 사회전반에 매우 큰 규모의 피해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SCADA 시설에 대한 보안강화 방안을 제시하여 체계적인 보안전략을 마련하고 구현함으로써 보안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

Securing Internet-based SCADA Wireless Component Communication

  • Robles, Rosslin John;Kim, Tai-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4권1호
    • /
    • pp.3-7
    • /
    • 2012
  • Traditionally SCADA is connected only in a limited private network. With new technology and facilities, there are also demands of connecting SCADA though the internet. The internet SCADA facility has brought a lot of advantages in terms of control, data viewing and generation. Aside from connecting SCADA to the internet, there are also operators who want to connect their system wirelessly. This can save budget for communication lines. Along with the advantages it brings, are security issues regarding wireless internet SCADA. In this paper, we discuss internet SCADA, its connec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urity issues surrounding it. To answer the security issues, a symmetric-key encryption for internet SCADA is proposed.

Wide-Area SCADA System with Distributed Security Framework

  • Zhang, Yang;Chen, Jun-Lia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4권6호
    • /
    • pp.597-605
    • /
    • 2012
  • With the smart grid coming near, wide-are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However, traditional SCADA systems are not suitable for the openness and distribution requirements of smart grid. Distributed SCADA services should be openly composable and secure. Event-driven methodology makes service collaborations more real-time and flexible because of the space, time and control decoupling of event producer and consumer, which gives us an appropriate foundation. Our SCADA services are constructed and integrated based on distributed events in this paper. Unfortunately, an event-driven SCADA service does not know who consumes its events, and consumers do not know who produces the events either. In this environment, a SCADA service cannot directly control access because of anonymous and multicast interactions. In this paper, a distributed security framework is proposed to protect not only service operations but also data contents in smart grid environments. Finally, a security implementation scheme is given for SCADA services.

Key Distribution Process for Encryption of SCADA Communication using Game Theory applied Multiagent System

  • Kim, Hak-Man;Kang, Dong-Joo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34-43
    • /
    • 2009
  • 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has been used for remote measurement and control on the critical infrastructures as well as modem industrial facilities. As cyber attacks increase on communication networks, SCADA network has been also exposed to cyber security problems. Especially, SCADA systems of energy industry such as electric power, gas and oil are vulnerable to targeted cyber attack and terrorism Recently, many research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have made progress on SCADA network security. In this paper, flexible key distribution concept is proposed for improving the security of SCADA network using Multiagent System (MAS).

안전한 SCADA 통신을 위한 트리 기반의 효율적인 키 관리 구조 (Advanced Key Management Architecture Based on Tree Structure for Secure SCADA Communications)

  • 최동현;이성진;정한재;강동주;김학만;김경신;원동호;김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1호
    • /
    • pp.37-50
    • /
    • 2009
  •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은 국가 기반시설에서 주로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이다. 과거 SCADA 시스템은 폐쇄 망에서 운영되어진다는 이유로 보안에 대한 고려 없이 설계되었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SCADA 시스템과 공용망과의 연계가 추진되면서 보안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CADA 시스템의 제약사항과 보안요구사항을 살펴보고, 안전한 SCADA 시스템을 위한 키 관리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에 제안되어있는 SCADA 시스템을 위한 키 관리 방식이 메시지 브로드캐스팅을 지원하지 못하는 반면, 제안하는 방식은 메시지 브로드캐스팅을 지원한다. 또한 제안하는 방식은 성능상의 제약을 가지고 있는 RTU의 계산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위 노드(SUB-MTU 또는 MTU)에 계산량을 분배하여 RTU의 잠재적인 성능 병목을 해결하였다.

EMS/SCADA의 DNP3 연계구간 보안성 평가·인증 기술 연구 (A Study of Security Certification and Accreditation for DNP3 linkage section in EMS/SCADA)

  • 김종완;손태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703-713
    • /
    • 2015
  • 기존의 EMS/SCADA에서 제어시스템과 필드디바이스 간의 연계시스템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외부 네트워크와의 망 분리를 통한 접근 통제를 하였지만 현재는 운영의 효율성 증대와 체계적 관리, 경제적 측면을 고려한 외부 망과의 연결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발전한 연계구간은 과거에 비해 더 많은 보안 취약점을 갖게 되었으며, EMS/SCADA 연계구간에서의 통신은 특별한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환경을 고려하여 EMS/SCADA 연계구간에서 주로 사용되는 시리얼 DNP3와 TCP/IP기반 DNP3를 적용한 보안성 평가 인증기술을 제시하였다. 제시하는 보안성 평가 인증기술은 자원 안전성 테스트와 악성 패킷 테스트 2가지 세부 평가로 나누어 안전성을 평가하며 각각의 보안 요구사항 및 평가방법을 도출하여 기존의 평가 인증 기술들과의 차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CADA 통신 데이터 보호 기술 (Security Technology for SCADA Communication Data)

  • 김학만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7-219
    • /
    • 2008
  •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is popular control and monitor areas not only in critical infrastructures such as electric power, gas, oil but also industrial applications. Increasement of cyber attack technique and frequency threats secure operation of SCADA systems. Recently many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for protecting SCADA system against cyber attacks. This paper introduces overall security technologies in SCADA systems.

  • PDF

에너지 기반보호시설의 보안관제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d security services(MSS) method for energy-based SCADA Systems)

  • 장정우;김우석;윤지원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79-2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기반보호시설 내부에서 발생 가능한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탐지 할 수 있는 네트워크 보안관제 모델을 제안하였고, 제어시스템 운영환경과 유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상세 분석하여 보안관제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탐지요소 개발과 보안관제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네트워크 보안관제 모델이 효과적으로 이상 트래픽을 탐지 가능함을 실증하였다.

공격 트리를 이용한 산업 제어 시스템 보안 위험 분석 (ICS Security Risk Analysis Using Attack Tree)

  • 김경아;이대성;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3-58
    • /
    • 2011
  • 산업 현장에서 일반 컴퓨터와 윈도우 운영체계를 사용하여 생산 시스템을 제어 하게 되면서, 산업 시설에 대한 사이버 보안 위협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네트워크와 연결된 산업 제어 시스템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PC나 기업의 정보 시스템에서 문제시 되던 악성코드의 공격에 노출되었다. 특히 컴퓨터 웜인 스턱스넷은 가스 수송관이나 발전소 같은 특정 산업 제어 시스템을 표적으로 하며, 이론상 물리적 타격도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 제어 시스템 구성 요소와 SCADA의 사이버 보안 위협을 살펴본 후, SCADA 보안 취약점을 조기에 파악하고 평가하여 가능한 사이버 공격을 사전에 대처할 수 있는 위험 분석 방법으로 공격 트리 분석을 고찰한다.

빌딩시설 제어시스템용 안전한 망간 자료전송 방안 (Secure Data Transmission Scheme between Network for Building Facilities Control System)

  • 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02-108
    • /
    • 2018
  • 비 보안영역의 외부인터넷과 보안영역의 내부업무망간에 적용된 기존의 망간 자료전송기술을 빌딩시설관리 SCADA시스템 제어망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 다양한 문제들이 도출된다. 기존의 망간 자료전송기술은 모든 데이터를 대상으로 블랙리스트 기반의 보안기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고 복잡성 및 고 비용이 수반된다. 하지만, 빌딩시설관리 SCADA제어시스템에서 유통되는 데이터의 특성은 소수의 정형적인 제어 데이터가 반복성과 주기성을 갖기 때문에 이를 대상으로 화이트리스트 기반의 보안기법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망간 자료전송에 적용된 보안기술이 단순화되어 저 비용으로 빌딩시설관리 SCADA시스템 제어망 구축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정리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빌딩시설관리 SCADA제어시스템에 특화된 빌딩 제어망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