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BA-16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Catalytic Oxidation of Cyclohexene with Hydrogen Peroxide over Cu(II)-Cyclam-SBA-16 Catalyst

  • Prasetyanto, Eko Adi;Park, Sang-E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5호
    • /
    • pp.1033-1037
    • /
    • 2008
  • A copper cyclam-type complex was successfully immobilized onto mesoporous silica SBA-16. Characterization by NIR spectroscopy and TGA analysis confirmed that copper cyclam complex is immobilized onto mesoporous SBA-16. The Cu(II)-Cyclam-SBA-16 was proven to be a good catalyst for oxidation reaction of cyclohexene with conversion up to 77.8% after 13 h reaction and providing a high selectivity to cyclohexenol and 3-hydroperoxycyclohex-1-en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pper species play a major role as catalyst via reversible redox cycles as proven by cyclic voltammetry analysis.

Fuctionalization of SBA-16 Mesoporous Materials with Cobalt(III) Cage Amine Complex

  • Han, Sang-Cheol;Sujandi, Sujandi;Park, Sang-E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9호
    • /
    • pp.1381-1384
    • /
    • 2005
  • Surface modification of tridimensional cubic mesoporous silica, SBA-16, was investigated with pendant arm functionalized cobalt diaminosarcophagine (diAMsar) cage complex which covalently grafted onto the silica surface through the silication with sylanol group. The spectroscopic results showed that the mesoporous structure was preserved under the $[Co(diAMsar)]^{3+}$ grafting reaction condition. Successful grafting prevented the cobalt diAMsar cage from leaching out from the SBA-16 support.

Asymmetric Ring Opening of Terminal Epoxides Catalyzed by Chiral Co(III)-BF3 Salen Complex Immobilized on SBA-16

  • Kim, Yong-Suk;Lee, Choong-Young;Kim, Geon-Jo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8호
    • /
    • pp.1771-1777
    • /
    • 2009
  • The homogeneous B$F_3$ containing chiral Co(III) salen complexes were anchored non-covalently on the surfaces of mesoporous SBA-16 silica containing aluminum species. The Brönsted and Lewis acidic sites are attributed to the immobilization of fluorine functionalized chiral salen complexes on the supports. The FT-IR, UV, ESCA, and NMR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synthesized chiral salen catalysts. These heterogeneous catalysts could be applied in asymmetric ring opening of terminal epoxides by water and phenol derivatives. They showed very high enantioselectivity and yield more than 98% in the catalytic synthesis of optically active products.

Synthesis of Ordered Mesoporous Manganese Oxides by Double Replication for Use as an Electrode Material

  • Guo, Xiao-Feng;Kim, Geon-Jo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호
    • /
    • pp.186-190
    • /
    • 2011
  • Periodically ordered mesoporous manganese oxides were synthesized in a single and double replication procedure. Mesoporous SBA-15 and -16 silica and their reverse replica carbons were successively used as hard templates. The silica and carbon pore systems were infiltrated with $Mn(NO_3)_2{\cdot}xH_2O$ or $Mn(AcAc)_2$, which was then converted to $Mn_2O_3$ at 873 K; the silica and carbon matrix were finally removed by NaOH solution or calcinations in air. The structure of the mesoporous $Mn_2O_3$, using a carbon template, corresponds to that of the original SBA-15 and SBA-16 silica. The products consist of hexagonally arranged cylindrical mesopores with crystalline pore walls or cubic mesoporous pores. The structure of replica has been confirmed by XRD, TEM analysis, and its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tested with cyclic voltammetry. Formation of $Mn_2O_3$ inside the mesoporous carbon pore system showed much improved electrical properties.

Highly Dispersed CuO Nanoparticles on SBA-16 Type Mesoporous Silica with Cyclam SBA-16 as a Precursor

  • Prasetyanto, Eko Adi;Sujandi, Sujandi;Lee, Seung-Cheol;Park, Sang-E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2호
    • /
    • pp.2359-2362
    • /
    • 2007
  • MALDI-TOF-MS technique was applied to obtain structural and compositional information of synthetic polyamides, Nylon6 and Nylon66. Mass spectra of both the original and the hydrolyzed polyamide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self calibration method as well as the internal calibration method with the standard materials of known masses. The MALDI-TOF mass spectra of Nylon6 samples showed the presence of protonated, sodiated, and potassiated ions that were assigned to cyclic and NH2/COOH terminated linear oligomers. From the MALDI-TOF mass spectra of Nylon66 samples, the potassiated linear oligomers with three different end groups are identified as well as the cyclic oligomers, i.e., NH2/COOH terminated oligomers, NH2/NH2 terminated oligomers, and COOH/COOH terminated oligomers. Full characterization of the molecular species and end groups present in the polyamide samples has been achieved, and also the changes in mass spectral patterns after the hydrolysis of the samples are presented.

Polymerization of fibrous and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sing MgCl2/SBA-16/TiCl4

  • Panpoom, Salinla;Klinsrisuk, Sujitra;Martwiset, Surangkhana;Poonsawat, Choosak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07-113
    • /
    • 2015
  • SBA-16 (Santa Barbara Amorphous) was synthesized over supported $TiCl_4/MgCl_2$. Due to its high surface area and excellent morphological performance, it was expected to form the bi-supported catalytic system and be used for ethylene polymerization. Polymerization of ethylene was carried out at atmospheric pressure using hexane as solvent and triethylaluminium as cocatalyst. ICP, FTIR, DSC, TG-DTA were used to characterize polyethylene and catalyst product. Optimum conditions for ethylene polymerization were found to be 100 mL hexane, Al/Ti molar ratio of 160 and 1 h polymerization at $60^{\circ}C$. The activity of 396.76 kg PE/mol Ti.h.atm was achieved. Melting point of the obtained polymer was in the range of $132-135^{\circ}C$ and the highest degree of crystallization was 46%.

카본/메조세공 실리카 복합 막을 응용한 키랄 에폭사이드의 가수분해반응과 동시 분리 (Mesoporous Silica-Carbon Composite Membranes for Simultaneous Hydrolysis and Separation of Chiral Epoxide)

  • 최성대;전상권;박근우;양진영;김건중
    • 공업화학
    • /
    • 제25권5호
    • /
    • pp.503-509
    • /
    • 2014
  • 탄소와 다공성 실리카로 구성된 복합막을 용이한 방법으로 제작하고 이들 막을 활용하여, 키랄 에폭사이드와 키랄디올 화합물의 친수성/소수성 특성차이를 기초로 한 동시 합성 및 분리과정에 응용하였다. 막반응기에 도입한 키랄 Co(III)-$BF_3$형 살렌촉매는 ECH, 1,2-EB와 SO 등의 에폭사이드 가수분해반응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여러 차례의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광학순도가 높은 키랄 에폭사이드 생성물은 가수분해반응이 진행된 후에 촉매와 함께 유기용액상에서 취득되었다. 물에 용해되는 친수성의 1,2-디올은 키랄 살렌의 촉매작용에 의하여 가수분해됨으로써 생성되는데, 이들은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SBA-16 또는 NaY/SBA-16 실리카층을 통해 물층으로 확산되었다. 물은 막반응계에서 반응물이면서 동시에 용매로서 거동하였다. 연속흐름형의 막반응기를 적용함으로써, 고순도, 고수율의 광학이성체를 생성물로서 얻을 수 있었으며, 촉매는 큰 활성저하를 나타내지 않아 여러 차례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후두각화증에서 이형성 유무에 따른 렉틴 반응 (LECTIN BINDING PATTERNS IN LARYNGEAL KERATOSIS WITH ATYPIA)

  • 김광문;김기령;윤주헌;장미숙;조정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6-16
    • /
    • 1991
  • 렉틴(Lectins)은 세포막의 당단백질의 과당류 말단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비면역성의 당단백질 혹은 단백질을 말하는데 정상세포와 변형된 세포에서 렉틴반응의 차이가 남으로써 요즘에는 렉틴을 병리학적 진단에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Loss of contact inhibition”은 세포 악성화의 중요한 특징으로 세포의 악성화는 세포막의 구조의 변화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1989년 후두암에서 PNA의 반응이 양성 반응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저자들은 7가지의 렉틴을 이용하여 후두암전구증의 하나인 후두각화증에서 이형성(Atypia)의 존재유무에 따른 렉틴 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형성이 없는 단순 후두각화증에서는 Con A와 WGA만이 기저세포에 반응이 있었으며, 후두각화증의 가장 중요한 부위인 극세포층에서는 WGA, RCA-I, PNA, SBA, UEA-I, DBA가 세포질에는 반응이 없이 세포간교에만 염색이 되는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Con A는 반대로 극세포층의 세포질에 반응을 하였으나 세포간교에는 반응이 없었다. 2. 이형성을 동반한 후두각화증에서, 기저세포에서는 반응의 차이가 없었고 극세포층에서는 UEA-I, RCA-I. WGA, PNA, SBA는 세포간교에서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고 세포질에서 양성 반응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DBA, Con-A에서는 반응의 차이를 관찰 할 수 없었다. 따라서 후두각화증의 극세포층 세포막에서 UEA-I, RCA-I, WGA, PNA, SBA 반응의 소실은 후두암으로의 진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이형성의 존재를 암시한다하겠다.

  • PDF

중간세공을 갖는 껍질로 구성된 속이 빈 마이크로 탄소입자의 합성 및 이들의 전기화학적 특성 (Synthesis of Hollow Carbon Microspheres with Mesoporous Shell and Vacant Core Structure and Their Electrochemical Properties)

  • 이예원;양희천;김건중
    • 공업화학
    • /
    • 제27권4호
    • /
    • pp.449-4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구형의 폴리스티렌 구슬을 틀로 사용하여, 크기분포가 좁으면서 속은 비어있고 벽이 다공성인 구조의 탄소 마이크로 캡슐을 합성하였다. 폴리스티렌의 표면은 무기물인 실리카졸이 쉽게 입혀질 수 있도록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을 코팅하여 변조하였다. PVP가 코팅된 PS 마이크로 입자표면에 SBA-16 졸을 부착시킨 다음, 실리카층에 존재하는 중간 크기의 세공 내에 탄소원을 채워 넣는 음각식 형뜨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속이 빈 구조의 탄소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탄화과정을 거치고 틀로 사용한 다공성 실리카입자를 HF로 용해하면, 좁은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중간세공이 함유된 계란껍질형의 탄소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계란껍질형 탄소 마이크로캡슐 입자의 다공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은 XRD, SEM, TEM, 질소분자 흡/탈착분석법 및 cyclic voltammetry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탄소입자는 슈퍼캐패시터와 같은 전자재료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만한 높은 전기전도도와 용량을 나타내었다.

CNT를 첨가한 Silicon/Carbon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licon/Carbon Composites with CNT for Anode Material)

  • 정민지;박지용;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1호
    • /
    • pp.16-21
    • /
    • 2016
  • 실리콘의 부피팽창과 낮은 전기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Silicon/Carbon/CNT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Silicon/Carbon/CNT 합성물은 SBA-15를 합성한 후, 마그네슘 열 환원 반응으로 Silicon/MgO를 제조하여 Phenolic resin과 CNT를 첨가하여 탄화하는 과정을 통해 합성하였다. 제조된 Silicon/Carbon/CNT 합성물은 XRD, SEM, BET, EDS를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충방전, 사이클, 순환전압전류, 임피던스 테스트를 통해 CNT 첨가량에 따른 전기화학적 효과를 조사하였다. $LiPF_6$ (EC:DMC:EMC=1 :1 :1 vol%) 전해액에서 Silicon/Carbon/CNT 음극활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한 코인셀은 CNT 함량이 7 wt% 일 때 1,718 mAh/g으로 높은 용량을 나타내었다. 코인셀의 사이클 성능은 CNT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개선되었다. 11 wt%의 CNT를 첨가한 Silicon/Carbon/CNT 음극은 두 번째 사이클 이후 83%의 높은 용량 보존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