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Scholastic Ability Tes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수능 한국지리 문항에서의 지도활용과 출제 지역의 공간 분포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Regional Imbalance and Map Usage in Korean Geography Test as a Par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배선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91-10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 평가 문항들에서 지역적인 편중이 발생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5~2015학년도의 수능 한국지리 평가 문항에서 지도와 설명 및 그래프를 통하여 특정 지역이 한국지리 세부 영역별로 어느 정도의 빈도로 출제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 한국지리 220문항 중 약 42%에서 지도가 활용되고 있었고, 약 33%에서 구체적인 지역 정보가 제시되고 있었다. 한국지리의 세부 영역별로 볼 때 기후, 산업, 지역(지방) 영역에서 구체적인 지역 정보 제시가 많았다. 지난 11년 동안 수능 한국지리 출제 문항에 언급된 시 군은 모두 76곳이며, 이들 중 3번 이상 언급된 곳은 25곳이다. 가장 높은 출제 빈도를 보인 지역은 서울이며, 인천과 대구, 부산, 강릉, 제주 등이 출제 빈도가 높은 지역이었다. 수능 한국지리 평가 문항 분석 결과 세부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지역적인 편중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중국.일본의 대학입학 영어시험 문항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English test items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 전병만
    • 영어어문교육
    • /
    • 제10권2호
    • /
    • pp.113-132
    • /
    • 2004
  •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through analyzing English test items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CEE) in Korea, China, and Japan. To achieve this, English test items of Scholastic Ability Test(SAT) in Korea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EE in China and Japan, and test items of TOEFL and IEL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 many items for testing productive skills relatively to the tests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TOEFL and IELTS. Especially, there were integrated items for writing test in China. In case of speaking test, all the other country adopted direct ways like interview and oral test, not indirect test as in the SAT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there need to be included test items comprising long passages in order to measure extensive reading ability. It can be suggested that doze test be adopted for testing integrated proficiency of English.

  • PDF

수학과 개정교육과정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개편에 관한 고찰 (On the Mathematics Amended Curriculum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 이진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1-12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체제 개편에 맞추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994년도 시행이후 제5차, 6차, 7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교육과정이 바뀜에 따라 몇 차례 개정을 하여 현행에 이르고 있다. 2007년 2월 발표된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의해 2009년부터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이 이루어지고 2012학년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그 출제 및 응시체제가 개편되어야 한다. 지난 교육과정과 2009학년도부터 시행하게 되는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체제의 변천과정을 조사하고 외국의 대학입시시험의 출제 범위를 우리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현행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한다.

  • PDF

Analysis of Mathematics Ability Structure in Chinese Mathematical Gifted Student

  • Li Mingzhen;Pang K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4호
    • /
    • pp.329-333
    • /
    • 2005
  • Based on author's practice of instructing Chinese gifted students to join the Chinese Mathematics Olympic (CMO), the paper adopted test analysis model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of Mathematics (SAT-M), tested mathematics ability of 212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to join the CMO, applied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nd proposed the mathematics ability structure in Chinese gifted students including comprehensive operation ability, logic thinking ability, abstract generalization ability, spatial imagination ability, memory ability, transfer ability and intuition thinking ability. And it analyzed the expression form of these abilities respectively and gave some suggestion on mathematics teaching about gifted Chinese students.

  • PDF

입학사정관제 평가점수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알고리즘 구현 연구 (Study on realization for objective evaluation algorithm of grade by admission office system)

  • 최승배;이영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359-1368
    • /
    • 2013
  • 대학 입학사정관제는 기존의 대학입학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수능 위주의 학생선발에서 벗어나 학생부 (교과와 비교과)와 학생의 잠재력, 대학의 설립이념 등을 고려하여 대학입학제도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하려는 의도에서 도입되었다. 입학사정관제의 특징 중에 하나는 입학사정관제도에 의해서 선발된 학생들을 선발자체에 그치지 않고 추후 관리를 통하여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입학사정관제도에 의한 학생선발은 학생부 (서류전형)와 발표 토론 및 면접 등의 내용을 토대로 선발된다. 입학사정관제에 의한 학생들에 대한 평가는 주로 정성적인 평가이기 때문에 평가를 하는데 있어서 입학사정관의 주관이 개입되어 학생선발에 있어서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입학사정관제에 의한 학생선발 과정에 있어서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학생선발의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문이과 통합형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교 수학 및 과학 교과목 학습경험 분석: S 대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신동주;김진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1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of new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and respond to strengthen basic knowled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481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S Universit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freshmen, the geometric subjects were significantly lower, which is the result of students' sensitive responses to transitional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SAT system after revision. In science, general elective subjects were higher than career elective subjects, and there was a deviation between science subjects, which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diversity and hierarchy of science subjects.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learning experience after revision compared to before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learning experience of Mathematics II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geometry decreased significantly. Both Chemistry I and 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the revision, and Earth Science I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strategic choices based on obtaining grades in the CSAT and disadvantages in college entrance exams.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sensitive reactions to changes in the high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were confirmed, basic mathematics and science-related courses were opened to alleviate variations in the academic ability due to elective courses, and countermeasures tailored to each university's situation.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수학 성취도와 언어 성취도 사이의 관계 및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s among Mathematics Achievement, Spatial Ability, and Verbal Achievement for Engineering Freshmen and Gender Differences)

  • 김연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553-571
    • /
    • 2015
  • 본 연구는 공간능력이 수학 성취도 및 STEM 분야의 성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공과 대학생들의 공간능력, 수학 성취도, 그리고 언어 성취도 사이의 관계와 각 영역에서 성별 차이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와 함께 수학 성취도에서의 성별 차이가 공간능력에서의 차이에 의해서 매개되는 지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공과대학 신입생들에게 공간 시각화-회전(PSVT-R)검사를 실시한 후에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수학 및 언어 영역과의 상관관계를 성별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차이는 공간 시각화 능력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이 언어 성취도, 그리고 수학 성취도의 순서로 낮아졌다. 남학생의 공간 시각화 능력이 여학생보다 0.8d(effect size) 정도 우수하였으며 남학생의 67%가 도달한 수준에 여학생은 34%가 속해있었다. 영역별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수학과 언어 성취도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예측과는 다르게 수학 성취도와 공간 시각화 능력 사이의 상관관계는 작았다. 공간 시각화 능력과 언어 성취도 사이에도 상관관계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공간 시각화 능력은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좀 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남학생에서는 공간능력이 보편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남학생 내에서는 공간능력이 수학 성취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 외에도 공간능력이 낮은 집단에서도 수학 성취도에서는 성별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현 연구 집단에서는 공간능력이 수학 성취도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언어 성취도가 수학 성취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이유는 입시전형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한 영역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경우에 다른 영역의 점수는 상위권인 학생들이 지원한 결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공간 시각화와 언어 능력이 결합하여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언어 성취도와 공간 시각화 점수를 상위권과 하위권으로 구분한 다음 네 그룹으로 나누어서 수학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이 때 수학 성취도는 남학생, 여학생 모두에서 (1) 공간 상위권- 언어 하위권인 그룹, (2) 공간 하위권 - 언어 하위권인 그룹, (3) 공간 상위권 - 언어 상위권 그룹, (4) 공간 하위권 - 언어 상위권 그룹의 순서로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