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 DUNE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1초

해안방재림 조성지에 식재한 해송의 생장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of Pinus thunbergii planted in a Costal Sand Zone)

  • 김현필;이헌호;이주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56-662
    • /
    • 2012
  • 본 연구는 경북 울진군에 조성된 해안방재림을 대상으로 식재된 해송의 생장특성을 조사하고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9개소 3,600본의 해송을 4년간 모니터링 하였으며, 식재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생장량이 조사되었다.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생육환경인자로 풍속과 전기전도도, 토양산도, 토양습도 등의 토양조건을 조사하여 생장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풍속이 식재된 해송의 생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양조건 역시 풍속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해안방재림으로 조성된 해송의 생장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풍속의 효과적인 제어가 가장 중요하며, 향후 이를 위한 퇴사울의 개발과 그 효과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본(日本)의 해안사방(海岸砂防)에 관한 연구(II) -충승현(沖繩縣)의 해안보안림(海岸保安林)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ast Sand Dune Fixation and Stabilization in Japan(II) - On Seaside Protection Forest in Okinawa Prefecture -)

  • 전권우;이재선;박완근;고키 젠푸쿠;나카시마 유키;에자키 츠지오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69-81
    • /
    • 2004
  • 우리나라에 있어서 해안림(海岸林)의 다면적(多面的) 기능(機能)과 시대적(時代的) 가치관(價値觀)의 변화를 파악하고, 해안사방(海岸砂防)의 참고자료를 얻기 위해 일본의 해안림(海岸林)과 해안사방(海岸砂防)에 대한 각종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있다. 전보(전권우(全權雨) 등, 2002)에 이어 일본(日本) 충승현(沖繩縣)의 해안방재림(海岸防災林)을 중심으로 해안림(海岸林)의 개요(槪要), 해안보안림(海岸保安林)의 실태(實態)와 각 도서별(島嶼別) 주요 해안사방용(海岸砂防用) 수종(樹種) 및 대표적인 해안보안림(海岸保安林)에 대하여 분석 정리하였다.

  • PDF

Plant Growth-Promoting Potential of Endophytic Bacteria Isolated from Roots of Coastal Sand Dune Plants

  • Shin, Dong-Sung;Park, Myung-Soo;Jung, Se-Ra;Lee, Myoung-Sook;Lee, Kang-Hyun;Bae, Kyung-Sook;Kim, Seung-Bu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8호
    • /
    • pp.1361-1368
    • /
    • 2007
  • Endophytic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roots of coastal sand dune plants were isolated, taxonomically characterized, and tested for their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ies. Ninety-one endophytic bacterial isolates were collected and assigned to 17 different genera of 6 major bacterial phyla based on partial 16S rDNA sequence analyses. Gammaproteobacteria represented the majority of the isolates (65.9%), and members of Pseudomonas constituted 49.5% of the total isolates. When testing for antagonism towards plant pathogenic fungi, 25 strains were antagonistic towards Rhizoctonia solani, 57 strains were antagonistic towards Pythium ultimum, 53 strains were antagonistic towards Fusarium oxysporum, and 41 strains were antagonistic towards Botrytis cinerea. Seven strains were shown to produce indole acetic acid (IAA), 33 to produce siderophores, 23 to produce protease, 37 to produce pectinase, and 38 to produce chitinase. The broadest spectra of activities were observed among the Pseudomonas strains, indicating outstanding plant growth-promoting potential. The isolates from C. kobomugi and M. sibirica also exhibited good plant growth-promoting potential. The correlations among individual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ies were examined using phi coefficients, and the resulting data indicated that the production of protease, pectinase, chitinase, and siderophores was highly related.

Effect of Autoclave Curing on the Microstructure of Blended Cement Mixture Incorporating Ground Dune Sand an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 Alawad, Omer Abdalla;Alhozaimy, Abdulrahman;Jaafar, Mohd Saleh;Aziz, Farah Nora Abdul;Al-Negheimish, Abdulaziz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9권3호
    • /
    • pp.381-390
    • /
    • 2015
  • Investigating the microstructure of hardened cement mixtures with the aid of advanced technology will help the concrete industry to develop appropriate binders for durable building materials. In this paper, morphological, mineralogical and thermogravimetric analyses of autoclave-cured mixtures incorporating ground dune sand an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s partial cement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he microstructure analyses of hydrated products were conduc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X),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thermo-graphic analysis (TGA) and X-ray diffraction (XRD). The SEM and EDX results demonstrated the formation of thin plate-like calcium silicate hydrate plates and a compacted microstructure. The DTA and TGA analyses revealed that the calcium hydroxide generated from the hydration binder materials was consumed during the secondary pozzolanic reaction. Residual crystalline silica was observed from the XRD analysis of all of the blended mixtures, indicating the presence of excess silica. A good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blended mixtures and the CaO/$SiO_2$ ratio of the binder materials.

일본(日本)의 해안사방(海岸砂防)에 관한 연구(I) - 산형현(山形縣) 장내해안림(庄內海岸林)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ast Sand Dune Fixation and Stabilization in Japan(I) - On Shounai Coastal Forest in Yamagata Prefecture -)

  • 전근우;이재선;차두송;박완근;나카시마 유키;에자키 츠지오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31-44
    • /
    • 2001
  • 우리나라 해안림(海岸林)의 다면적(多面的) 기능(機能)과 시대적(時代的) 가치관(價値觀)의 변화를 파악하고, 해안사방(海岸砂防)의 참고자료를 얻기 위해 일본의 해안림과 해안사방에 대한 각종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日本) 산형현(山形縣)의 장내해안림(庄內海岸林)을 중심으로 분석, 정리하였으며, 주요내용은 장내해안림(庄內海岸林)의 환경특성(環境特性), 연혁과 현황, 문제점, 장내지역(庄內地域)의 방풍림대(防風林帶)와 해안사방시설(海岸砂防施設) 등이다.

  • PDF

강원도 동해안 문암리 신석기 유적지 퇴적층의 조직 특성 (Textural Characters of the Sediments from Neolithic site Moonamni Coastal Zone, East Sea of Korea -Implication of the Holocene High Stand Sea Level)

  • 박용안;김수정;최진용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37
    • /
    • 2003
  • 한반도 동해 중부 해안에 위치한 강원도 고성군 문암리 신석기 유적지의 퇴적층의 퇴적환경은 퇴적물의 입도 특성과 광물 조성에 의하여 세 개의 퇴적층서 단위(Unit)로 구분되었다. 최하위 퇴적 층서 단위인 Uint 3은 하부의 사질층(S)과 상부의 니사질층(mS)으로 세분된다. 이 퇴적층은 해안 사구 모래가 퇴적된 후, 토양화 과정에 의해 소량의 니질(mud)을 함유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Unit 3을 피복하는 Unit 2는 신석기 유물이 출토되며, 사층리 구조를 보이는 퇴적층으로 다시 하부의 니사질층(mS)과 상부의 사질층(S)으로 구분된다. 전체적으로 Unit 2 퇴적층은 해빈으로부터 바람에 의해 운반ㆍ퇴적된 전형적인 해안 사구(coastal dune)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최상위 퇴적층서 단위인 Unit 1은 역사질층(gS)으로 잔자갈이 함유되어 하부의 퇴적층보다 조립하며, 분급도 불량하다. 이 퇴적층은 해안사구 층으로 현재의 지표 유수와 식물의 영향을 받아 토양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문암리 유적지 사구층의 형성 연대는 기존의 해수면 변동 연구와 신석기 유물의 연대 분석 결과로 미루어 보아 현세 중기(middle Holocene, 약 7,800∼6,500 yr BP) 전후인 것으로 해석된다.

  • PDF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섬의 현존식생 및 식생구조 연구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at the Coastal Sand Bars in the Nakdong Estuary, South Korea)

  • 이율경;안경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11-922
    • /
    • 2012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 연안 사주섬 식생의 발달과 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총 118개의 식생자료를 획득되었다. 좌표결정법에 의해 식물종과 환경요소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위해 RIM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총 12개의 식물군락이 구분되었으며, 건생형과 습생형으로 대분류 되었다. 이들 식물군락은 사주와 염습지를 대표하는 하는 식생형으로 건생형은 해송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좀보리사초군락, 띠군락, 물억새군락, 갯메꽃군락, 습생형은 개수양버들-산조풀군락, 갈대-산조풀군락, 쇠보리-갈대군락, 갈대군락, 새섬매자기군락, 나문재-칠면초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공간적으로 건생형 초본과 염습지의 갈대군락 및 새섬매자기군락이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해안 사주의 대부분은 갈대군락이 대상으로 분포하며, 해안가에서는 새섬매자기군락이 관찰되었다. 현존식생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구성하는 식생유형은 새섬매자기군락, 염습지 갈대군락, 건생초원식생이다. 대부분의 사주섬 가장자리에는 염습지 갈대군락이 대상으로 분포하며, 그 외곽에 새섬매자기군락이 발달하고 있다. 해안 사구식생과 염습지 식생은 각각 말단사주섬의 전방과 후방 지역에 분포하였다.

Distribution of Phytolacca americana in a coastal sand dune

  • Min, Byeong-M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2호
    • /
    • pp.81-90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Phytolacca americana, an exotic plant species in Korea, in coastal sand dunes. The areas examined from June 2004 to February 2006 were in Sindusagu where was located on Sindu-ri, Wonbuk-myen, Taean-gun, Chungcheongnam-do. The vegetation, sediment properties, sizes and ages of Robinia pseudoacacia, P. americana and Pinus thnunbergii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 americana were assessed. Firstly, correlation coefficients (CC) between P. americana's root biomass and sediment properties were not significant. Secondly, of the four community types, P. americana was not in the mixed herbaceous community and its density was the highest in the P. thunbergii-R. pseudoacacia and R. pseudoacacia community The Poisson distribution analysis revealed the distribution of P. americana to be severely clumped. The root biomass of P. americana and the basal area of R. pseudoacacia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but the CCs between P. thunbergii and other two species were not significant. The ages of P. americana and R. pseudoacacia in a quadra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irdly, P. americana's ages in a quadrat were mostly similar to each other. Therefor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 americana was largely influenced by R. pseudoacacia but not by the sediment properties, and plants in a narrow area were concurrently germinated.

해안형 국립공원의 보전체계에 대한 한.일 비교 - 태안해안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Comparison Between Conservation System of a Coastal Type of National Park of Korea and Japan - Focused on Taean-Haean National Park -)

  • Jo, Tae-Dong;Okano, Takahir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1-155
    • /
    • 2003
  • The resources conservation system is comprehended, making Taean-haean National Park a research material by applying the fact of landowning, designating an LOP and Korea and Japan's Natural Park Act.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Most of land areas of the National Park are privately owned; Only a few have been designated as Natural Reservation, a core reserved area on LOP, and a sandy beach, a sand dune, a sand spit, a tidal flat, a wetland, etc are distribut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area so they were exposed to development; As seen in most of coastal type of National Parks, 13 commercial beaches are established. The annual rush to the beaches appears in July and August; Sand dune areas that have to be managed in terms of conservation, are turned into beaches. Moreover, the collective facilities areas are randomly developed. So they fail to function originally; The current Natural Park Act has no systematic devices for conservation of the natural resources on the seashore or offshore.

통보리사초(Carer kobomugi Ohwi)의 생육 특성 (Growth Properties of Carex kobomugi Ohwi)

  • 민병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1호
    • /
    • pp.49-55
    • /
    • 2004
  • 해안사구 식물인 통보리사초에 대해 생육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해안 사구에서 2001년 4월부터 2003년 6월까지 통보리사초의 지상부와 지하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해안사구에서 통보리사초는 갯그령 다음으로 만조선에 가까이 출현하는 식물종이었으며 밀도는 퇴적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150개체/㎡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개화율은 모래 퇴적지역에서 70% 이상을 유지하였으나 안정지역에서는 10% 이내이었다. 따라서 통보리사초는 모래의 퇴적지역에 적응력이 탁월한 식물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상부는 대단히 불규칙한 분포를 하였다. 모래의 퇴적지역과 안정지역에서 토양의 깊이별 지하경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자에서는 깊이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후자에서는 대부분 20 ㎝ 이내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지하경은 퇴적지역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안정지역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생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새로운 지하경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지하경 의 능력은 지표면으로부터 150 ㎝ 이하 혹은 5년 전의 것이었다. 새로 발생하는 지하경의 수와 평균길이는 전년도의 지상부 크기와 관계가 깊었다. 즉, 지상부의 건중량이 0.5 g 미만에서는 1개, 2.0∼2.5 g에서는 2개, 3 g 이상에서는 5개의 지하경을 각각 생산하였다. 한편,지하경의 길이는 10∼100 ㎝ 범위에 있었으며 전년도 지상부의 건중량이 0.5 g미만일 경우는 13.0 ㎝ 이었지만 3 g 이상의 경우 평균 57.6 ㎝로 약 4.4배에 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