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동해안 문암리 신석기 유적지 퇴적층의 조직 특성

Textural Characters of the Sediments from Neolithic site Moonamni Coastal Zone, East Sea of Korea -Implication of the Holocene High Stand Sea Level

  • 박용안 (서울대학교 자연대 해양연구소) ;
  • 김수정 (한국해양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최진용 (군산대학교 자연대 해양정보과학과)
  • 발행 : 2003.06.01

초록

한반도 동해 중부 해안에 위치한 강원도 고성군 문암리 신석기 유적지의 퇴적층의 퇴적환경은 퇴적물의 입도 특성과 광물 조성에 의하여 세 개의 퇴적층서 단위(Unit)로 구분되었다. 최하위 퇴적 층서 단위인 Uint 3은 하부의 사질층(S)과 상부의 니사질층(mS)으로 세분된다. 이 퇴적층은 해안 사구 모래가 퇴적된 후, 토양화 과정에 의해 소량의 니질(mud)을 함유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Unit 3을 피복하는 Unit 2는 신석기 유물이 출토되며, 사층리 구조를 보이는 퇴적층으로 다시 하부의 니사질층(mS)과 상부의 사질층(S)으로 구분된다. 전체적으로 Unit 2 퇴적층은 해빈으로부터 바람에 의해 운반ㆍ퇴적된 전형적인 해안 사구(coastal dune)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최상위 퇴적층서 단위인 Unit 1은 역사질층(gS)으로 잔자갈이 함유되어 하부의 퇴적층보다 조립하며, 분급도 불량하다. 이 퇴적층은 해안사구 층으로 현재의 지표 유수와 식물의 영향을 받아 토양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문암리 유적지 사구층의 형성 연대는 기존의 해수면 변동 연구와 신석기 유물의 연대 분석 결과로 미루어 보아 현세 중기(middle Holocene, 약 7,800∼6,500 yr BP) 전후인 것으로 해석된다.

The Neolithic relics containing sedimentary deposits have been found in the Moonamni coastal zone of the East Sea,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of the coastal dune deposit and to elucidate its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Neolithic-site sediments on the basis of analytical properties of grain size population and mineralogy of the sediments. As a result, the vertical sections of the sediments from three trenches are characterized by three major stratigraphic depositional units of Unit 3, Unit 2 and Unit 1 in ascending order. Unit 3 and 2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ow sub-units. Unit 3 is composed of massive sands in the lower part and muddy sand in the upper part. It is considered that the Unit 3 is a typical dune deposit showing well-sorted sands. Unit 2 is characterized by the cross-bedding, and include archaeological remains such as pottery shards. This uni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wo sub-units of muddy sand in the lower part and sand in the upper part. Unit 1 occupies the top section and consists of modem dune sediment. The Neolithic cultural remains would be accumulated in the coastal dune area in relation to dynamic condition of beach system under the high stand of Holocene sea-level at about 7,800∼6,500 yr B.P. or so.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