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100A7

검색결과 4,587건 처리시간 0.045초

소아 화상의 화상부위 세균 집락화와 항균제 감수성 변화(1999년 1월~2002년 12월) (The Bacterial Colonization of Burn Wound and the Changes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in Childhood Burn (January, 1999~December, 2002))

  • 김진만;이소연;김영호;신언우;오필수;김광남;이규만;오석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2호
    • /
    • pp.157-165
    • /
    • 2005
  • 목 적 : 화상의 병태 생리에 대한 지식 증가와 효과적인 항균제의 이용 및 상처의 괴사조직을 조기에 제거하는 수술 방법의 도입으로 최근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아직도 세균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과 폐렴 등의 합병증이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내성균주의 증가로 적절하고도 제한적인 항균제 선택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Acinetobacter의 multi-drug resistant 균주는 최근 들어 관심의 대상이다. 중환자실의 MRSA, VRE 등의 균주가 증가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소아 연령의 화상부위 세균 감염 양상을 파악하고 각 균주에 따른 항균제 내성의 추이를 파악하여 적절한 항균제 선택으로 소아 화상 부위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4년간 한림대학교 의료원 한강성심병원 화상 센터에 입원한 만 15세 이하 환아 중, 화상 부위 세균 배양 검사 양성으로 나타난 213명, 406검체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후향적 고찰을 통하여 감염세균 및 항균제 감수성 양상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 213명의 환아 중 남아 127명(59.6%), 여아 86명(40.4%)이었다. 나이별로는 1~5세까지의 학령 전기에서 132명(62.0%)으로 가장 많았고, 1개월~1세의 영아기 45명(21.1%), 6~10세의 학령기 24명(11.3%) 순이었다. 2) 화상의 종류로는 열탕 화상이 167명(78.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화염 화상이 35명(16.4%), 접촉 열화상 6명(2.8%) 순이었다. 3) 총 213명 406검체 중 64검체(15.8%)에서 두 종류 이상의 균주가 분리되었다. P. aeruginosa가 236검체(58.1%)에서 분리되어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다. Enterococcus species가 73검체(18.0%), S. aureus가 51검체(12.6%), S. epidermidis가 48검체(11.8%)에서 분리되었다. 그 다음으로 Streptococcus species, Acinetobacter species, E. coli 순이었다. 4) P. aeruginosa의 경우 항균제에 대한 내성률은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100%, cephalothin 98.1%, ampicillin-sulbactam 96.2%, ampicillin 95.3%, ceftriaxone 95.2%, tobramycin 93.7%, cefoperazone 68.9%, ceftazidime 67.7%이었다. 5) Enterococcus species는 tetracycline 63.9%, streptomycin 45.5%, gentamicin 36.1%, penicillin G 13.7%의 내성을 보였다. 6) S. aureus는 gentamicin 89.7%, tetracycline 86.2%, ciprofloxacin 86.2%, penicillin G 84.3%, oxacillin 78.4%, erythromycin 76.5%의 내성을 보였다. 7) S. epidermidis는 oxacillin 81.2%, erythromycin 79.2%, gentamicin 76.2%, penicillin G 70.8%, fusidic acid 70.3%, tetracycline 61.9%의 내성을 보였다. 8) Acinetobacter species는 ampicillin-sulbactam 100%, gentamicin 85.7%, ampicillin 83.3%, piperacillin 61.5%, aztreonam 53.3%의 내성을 보였다. 결 론 : P. aeruginosa의 선택적 항생제 중 cefoperazone 68.9%, ceftazidime 67.7% 등 높은 내성을 보였고, imipenem 역시 25.9%의 내성을 나타냈다. 현재 P. aeruginosa에 대한 백신이 개발 중이나 효과에 대해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S. aureus는 penicillin G 84.3%, oxacillin 78.4% 등의 높은 내성을 보였으나, vancomycin 0%, teicoplanin 2.2%로 아직 낮은 내성률을 보였다. Acinetobacter species는 최근 계속 증가하는 multi-resistant drug 양상을 보이고 있어 향후 항균제 선택에 있어 신중한 주의가 필요하다.

  • PDF

산마늘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Allium victorialis Extracts)

  • 함승시;최승필;최형택;이득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21-226
    • /
    • 2004
  • 산마늘 에탄올 추출물과 각종 유기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을 검토하였다. 시료자체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산마늘 에탄올 추출물(200$\mu\textrm{g}$/plate)에서 88.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동일 시료 농도에서 4NQO에 대해서는 S. typhimurim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에서 각각 76.4%와 83.0%의 비교적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시료농도의 증가와 함께 억제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 50 $\mu\textrm{g}$/plate에서 A549가 74.2%, MCF-7이 71.3% 그리고 KATOIII에 대하여 67.4%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이브리드 복합재 철도차량 차체 적용 적층판의 저속충격특성 연구 (A Study on the Low Velocity Impact Response of Woven Fabric Composites for the Hybrid Composite Train Bodyshell)

  • 이재헌;정성균;김정석
    • Composites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7-1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복합재 철도차량차체에 적용되는 복합적층판에 대한 저속충격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4J, 2.7J 및 4.2J의 세 가지 충격에너지 조건에서 세 가지의 다른 적층구조를 갖는 적층판에 대한 저속충격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적용된 직조된 카본/에폭시 적층판의 크기는 $100mm\times100mm$ 이다. 충격시험 후 충격하중이력, 흡수된 에너지 및 손상면적 등이 각 충격에너지와 적층순서에 따라 고찰되었다. 손상면적은 육안검사와 C-scan을 이용하여 동시에 검사하였다. 시험결과 흡수된 에너지는 $[fill]_8$, 적층판이 가장 높았고 $[fill_2,/warp_2)_s$ 적층판이 가장 낮았다. 또한 손상면적은 $[fill]_8$, 적층판에서 가장 넓은데 이것은 상대적으로 흡수에너지가 높기 때문이다.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시금치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Spinach Extract on RANKL-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 김동규;김미혜;강민정;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32-539
    • /
    • 2015
  • 파골세포의 분화에 대한 시금치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RANKL을 처리한 RAW264.7 세포에서 세포독성, TRAP(+) 다핵세포의 형성, 파골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 그리고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물과 25, 50, 75 및 100% 에탄올 시금치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들이 $100{\mu}g/mL$ 이하의 농도에서 RAW264.7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TRAP 염색을 통해 TRAP(+) 다핵세포의 수와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분화 억제 및 효소 활성 저해 효과가 있었다. 특히 $100{\mu}g/mL$ 농도의 100% 에탄올 추출물은 RANKL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해 80%의 유의한 TRAP(+) 다핵세포 숫자 감소와 44%의 TRAP 효소 활성 저해율을 보였다. 시금치 에탄올 추출물은 RANKL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의 지표가 되는 관련유전자인 NFAT, c-FOS, cathepsin K 및 TRAP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단백질 수준에서 시금치 에탄올 추출물은 RANKL에 의해 증가된 NFATc1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또한 c-FOS의 활성화 형태인 인산화된 c-FOS의 발현뿐만 아니라 인산화되지 않은 비활성의 c-FOS 발현도 감소시켰다. 반면 파골세포의 분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MAPK 중 ERK의 활성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시금치 에탄올 추출물은 c-FOS의 활성, 비활성형 전체를 감소시킴으로 파골세포 분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극 킹 죠지 섬 에드미럴티 만과 멕스웰 만 시추 퇴적물의 홀로세 후기 고해양환 경 연구 (Late Holocene Paleoceanography from Core Sediments in the Admiralty Bay and Maxwell Bay,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 박병권;윤호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2-319
    • /
    • 1995
  • 홀로세 후기 킹 죠지 섬 주변 해역의 고해양학적 변화와 기후 변화를 파악하기 위 하여 킹 죠지 섬 주변의 멕스 웰 만과 에드미럴티 만에서 채취한 2개의 해양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퇴적율 측정, 유공충의 분포 및 유공충의 각을 구성하고 있는 산소 및 탄소 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유기탄소 함량은 대체로 시추 퇴적물의 하부층에서 상 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탄산염 함량은 그 반대로 하부층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유공충은 총 27종이 감별되었으며, 비교적 우세한 종은 Globocassidurina bior이다. 유공충을 이용한 /SUP 14/C연대 측정치를 기준으로 계산한 퇴적율은 24 cm/kyr에서 237 cm/kyr 범위이나 상부층으로 갈수록 급격히 증가한다. 대표적 유공충인 G. biora 의 산소 및 탄소 동위원소비는 $\delta$/SUP 18/O 값의 경우 0.3$\textperthousand$에서 6.2$\textperthousand$ 범위이고 $\delta$ /SUP 18/C 값은 -0.3$\textperthousand$에서 0.0$\textperthousand$ 범위이다. 시추 퇴적물의 지절연대는 시추심 S-2의 최하부층인 깊이 128 cm에서 3,100$\pm$60 yr B.P이고, 시추심 S-19의 최하부층인 깊이 230 cm에서 7,460$\pm$70 yr B.P., 한랭 온난한 2,600~2,270 yr B.P 및 한랭 온난한 2,380~2,100 yr B.P의 5개 시기로 구분된다.

  • PDF

Undaria pinnatifida Fucoidan-Rich Extract Recovers Immunity of Immunosuppressed Mice

  • Lee, Hwan Hee;Cho, Yoo Jin;Kim, Gun-Hee;Cho, Hyos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439-447
    • /
    • 2020
  • We investigated the immune restoration activity of Undaria pinnatifida fucoidan-rich extract in cyclophosphamide-induced immunosuppressed mice. C57BL/6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80 mg/kg of cyclophosphamide (CP) and orally administered with either drinking water (DW), red ginseng extract (RG), or one of three different doses of Undaria pinnatifida fucoidan-rich extract (DSU02 50, 100, and 150 mg/kg). After 14 days, liver, spleen, and whole blood were isolated from each animal. The frequencies of NK and CD3+, CD4+, and CD8+ T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lenocytes isolated from the DSU02 100 mg/kg and DSU02 150 mg/kg groups (NK1.1+, 5.4% or 4.9% vs 3.8%; CD3+, 39.3% or 37.9% vs 32.3%; CD4+, 22% or 20.2% vs 17.4%; CD8+, 12.7% or 11.6% vs 10.1%). NK cytotoxicity was enhanced in the DSU02-fed groups at all doses (CP-treated DW, 93.4%; RG, 107.2%; DSU02 50, 107.3%; DSU02 100, 107.3%; DSU02 150, 107.1%), and the proliferation of T cells (CD3+, CD4+, and CD8+) was also greater in the DSU02 100 mg/kg and DSU02 150 mg/kg administered groups compared with the unfed group. Plasma concentrations of TNF-α, IgM, and total IgG from the DSU02 150 mg/kg group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TNF-α: CP-treated DW - 21.5 pg/ml, DSU02 150 - 47.1 pg/ml; IgM: CP-treated DW - 82.9 ng/ml, DSU02 150 - 110.8 ng/ml; total IgG: CP-treated DW - 114.4 ng/ml, DSU02 150 - 162.7 ng/ml). We suggest that Undaria pinnatifida fucoidan-rich extract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a marine natural immune stimulator.

Biochemical Composition of Muscle from Tanaka's Eelpout Lycodes tanakae, Magistrate Armhook Squid Berryteuthis magister, and Ocean Sunfish Mola mola, Caught in the East Sea, Korea

  • Lee, Doo-Seog;Cho, Hyeon-Ah;Yoon, Na-Young;Kim, Yeon-Kye;Lim, Chi-Won;Shim, Kil-B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99-105
    • /
    • 2012
  • The biochemical composition of muscle from three deep-sea animals, Tanaka's eelpout Lycodes tanakae magistrate armhook squid Berryteuthis magister, and ocean sunfish Mola mola caught in the East sea in South Korea was determined. The moisture (81.4-93.8 g/100 g), crude protein (5.0-15.6 g/100 g), crude lipid (0.1-1.5 g/100 g), and ash (1.0-1.1 g/100 g) contents of the two fishes were analyzed.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magistrate armhook squid was: moisture 84.0 g/100 g, crude protein 12.4 g/100 g, crude lipid 0.7 g/100 g, and ash 1.5 g/100 g.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three animal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Tanaka's eelpout, magistrate armhook squid, and ocean sunfish were 14.64, 10.75, 3.10-9.95 g/100 g, respectively. High levels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nd arginine were found, while low levels of histidine, glycine, and cysteine were detected in the animals. A survey of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the animals revealed large amounts of alanine and glycin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among the three species. Specially, different saturated fatty acids (17.14-40.49%) such as C16:0, and C18:0, monounsaturated fatty acids (19.19-46.88%) such as C16:1, and C18:1,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35.41-57.08%) such as EPA, and DHA was identified. Our results suggest that each of these deep sea animals possesses nutritional valu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 foodstuff.

Microbial Quality and Safety of Fresh-Cut Broccoli with Different Sanitizers and Contact Times

  • Das, Basanta Kumar;Kim, Ji-G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363-36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anitizers and contact times on storage quality and microbial growth in fresh-cut broccoli. Fresh broccoli samples were cut into small pieces, washed each for 90 s and 180 s in normal tap water (TW), $100\;{\mu}/l$ chlorinated water (CL, pH 7), electrolyzed water (EW, pH 7.2) containing $100\;{\mu}/l$ free chlorine, or $2\;{\mu}/l$ ozonated water ($O_3$). Then, samples were packaged in 30-${\mu}m$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at $5^{\circ}C$ for 9 day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as composition and color parameters ($L^*$, $a^*$, $b^*$, and hue angle) among different sanitizers with contact times. No off-odor was detected during the storage. A longer contact time was not effective in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 except with $O_3$ washing. $O_3$ with 90 s was not much effective in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 compared with Cl or EW. However, samples washed with $O_3$ for 180 s observed the lowest numbers of total aerobic and coliform plate counts. The result suggested that, a longer contact time of ozone can be used as a potential sanitizer to maintain the microbial quality and safety of fresh-cut broccoli.

Epidermal Growth Factor가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I. 핵성숙에 미치는 Epidermal Growth Factor의 효과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 In Vitro Maturation in Pig Immature Oocytes I.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in Nuclear Maturation)

  • 엄상준;김선의;김은영;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7-226
    • /
    • 1995
  • 본 연구는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배양시 핵성숙에 미치는 EGF의 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기초 배양액으로는 TCM-199에 0.2mM pyruvate, 1$\mu\textrm{g}$/ml estradiol-17$\beta$, 25$\mu\textrm{g}$/ml gentamycin을 첨가하였으며, 이 배양액에 EGF, FSH와 FBS을 처리하였다. 실험 1에서는 난포란 성숙에 있어서 FSH와 0, 10, 100 ng EGF/ml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1, 10, 100 ng EGF/ml가 처리된 군의 핵성숙율은 83.0, 86.7, 87.5%로서 무처리군 27.3%와 FSH 처리군 60.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실험 2에서는 EGF, FSH와 FBS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EGF 단독, EGF에 FSH 첨가, EGF에 FBS 첨가, FSH에 FBS 첨가와 EGF와 FSH에 FBS가 첨가된 군의 핵성숙율은 86.7, 90.2, 87.1, 89.6, 92.6%로서 무처리 군 22.3%, FSH와 FBS가 각각 단독 처리된 군의 52.2, 42.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또한, 정상적인 난구세포의 팽창은 FSH에 FBS, FSH에 EGF 혹은 FSH, EGF와 FBS가 첨가된 군에서 나타났으며, EGF가 첨가된 군에서는 대부분의 난구세포가 난포란으로부터 분리되었지만, 일부는 덩어리로 난포란에 부착되어 있었다. 따라서, EGF는 돼지 미성숙난포란에 있어서 핵성숙을 유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Si 및Si$_{0.7}$Ge$_{0.3}$ 박막의 표현형태 및 조도의 전개 (Evolution of surface morphology and roughness in Si and $_{0.7}$Ge$_{0.3}$ thin fimls)

  • 이내웅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345-358
    • /
    • 1998
  • The evolution of surface roughness and morphology in epitaxial Si and $Si_{0.7}Ge{0.3}$ alloys grown by UHV opm-beam sputter deposition onto nominally-singular, [100]-, and [110]-mi-scut Si(001) was investigated by stomic force microscopy and tra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evolution of surface roughness of epitaxial Si films grown at $300^{\circ}C$ is inconsistent with conventional scaling and hyperscaling laws for kineti roughening. Unstable growth leading to the formation of mounds separated by a well-defined length scale is observed on all substrates. Contraty to previous high-temperature growth results, the presence of steps during deposition at $300^{\circ}C$ increases the tendency toward unstable growth resulting in a much earlier development of mound structures and larger surface roughnesses on vicival substrates. Strain-induced surface roughening was found to dominate in $Si_{0.7}Ge{0.3}$ alloys grown on singular Si(001) substrates at $T_S\ge450^{\circ}C$ where the coherent islands are prererentially bounded along <100> directions and eshibt {105} facetting. Increasing the film thickness above critical values for strain relaxation leads to island coalescence and surface smoothening. At very low growth temperatures ($T_s\le 250^{\circ}C$), film surfaces roughen kinetically, due to limited adatom diffusiviry, but at far lower rates than in the higher-temperature strain-induced regime. There is an intermediate growth temperature range, however, over which alloy film surfaces remain extremely smooth even at thicknesses near critical values for strain relax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