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1, S2 Detection

검색결과 2,182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 of Cationization Agent Concentration on Glycan Detection Using MALDI TOF-MS

  • Kim, Inyoung;Shin, Dongwon;Paek, Jihyun;Kim, Jeongkwon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8권1호
    • /
    • pp.14-17
    • /
    • 2017
  • The effect of cationization agent concentration on glycan detection via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was investigated using $Na^+$ ions in the form of NaCl as the cationization agent. NaCl solution concentrations ranging from 1 mM to 1 M were investigated. Glycans from ovalbumin were mixed with the cationization agent solution and the 2,5-dihydroxybenzoic acid (2,5-DHB) matrix solution in a volume ratio of 1:1:1. The resulting mixture was loaded onto the MALDI plate. Two MALDI-TOF MS instruments (Voyager DE-STR MALDI-TOF MS and Tinkerbell RT MALDI-TOF MS) were used for detection of glycans. The best detec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identified glycans, the peak intensity, and the signal-to-noise (S/N) ratio, was obtained with NaCl concentrations of 0.01-0.1 M for both MALDI-TOF MS instruments.

Ship-Wake 이론을 이용한 잠수함 항적탐색 가능성 (The Detectability of Submarine's Turbulent Wake on the sea surface using Ship-Wake Theory)

  • 이용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73-779
    • /
    • 2011
  • 자유전단류(Shear free flow) 가정을 이용한 수상함 항적모델을 잠수함에 적용 결과 잠수함 난류항적 지름은 $x^n,\;({\frac{1}{5}}{\leq}n\;<{\frac{1}{2}})$ 에 비례하였으며, 난류항적의 최소 확산을 가정할 때(${\sigma}=50.25$, 즉 ${\infty}\;x^{1/5}$인 경우), 길이65m, 폭 6.5m 속력 6kts 인 잠수함의 난류항적 반지름은 잠수함 함미로부터 1.2Km 후방에서 약 20m, 10Km 후방에서는 약 30m에 달하였고, 해수면에서 관측 가능한 잠수함 난류항적은 잔잔한 해상상태에서 잠수함 후방 약 15Km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쇄파가 발생하는 악천후에서는 해수면에서 난류항적을 관측하기는 매우 제한되었다. 이는 적어도 서해와 같이 얕은 잠수함 작전환경에서는 잠수함 난류항적이 해수면에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며 SAR와 같은 탐지체계를 이용 시 탐색 가능함을 의미한다.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Basic Research on Potential Application of Fire Detection by Measuring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 최수길;진세영;박상민;남영재;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37-46
    • /
    • 2020
  • 본 논문은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과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종이화재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 및 UL 268 종이화재실험에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교차 대입한 결과 공기질 측정기(IAQ) S1의 경우 PM 10(평균값제외), HCH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 IAQ S2의 경우 PM 1.0, PM 2.5, PM 10, 연소가스분석기(CGA)의 경우 C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가 모든 실험 조건에서 연기발생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를 통해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실험 조건에서 측정되는 인자들 중 적응성이 가장 우수한 PM 10 및 CO는 화재감지 인자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추백리의 혈청학적 진단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rological tests for pullorum disease)

  • 김정태;심항섭;김태종;고태오;우종태;유기승;박유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3-323
    • /
    • 1998
  • In order to establish a sensitive and specific diagnostic method for detection of antibody to Salmonella pullorum, 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was designed and standardized. The diagnostic efficacy of the established ELISA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serum plate agglutination test and immunodiffusion test for pullorum disease. 1. The chicken hyperimmune sera to Salmonella pullorum, S gallinarum, S typhimurium and S typhi were shown the cross reaction to S pullorum antigen by serum plate agglutination test. 2. When compared the cross reaction titer of microplate agglutination test for chickens hyperimmune sera, it was found that the titer were 64 in S pullorum, 32 in S gallinarum, 4 in S typhimurium and 8 in S typhi, respectively. 3. When compared the specificity of various antigen(HA, EA, PA and SA) by the immunodiffusion test, the most suitable antigen was phenol-treated bactrium. 4.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S pullorum antigen for ELISA was 1 : 160 dilution of bacterium. 5. The efficacy of the ELISA for detection of S pullorum antibody was compared with serum Plate agglutination test and immunodiffusion test in chickens infected with S pullorum. The antibody was first detected at 6 days after infection using three tests examined. The antibody was alldetected at 9 days by ELISA, at 12 days by serumplate agglutination test, at 15 days by immunodiffusion test.

  • PDF

Streptomyces coelicolor A[3]2에서 Mycothiol 생합성에 관여하는 Inositol Monophosphat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Inositol Monophosphatase Gene from Streptomyces coelicolor A[3]2)

  • 김진권;최학선;김성준;김시욱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62-466
    • /
    • 2004
  • S. coelicolor A3(2)로부터 항산화 저분자 thiol분자인 MSH를 HPLC 및 monobromobimane 형광 검출 방법으로 분리${\cdot}$정제하여 그 존재를 확인하였다. 표준물질인 MSH-bimane과 동일하게 용출되는 MSH 분획을 확인하였으며 여러 thiol 분획 중 MSH 분획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MSH가 S. coelicolor의 주된 thiol 화합물로 판단되었다. MSH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 중 I-1-Pase의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유전자를 방선균에서 분리한 후 대장균에 클로닝하여 과도발현시켰다. 발현된 I-1-Pase를 Ni-NTA column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I-1-Pase는 soluble protein으로 281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은 32 kDa이었다. 인간 및 대장균의 I-1-Pase와 각각 24와 $25\%$의 sequence homology를 보였으며, 기존의 I-1-Pase가 가지고 있는 공통의 I-1-Pase motif A와 motif B를 S. coelicolor A3(2)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chthyoplankton Detection Proportion and Margin of Error for the Scomber japonicus in Korean Coastal Seas

  • Kim, Sung;Cho, Hong-Ye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73-84
    • /
    • 2017
  •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s important for enhancing the precision of sampling while reducing unnecessary surveys. To estimate the ichthyoplankton detection proportion (IDP) and its margin of error (ME),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chub mackerel's (Scomber japonicus) ichthyoplankton presence-absence sampling data has been were collected over approximately 30 years (from 1982 to 2011) in the Korean coastal seas. Based on the computed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mackerel's IDP and ME, the confidence interval (CI) range, defined as 2 ME, decreases from approximately 80% to 40% as the sample size n increases from 4 to 24 and the ME is approximately 40% in the typical (seasonal survey) case n = 4 per year. The IDP and ME off Jeju Island are relatively high at the 0.5-degree smoothing level. After increasing the spatial smoothing level to 1.0-degree, the ME decreased,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lso changed due to the over-smoothing effects. In this study, the 0.5-degree smoothing is more suitable for the distribution pattern than the 1.0-degree smoothing level. The area of the high IDP and the low ME on the mackerel's ichthyoplankton was similar to the estimated spawning ground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information could contribute to enhancing for the spawning ecology surveys.

규칙기반 뉴스 비디오 앵커 TIT 검출방법: KBS와 MBC 9시 뉴스를 중심으로 (Rule-Based Anchor Shot Detection Method in News Video: KBS and MBC 9 Hour News Cases)

  • 유헌우;이명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0-59
    • /
    • 2007
  • 본 논문은 뉴스 비디오를 색인, 검색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의 기본 기술인 앵커 샷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현재 가장 많은 사람이 시청하는 'KBS 9시 뉴스'와 'MBC 9시 뉴스'의 앵커 샷의 특징 요소를 분석하여 4단계의 규칙기반 검출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전처리로 비디오의 샷 경계를 검출하고 첫 번째 프레임을 키 프레임으로 선택한 후에 다음의 4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해당 샷을 앵커 샷으로 판단한다. 1) 키 프레임에 앵커의 얼굴이 존재하는 가의 여부, 2) 에지의 분포가 구조적으로 적합한지의 여부, 3) 배경의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기존의 앵커모델의 색상과 유사한지의 여부, 마지막으로 4) 샷 내의 움직임 비율이 일정 임계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보이기 위해, 총 108분 분량의 서로 다른 날에 저장된 KBS와 MBC의 9시 뉴스 비디오에 대해 실험한 결과 평균적으로 0.91의 정확도와 1.0의 회수율, 0.98의 F-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광자극발광기의 방사선 조사 식품 검지에의 활용 (Application of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to Detection of Irradiated Foods)

  • 황금택;엄태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8-501
    • /
    • 1998
  • 광자극발광기(PSL)를 식품의 방사선조사 여부 판별에 적용 가능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고춧가루, 건조혼합향신료, 새우, 감자, 콩나물콩, 건조 무화과, 생밤, 건조오징어, 건조대구포 등을 $^{60}Co\;{\gamma}-$선을 사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고 PSL photon counts를 측정하였다. 비조사 시료의 photon counts는 감자의 경우는 2,000 이하, 그 외의 시료의 경우는 모두 1,000 이하를 나타냈다. 조사 시료는 건조 무화과(0.5 kGy), 생밤(0.2 kGy), 건조오징어(0.5 kGy)를 제외하고는 1,000 이상을 나타냈으며, 조사량에 따라 photon counts가 대부분 증가하였다. 따라서 PSL은 식품을 방사선 조사했는지 여부를 일차 판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인체팬톰을 이용한 2D-3D 정합시 타켓위치의 정확성 평가 (Evaluation of Target Position's Accuracy in 2D-3D Matching using Rando Phantom)

  • 장은성;강수만;이철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3-39
    • /
    • 2009
  • 목 적: 온보드 영상장치(OBI) 및 콘빔 CT (CBCT)를 이용하면 치료실에 위치한 환자의 자세 및 위치와 모의치료(SIMULATION) 시점의 환자의 자세 및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Detected offsets은 실제로 적용된 인체팬톰(Rando phantom) 위치의 오차와 비교되어 진다. 이후, 인체 팬톰은 detected 오차에 근거하여 couch를 움직여 위치선정 되었다. 또한 인체팬톰 위치 결정의 실측값과 이론값 오차값들을 비교하였으며, OBI를 사용하고 있는 KV X선영상의 2D와 CBCT의 3D 타켓 위치 정확성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신체 내부 구조가 모사된 팬톰(The Rando Phantom, Alderson Resarch Laboratories Inc. Stamford. CT, USA)을 사용하여 실제방사선 치료와 동일한 과정을 따라 모의치료(SIMULATION) 및 치료계획(RTP)을 시행한 후 치료 데이블 위에 인체 팬톰을 셋업한다. 정확히 위치가 재현된다고 가정되는 인체팬톰에 대해 3가지 방법으로 실험을 했는데 X, Y, Z축의 변화에 따라 셋업 오차를 측정했고 각각의 실험은 10회씩 반복되어 오차의 표준 편차를 구했다. DigiPas DWL-80G는 기울기의 각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였으며, 2D/2D 및 3D/3D정합의 실측치와 측정치를 비교 분석 하였다. 결 과: 온보드 영상장치로 획득한 정면 및 측면 kv x선 영상과 모의치료시 디지털 재구성 기준영상과의 2차원/2차원 정합시, 팬톰의 X, Y, Z 편차 평균값은 lat 0.12 cm, long -0.66 cm, vert 0.07 cm이며, 각도의 변화를 주었을 때 편차의 평균값은 lat -0.5 cm, long -0.3 cm, 팬톰의 몸을 약간 튼 상태에서의 편차 평균값은 각각 lat -0.5 cm, long 0.2 cm, vert -0.6 cm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빔CT로 획득한 영상과 모의치료 시 획득한 CT영상을 비교하는 3차원/3차원 정합에서 팬톰의 3가지 방법에서 편차의 평균 detection error와 표준편차는 lateral $0.5{\pm}0.4\;mm$, longitudinal $0.8{\pm}0.5\;mm$, vertical $0.4{\pm}0.3\;mm$로 각각 0-10 mm의 범위이다. Residual error에 해당되는 positioning couch shift 변수는 $0.6{\pm}0.3\;mm$, $0.5{\pm}0.3\;mm$, $0.3{\pm}0.1\;mm$이다. 20-50 mm까지 longitudinal shift에 의한 평균 detection error는 각각 lateral $0.4{\pm}0.2\;mm$, longitudinal $0.3{\pm}0.2\;mm$, vertical $0.3{\pm}0.3\;mm$이다. Residual error는 $0.6{\pm}0.3\;mm$, $0.6{\pm}0.2\;mm$, $0.4{\pm}0.1\;mm$이다. Detection error는 모두 0.0~0.6 mm 범위이다. Residual error는 0.3~0.9 mm 범위로 나타났다. 결 론: 온보드 영상장치(OBI) 및 콘빔 CT (CBCT)를 이용하여 표적위치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치료실에 위치한 환자의 자세 및 위치와 모의치료(SIMULATION) 시점의 환자의 자세 및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그러므로 OBI 및 CBCT를 이용한 2D/2D 및 3D/3D 정합은 모의 치료 시와 환자 치료 시 정확한 정합을 함으로써 error를 최소화 할 것으로 평가된다.

  • PDF

국내 유통 중인 환약의 미생물 검출수준 (Microbial detection on pill types of herbal medicine in South Korea)

  • 고광표;신헌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3-162
    • /
    • 2011
  • 1. 서울, 경기소재 한의원에서 환약 10종과 경기소재 약국1곳에서 판매되는 한방환약 10종, 총 20종의 환약에 대해 미생물검출연구를 하였다. 2. 총세균수는 한의원환약, 약국환약에서 모두 WHO기준(1.0${\times}$107) 이내로 검출되었다. 3. 총진균수는 한의원환약, 약국환약의 각각 2종류, 1개제품에서 WHO기준(1.0${\times}$104)을 초과 하였다. 4. 배양 비의존적 방법을 이용하여 환약에 분포하는 Bacteria를 동정한 결과,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토양에 존재하는 Firmicutes문, Proteobacteria문의 두 종류에 속하였다. 5. 환약의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생산, 가공, 유통, 보관 등 각 단계에서의 추가적인 미생물검출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