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aureus

검색결과 2,071건 처리시간 0.028초

세안탕(洗眼湯)이 Staphylococcus species(S. aureus, S. epidermidis)의 배양일에 따른 항균효과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continuous Anti-bacterial Potency of Sean-tang on Cultivation of Staphylococcus species(S. aureus, S. epidermidis))

  • 전오도;서형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0권2호통권23호
    • /
    • pp.19-23
    • /
    • 2007
  • Objectives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inuous anti-bacterial potency of Sean-tang on cultivation of Staphylococcus species(S. aureus, S. epidermidis) that induce eye disease. Methods :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was measured by dropping to 50${\mu}$l diluted Sean-tang(100%, 10%,1%, 0.1%) on S. aureus, S. epidermidis that were cultivated from 2 to 6 days. 1. Anti-bacterial potency was measured by the size of inhibition zone with change of volume(20${\mu}$l, 30${\mu}$l, 40${\mu}$l, 50${\mu}$l). Results : 1. Anti-bacterial potency of Sean-tang on S. aureus was appeared in 100% and increased on 6 days. Anti-bacterial potency with change of volume was increased in propotion to increase volume. Anti-bacterial potency of Sean-tang on S. aureus was appeared continuous. 2. Anti-bacterial potency of S. epidermidis was appeared in 100%, 10%, 1% on 2 days and in100%, 10% on 6 days. In 100% Sean-tang, Anti-bacterial potency of 6 days was increased, in 10%, 1%, Anti-bacterial potency of 2 days was increased. Anti-bacterial potency with change of volume was increased inpropotion to increase volume and increased on 6 days, but bacteria was increased. Anti-bacterial potency Sean-tang on S. epidermidis wasn't appeared continuous. Conclusions : Anti-bacterial potency of Sean-tang on cultivation of S. aureus was showed continuous, but on cultivation of S. epidermidis was not showed continuous.

Thermal Inactivation of Sodium-Habituated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Heat Sauces

  • Park, Ahreum;Lee, Jinhee;Jeong, Sook-Jin;Hwang, In-Gyun;Lee, Soon-Ho;Cho, Joon-Il;Yoon, Yoh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13-717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dium habituation on thermal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n various ready-to-heat (RTH) sauces. The strain mixture of S. aureus strains KACC10768, KACC10778, KACC11596, KACC13236 and NCCP10862 was habituated up to 9% of NaCl. The inocula of NaCl-habituated and non-habituated S. aureus were inoculated in 5 g portions of pork cutlet, meat and Carbonara sauces at 7 Log CFU/g, and the samples were vortexed vigorously. The inoculated samples were then exposed to 60 and $70^{\circ}C$ in a water-bath, and survivals of total bacteria and S. aureus were enumerated on tryptic soy agar and mannitol salt agar, respectively, every 30 min for 120 min. At 60oC, the cell counts of total bacteria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s between sodium-habituated and non-habituated S. aureus were observed only in the Carbonara sauce; the tailing effect, which is the period of no reduction of bacterial cell counts, was observed in pork cutlet, meat and Carbonara sauces subjected to $60^{\circ}C$. At $70^{\circ}C$, total bacterial populations and sodium-habituated and non-habituated S. aureus cell counts in meat and Carbonara sauc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fter 30 min of heat treatment, followed by the obvious tailing effect. Sodium-habituated S. aureus cell counts in meat and Carbonara sauces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non-habituated S. aureus at $70^{\circ}C$. The results indicate that sodium habituation of S. aureus cells may increase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pathogen in RTH sauces; moreover, heating RTH sauces for a short time before serving may not sufficiently decrease the cell counts of S. aureus, particularly for sodium-habituated strain.

나이신과 박테리오파지의 병용처리에 의한 Staphylococcus aureus의 제어 효과 (Control Effect of Staphylococcus aureus by Co-Treatment of Nisin and a Bacteriophage)

  • 김선규;문기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88-492
    • /
    • 2021
  • 대표적인 상업화된 박테리오신인 나이신은 Listeria monocytogenes 및 Staphylococcus aureus와 같은 병원성 세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 활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는 나이신 제품을 박테리오파지 SAP84와 함께 병용처리했을 때 S. aureus 억제에 대한 상승효과에 대하여 평가했다. S. aureus KCTC 3881 균주에 대해 나이신은 농도의존적으로 생균수를 감소시켰으며 18 IU/mL의 나이신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6시간째에 4.03 Log CFU/mL의 균수가 감소된 반면, 동일 용량의 나이신이 박테리오파지 SAP84 (0.1 MOI)와 병용처리 되었을 때 5.54 Log CFU/mL의 생균수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나이신과 SAP84의 조합은 양상추에서 S. aureus 균주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급식실 실내공기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과 바실러스 세레우스의 독소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Toxin Gene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Indoor Air in Cafeteria)

  • 오도경;조아현;김찬영;정은선;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20-52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실내공기에서 분리된 식중독 균주의 독소 유전자 분포와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여 보육시설 실내공기에 의한 식중독 발생을 사전 예방하고 식중독 발생 시 적절한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어린이집 실내공기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aureus 16주, Bacillus cereus 37주를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S. aureus와 B. cereus 독소 유전자는 PCR 방법으로 검출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은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 Institute의 디스크 확산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S. aureus 16 균주 중 11 균주(68.6%)에서 seg와 sei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B. cereus 37 균주 모두에서 nheA와 nheB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B. cereus 독소 유전자 패턴은 총 12개로 나타났으며 nheA-nheB-nheC 독소 유전자가 가장 중요한 패턴으로 나타났다. S. aureus 16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실험 결과 ampicillin과 penicillin 항생제에 93.8%, 87.5% 내성을 나타내었으나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와 vacomyc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 37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 ampicillin과 penicillin 항생제에 100% 내성을 나타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보육시설 실내공기에 오염된 S. aureus와 B. cereus에 의한 식중독을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환기와 공기 질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배지의 pH에 따른 녹차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 와 Salmonella typhimurium에 따른 항균작용 (Changes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in Various pH of Culture Broth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 박찬성;차문석;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6-212
    • /
    • 2001
  • Water extract of green tea(GTW) and 70% ethanol extract of green tea(GTE) were prepared for the test of antibacterial activity. The sensitivity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o the green tea extracts in various pH of culture broth was tested. Tryptic soy broth(TSB) containing 0∼2%(w/v) of green tea extracts was adjusted to pH 5.0∼7.0 and inoculated with 10$\^$5/∼10$\^$6/ cells/ml of each bacteria. The plate counting method and clear zone test were used to determine inhibi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Green tea extracts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S. aureus at 0.5% level and bactercidal at 0.5∼1.0% level of GTW and GTE at pH 5.0∼7.0. Green tea extracts were bactercidal to S. typhimurium at 1.5∼2.0% level of GTW and 1.0∼2.0% level of GTE at pH 7.0. Sal. typhimurium was more resistant than S. aureus. in same concentration of green tea extracts at same pH. The resistance of S. aureus and Sal. typhimurium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of culture broth. The morphology of S. aureus cells treated with green tea extracts showed damage of cell wall and cytoplasmic membrane. Severely damaged cells of S. aureus lost electron dense material and cytoplasm. Green tea extracts stimulated autolysis and cell death of S. aureus. This result suggests that green tea extrac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 PDF

아토피 피부염에서 황색포도상구균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Atopic Dermatitis)

  • 김미례;우승은;신순오;홍성미;양시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3-97
    • /
    • 2006
  • 황색포도상구균이 정상인 피부의 경우 $2{\sim}25%$에서 검출되는 반면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소아와 어른에 있어 $78{\sim}100%$의 높은 비율로 검출되며, 황색포도상구균과 초항원으로 작용하는 독소가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 및 발병기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 피부의 황색포도상구균의 분석과 함께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연령, 성별, 발병 연령과 투병기간, 악화되는 계절 및 진물과 황색포도상구균과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 대부분(84%)에서 병변부에 S. aureus가 집락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 S. aureus가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아토피 피부염 병변부의 진물과 S. aureus의 밀접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서 황색포도상구균 및 초항원독소를 차단한다면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Staphylococcus aureus의 Coagulase 생성능과 R-플라스미드 분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f Coagulase Production and Isolation of R-plasmid from Staphylococcus aureus)

  • 윤효숙;이형환;김수영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9-266
    • /
    • 1987
  • A total of 129 clinical isolates of Staphylococcu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the tests of coagulase production, haemagglutination, mannitol fermentation, DNase production and hemolysis. Ninety-nine out of them showed positive reactions to the tests, therefore they were identified as Staphylococcus aureus. The isolates showing positive reaction in haemagglutination test also showed 100% of tube coagulase positive reaction. The haemagglutination test was a reliable method for identifying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clinical laboratory. S. aureus produced stronger hemolysis with human blood agar than with sheep blood agar. Antibiotic resistant S. aureus isolates(S-46, S-112, S-126) had 4 to 6 p]asmid DNA elements. The S-112 strain had 6 plasmid DNA elements(1.8, 2.2, 3.7, $26.3{\sim}50$, and 70 Mdaltons), the S-126 had 4 elements(2.6, 4.2, $4.6{\sim}60Md$), and the S-46 had 1 element(${\sim}100Md$). PPSA strain had 4 plasmid DNA elements(2.5, 4.2, $4.6{\sim}60Md$) and S. aureurs(ATCC) strain contained 9.4, 26.3 and ${\sim}50Md$ plasmid DNA elements.

  • PDF

어린이집 소아에서의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보균율에 관한 연구 (Nasal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Healthy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 김영민;오지은;김소희;이진아;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1호
    • /
    • pp.9-15
    • /
    • 2010
  • 목 적 : 국내 어린이집을 다니는 소아를 대상으로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과 이런 보균율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9월에서 10월까지 서울 지역에 위치한 7개 어린이집의 소아 중 서면 동의를 받은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인구학적 자료 및 의료기관 관련 위험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어린이집의 소아들의 비강을 도찰하여 얻은 검체를 증균 및 선택배지에 접종한 후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황색포도알균을 동정 및 분리하였고 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메티실린 감수성을 결정하였다. 결 과: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55개월 이었으며 남녀비는 1.1:1.0이었고 최근 1년 이내에 입원력 및 수술력이 있는 환아는 각각 9.2%, 3.6%였고 항생제 사용력은 약 40%에서 확인되었다. 전체 428명의 소아 중 163명에서 비강 내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어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은 38.1%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24.5%는 메티실린 내성 균주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비강 내 MRSA 보균이 9.3%의 소아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들 대부분이 의료기관 관련 위험요소가 없는 소아였다. 결 론:국내 소아의 약 38% 및 9%가 비강 내 황색포도알균 및 MRSA 보균자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분리된 MRSA의 95%가 CA-MRSA 균주였다. 향후 비강내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율의 변화 및 CA-MRSA 보균율의 변화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일개 대학병원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한 포도알균 항생제 내성 경향 차이 (Differences in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by Clinical Specimen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

  • 홍성노;김준;성현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5-92
    • /
    • 2018
  • 황색포도상구균의 유병률에 대한 정보와 항생제 내성 리스트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의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데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의 어느 병원 임상 검체에서 얻은 황색포도상구균 균주의 빈도와 항생제 저항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람 양성구균 1,746 개의 균은 S. aureus으로 확인되었다. S. aureus은 객담(N=565, 32.4%), 기관내 흡인(358, 20.5%), 상처(329, 18.8%), 혈액(137명, 7.8 %), 고름(59 %, 3.4 %)이었다. 객담, 기관 내 흡인, 상처, 혈액, 소변 및 고름에서 스크리닝 된 1,282개의 S. aureus 균주 모두 글리코 펩타이드 옥시 졸리 디논(리네 졸리드) 및 스트렙토그라민(퀴뉴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에서 모두 민감성이 나타났다. 황색 포도상 구균은 기관 내 흡인과 비교하면 소변, 혈액, 고름, 상처 및 객담에서 내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기관내 흡인 검체에서 분리 된 황색포도상 구균의 경우 특히 내성의 빈도가 높았다. 결과적으로, 임상 표본에 따라 황색 포도상 구균의 항생제 저항성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Molecular Typing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Raw Milk, Cheese, Minced Meat, and Chicken Meat Samples

  • Can, Hayriye Yesim;Elmali, Mehmet;Karagoz, Alper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5-180
    • /
    • 201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i) to detect the pres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in raw milk, cheese, beef minced meat, and chicken meat samples; ii)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he isolates; and iii) to determine clonal relation among the isolates by using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method. Therefore, a total of 160 food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between August 2014 and May 2015 in Hatay province, located in the southern Turkey. Twenty (12.5%) of the samples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with S. aureus. A total of 40 isolates from the 20 positive samples were confirmed to be S. aureus by multiplex PCR based on 16S rRNA and nuc gene. The mec A gene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S. aureus strains. In the present study, 39 out of 40 (97.5%) isolates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one or more antibiotics. All of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gentamicin, oxacillin, and vancomycin. The highest resistance rate was detected in penicillin (95%) and ampicillin (92.5%), followed by tetracycline (30%), erythromycin (20%), ciprofloxacin (12.5%). Nine major patterns were determined by PFGE. In 6 of these patterns, thirty-six strains (90%) had identical PFGE prof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