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cerevisiae

검색결과 924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Engineere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enting Cellobiose through Low-Energy-Consuming Phosphorolytic Pathway in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 Choi, Hyo-Jin;Jin, Yong-Su;Lee, Won-H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117-125
    • /
    • 2022
  • Until recently, four types of cellobiose-fermenting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s have been developed by introduction of a cellobiose metabolic pathway based on either intracellular β-glucosidase (GH1-1) or cellobiose phosphorylase (CBP), along with either an energy-consuming active cellodextrin transporter (CDT-1) or a non-energy-consuming passive cellodextrin facilitator (CDT-2). In this study, the ethanol production performance of two cellobiose-fermenting S. cerevisiae strains expressing mutant CDT-2 (N306I) with GH1-1 or CBP were compared with two cellobiose-fermenting S. cerevisiae strains expressing mutant CDT-1 (F213L) with GH1-1 or CBP in the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SSF) of cellulose under various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regardless of the SSF conditions, the phosphorolytic cellobiose-fermenting S. cerevisiae expressing mutant CDT-2 with CBP showed the best ethanol production among the four strains. In addition, during SSF contaminated by lactic acid bacteria, the phosphorolytic cellobiose-fermenting S. cerevisiae expressing mutant CDT-2 with CBP showed the highest ethanol production and the lowest lactate formation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trains, such as the hydrolytic cellobiose-fermenting S. cerevisiae expressing mutant CDT-1 with GH1-1, and the glucose-fermenting S. cerevisiae with extracellular β-glucosid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ellobiose-fermenting yeast strain exhibiting low energy consumption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SSF of cellulosic biomass.

미백성 Tyrsoinase 저해물질 생산 비병원성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0191와 Papiliotrema laurentii ON30의 균학적 특성과 Tyrosinase 저해물질의 생산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hitening Tyrosinase Inhibitor-producing Wild Yeasts,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0191 and Papiliotrema laurentii ON30 and Production)

  • 김지윤;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5-296
    • /
    • 2020
  • 본 연구는 야생효모로부터 미백성 tyrosinase 저해 물질을 생산하여 기능성 화장품 생산에 응용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위해 대전광역시 3대 하천과 충남 금산의 향신료 재배지의 주변 토양들과 부식물 등에서 분리한 비병원성 효모들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우수 균주들을 선발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과 tyrosinase 저해제 생산 조건을 조사하였다. 먼저 대전시 하천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에서는 S. cerevisiae WJSL0191의 무세포추출물이 가장높은 33.2%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고 금산 향신료 재배지에서 분리한 효모중에서는 P. laurentii ON30가 27.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이들 두효모들을 우수균주들로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균주 모두 자낭포자를 형성하였으나 의균사를 형성하지 않았고 YPD 배지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다. 특히S. cerevisiae WJSL0191은 20% 포도당을 함유한 YPD 배지와 15% NaC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는 내당성과 호염성을 보였다. S. cerevisiae WJSL0191과 P. laurentii ON30의 주름생성 억제에 관련된 elastase 저해 활성은 각각 26.2, 18.6%를 보였고 노화 억제관련 SOD유사활성은 각각 10.2%와 3.7%로 나타내었다. S. cerevisiae WJSL0191의 tyrosinase 저해물질의 최적 생산 조건은 30℃에서 72시간동안 YPD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최고 96.1%의 저해활성을 보였고, P. laurentii ON30은 YPD 배지로 20℃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30.4%의 최고 저해활성을나타내었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 추출물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알콜발효 및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on Alcohol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Saccharomyce cerevisiae)

  • 최재천;이시경;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278-282
    • /
    • 1995
  • 오미자 추출물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포도당 기본배지에 오미자 추출물을 0, 0.01, 0.1, 0.5, 1%(w/v)씩 첨가하고 S. cerevisiae KTCC 1199를 접종하여 96시간 진탕배양하면서 균의 증식, 알콜생성, 발효율 등의 변화와 alcohol dehydrogenase, pyruvate decarboxylase활성을 조사하였다. S. cerevisiae의 증식은 전 발효기간중 추출물 0.01%및 0.1%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며, 각 시험구의 알콜생성은 추출물 0.1%, 0.01%, 0%, 0.5%, 1% 첨가순으로 0.1%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alcohol dehydrogenase 효소활성은 0.1%구와 0.01%구에서 대조구보다 각각 1.25배, 1.18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pyruvate decarboxylase 활성의 경우도 ADH 활성과 유사하여 각각 대조구보다 1.31배, 1.26배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0.5%구와 1%구는 대조구보다 각각 1.3배및 1.4배 낮은 활성을 보였다.

  • PDF

Monascus Red Pigment Overproduction by Coculture with Recombinant Saccharomyces cerevisiae Secreting Glucoamylase

  • Lim, Ho-Soo;Yoo, Seung-Ku;Shin, Chul-Soo;Hyun, You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8권1호
    • /
    • pp.48-51
    • /
    • 2000
  • In liquid cultures using sucrose media, the coculture of Monascus with recombinant Saccharomyces cerevisiae expressing the glucoamylase gene from Aspergillus niger enhanced red pigment production by approx. 19%, compared with the coculture of wild type S. cerevisiae. Coculture with recombinant S. cerevisiae was more effective than with wild type S. cerevisiae for Monascus red pigment production. Cocultures of Monascus with commercial amylases of Aspergillus also induced high production of pigment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a solid culture using sucrose media.

  • PDF

Growth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NK28 Isolated from Kiwi Fruit

  • Lee, Jong-Sub;Park, Eun-Hee;Kim, Jung-Wan;Yeo, Soo-Hwan;Kim, Myoung-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9호
    • /
    • pp.1253-1259
    • /
    • 2013
  • The influences of glucose concentration, initial medium acidity (pH),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ethanol produc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NK28, which was isolated from kiwi fruit, were examined in shake flask cultures. The optimal glucose concentration, initial medium pH, and temperature for ethanol production were 200 g/l, pH 6.0, and $35^{\circ}C$, respectively. Under this growth condition, S. cerevisiae NK28 produced $98.9{\pm}5.67$ g/l ethanol in 24 h with a volumetric ethanol production rate of $4.12{\pm}0.24g/l{\cdot}h$. S. cerevisiae NK28 was more tolerant to heat and ethanol than laboratory strain S. cerevisiae BY4742, and its tolerance to ethanol and fermentation inhibitors was comparable to that of an ethanologen, S. cerevisiae D5A.

Hansenula anomala var. anomala와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원형질체 재생에 관한 연구 (Regeneration of Yeast Protoplast in Hansenula anomala var. anomala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구영조;박완수;신동화;유태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5-149
    • /
    • 1985
  • 전분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분리동정된 전분이용성 효모 H. anomala var. anomala FRI YO-32와 S. cerevisiae와의 세포융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두 효모원형질체의 재생을 위한 최적조건들이 검토되었다. S. cerevisiae에 비하여 FRI YO-32균주의 원형질체가 삼투압안정성이 더 좋았으며 원형질체 재생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로서 agar와 삼투압안정제의 농도, 원형 질체 배양방법 등이 검토되었다. 또한 원형 질체 형성을 위한 효소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원형 질체 형성수율은 증가하나 재생효율은 감소하였다.

  • PDF

납의 생물흡착에 미치는 세포외고분자물질의 영향 (Effect of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EPS) on the Biosorption of Lead by Microorganisums)

  • 서정호;김동석;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66-70
    • /
    • 1999
  • A pullulans와 S Cerevisiae의 납 제거 특성을 비교하고, 미생물이 분비하는 세포외고분자물질의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A pullulans의 경우에 미생물의 보관시간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이 분비하는 세포외고분자물질의 양도 증가하였으며, 납 제거능도 우수해졌다. 그러나 세포외고분자물질을 제거한 A pullulans세포에서는 납 흡착량이 약 10%로 매우 적었다. S Cerevisiae의 경우에는 세포외고분자물질은 거의 분비되지 않았으며, 보관시간에 따른 납 흡착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또한 보관시간이 경과할수록 흡착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점점 짧아졌다. 따라서 A pullulans와 S Cerevisiae의 납제거 기작은 세포외고분자물질의 유무에 따라 매우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Pichia anomala JK04와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의 혼합발효에 의한 감와인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wine by the mixed culture of Pichia anomala JK04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cells)

  • 권수진;최준수;여수환;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68-7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와인제조에 있어 향미 증진과 같은 품질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Pichia anomala JK04와 일반적으로 와인 양조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을 혼합 발효하여 감와인의 발효 특성을 비교하였다. 감와인의 발효특성 결과 발효 종료 시 대부분의 실험구에서 pH 4.0~4.2, 총산 0.5~0.6%를 나타내었다. 당도와 환원당 함량 변화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점차 감소하여 S. cerevisiae Fermivin 단독 발효구와 P. anomala JK04 혼합 첨가 발효구에서 발효 종료시점에서 대부분의 당이 소비되었다. 최종 알코올 함량은 S. cerevisiae Fermivin 단독 발효구와 S. cerevisiae Fermivin과 P. anomala JK04의 혼합첨가 발효구에서 알코올 생성이 빨랐으며 발효 종료 시 모든 구의 알코올 농도는 12~13%를 나타내었다. 각 첨가구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0.05 mg/mL로 초기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감와인의 hue value는 발효 초기에 비해 증가하여 4~5의 값을 나타내었고, intensity value는 발효초기 0.5의 값에서 점차 감소하여 발효 종료 시까지 0.1~0.2의 값을 유지하였으며 휘발성 향기성분의 경우 P. anomala JK04의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 보다 다양한 알코올류, 에스테르류가 생성되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 향기와 맛의 평가에서 P. anomala JK04를 첨가한 모든 혼합 발효구에서 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Kluyveromyces fragilis의 Alkaline Phosphatase 유전자의 E. coli 및 S. cerevisiae 에서의 발현 (Es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Gene from Kluyveromyces fragilis in E. coli and S. cerevisiae)

  • 박수영;황선갑;이동선;김종국;남주현;홍순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1-137
    • /
    • 1995
  • The alkaline phosphatase (K-ALPase) gene of Kluyveromyces fragilis has been cloned (1) and determined its base sequences (2) previously in our laboratory. When the K-ALPase gene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it showed a constitutive activity in E. coli, and a derepressed activity in S. cerevisiae in phosphate-limited medium. Northem hybridizatio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transcription level of the K-ALPase gene. Northern experiment showed that transcription level of K-ALPase gene in S. cerevisiae was higher in phosphate depletion, but it was higher in high phosphate medium than in phosphate limited medium in K. fragilis. The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of the K-ALPase gene was determined by primer extension analysis. It matched nucleotide position - 169 in relation to the putative trnslational start site.

  • PDF

감 과실로부터 알코올 발효 효모의 분리 및 특성

  • 이창호;박희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6-270
    • /
    • 1997
  • From persimmon fruits, about 40 yeast strains were isolated and tested for their ability of alcohol fermentation were tested. Among them, two strains, RCY14 and RCY15, showing the highest alcohol fermentibility were selected for further investigations. They were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Saccharomyces kluyveri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Their optimum condition for the alcohol fermentation in YPD-15% glucose was pH 6.0, 30$circ$C and 120 rpm of shaking speed. The alcohol yields of S. cerevisiae RCY14 and S. kluyveri RCY15 in a persimmon juice were 94.54 and 96.81%, respectively. Although the alcohol yields of both strains were not very high in YPD-15% glucose, they were much higher in a persimmon juice as compared to those of S. cerevisiae Balyon-1, S. cerevisiae 701 and S. cerevisiaein W3 which are being used in the industrial alcohol ferm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