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community development

검색결과 1,463건 처리시간 0.025초

예방접종 홍보광고 전략개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dvertising Strategy and Public Service Announcement Materials for National Immunization)

  • 오국환;이무식;김병희;나백주;김건엽;홍지영;김영택;고재영;김영숙;이석구;조형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0권2호
    • /
    • pp.183-204
    • /
    • 2005
  • 본 연구 목적은 예방접종에 대한 교육홍보 기본 컨셉 도출, 매체 집행전략 개발, 매체시안 개발을 위해 광고전략 조사를 실시하여, 2000년대에 국가예방접종사업의 홍보고안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코자 실시하게 되었다. 연구대상과 방법으로 우리나라 보건소 242개 중 169개 보건소에 종사하는 예방접종 담당자(242명)와 자녀의 예방접종을 위해 보건소에 내소한 보호자(1,193명)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예방접종에 대한 주관적 중요도, 예방접종 사업에 대한 홍보 경험 및 수단,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인식, 예방접종 홍보광고 전략개발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빈도 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로 예방접종 담당자는 예방접종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접종 사업의 홍보 매체 경험율에 대해서는 예방접종 담당자는 91.3%, 보호자는 70.6%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일반대중이나 광고 전문인 모두 자주 접할 수 있는 TV, 지역신문, 팜프렛 등의 홍보광고 수단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방접종에 대한 지식과 인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예방접종 담당자가 예방접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호자는 예방접종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방접종 홍보매체의 선호도에서는 예방접종 담당자가 팜프렛 76.0%, 포스터 44.6% 순으로 나타났고 보호자는 TV 70.5%, 지역신문 39.2%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포스터 색상 선호도 조사에서는 예방접종 담당자가 초록 32.0%, 노랑 19.9% 순이었고, 보호자 역시 초록 29.5% 노랑 22.0% 순으로 나타났다. 광고 스타일 선호도 조사에서는 예방접종 담당자는 유명인사나 연예인이 예방접종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활기차고 건강하다는 생활 장면을 보여주는 스타일로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캠페인용 슬로건의 선호도 조상에서는 예방접종 담당자와 보호자 모두 긍정적 메시지를 선호하였다. 연구를 통해 예방접종 사업의 중단기 홍보전략에 대한 실행방안 구체화와 비교평가를 통한 가장 효율적인 홍보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사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현실적 대중 요구를 반영한 홍보매체 개발, 홍보전략에 근거한 홍보매체 개발, 매체에 대한 평가연구, 연구방법 및 평가가 요구된다. 또한 교육홍보매체에 활용될 표준매체 제작 및 집행지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정부 또는 국가 공공기관의 예산 투자, 인력 투입과 활용 등을 통해 국가 예방 접종 사업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 PDF

보건소 금연사업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obacco Control Programs of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 박순우;이주열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87-100
    • /
    • 2009
  • 보건소의 금연사업은 정부의 정책이 지역사회에서 대주민 사업을 통해 직접 수행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보건소 금연사업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발전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보건소 금연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 파악을 하여 이를 근거로 보건소 금연사업의 개선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6년 11월에 전국의 보건소 금연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교육 참석자 및 우편 혹은 이메일을 통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46개 보건소 중에서 213명이 응답하였고 그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1건을 제외한 212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금연사업 담당자들의 업무 경력에서 86.7%가 금연사업 종사 기간이 3년 미만이었고 90% 정도가 87.3%가 다른 업무를 겸하고 있었다. 금연사업의 내용으로서 포스터나 리플렛을 이용한 홍보와 중고등학생 대상 흡연예방 교육을 거의 모든 보건소에서 실시하였으며, 실제적인 사업의 우선순위는 지역사회 진단이 아닌 현실적인 이유에 의해 결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업수행을 위한 자원에서 예산이 부족하다고 한 경우는 1.9%에 지나지 않았으며 44.7%가 인력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사업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은 스스로 터득하거나 전임자의 도움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금연사업을 위한 부서간 업무 조율이 잘 된다는 경우가 39.5%에 지나지 않았으며, 금연사업 지원을 위한 중앙정부의 기능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경향이었다. 보건소 금연사업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서 인력의 역량강화가 65.6%로서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 보건소 금연사업의 발전을 위해서 향후 보건소 금연사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고 지역사회 여건에 적합한 금연사업의 기획 및 수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보건소 인력의 역량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훈련 과정의 지속적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업대상자의 참여 유도 방안 개발,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 활용 강화, 부서간 업무 연계의 강화방안 마련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95세 이상 남녀 초고령 노인의 체격지수와 식습관 및 영양섭취 실태 (Anthropometric Index,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of the Oldest-old Population Aged 95 and Over Living in Seoul)

  • 곽충실;조지현;연미영;박상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03-622
    • /
    • 2012
  • The population aged 95 years and older in Seoul approximately increased to five-fold over the past 10 years, while nationwide rates increased to three-fold. In order to examine the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status of oldest-old population living in Seoul, we recruited 87 subjects (25 males and 62 females) aged 95 years and older. The prevalence of underweight (BMI < 18.5 $kg/m^2$) and obesity (BMI ${\geq}25kg/m^2$) were 18.2% and 18.2% in males, and 20.8% and 9.4% in females, respectively. In self-assessment of health, only 25.3% answered to be unhealthy. More males exercised regularly and reported a wide range of activities than females. The average of %Kcal from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C : P : F) was 64.9 : 13.8 : 21.2 in males and 68.1 : 14.2 : 17.7 in females. The average daily energy intake was 1,307 kcal in males and 1,304 kcal in females. More than 75% of subjects were taking under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EAR) for vitamin $B_1$, $B_2$ & C and Ca. The average of mean adequacy ratio (MAR) was 0.66 in males and 0.70 in females, and 28.8% of males and 12.9% of females were in MAR < 0.50. Based on MAR, 32.0% of males and 14.5% females were classified as normal and 16.0% of males and 25.8% of females were classified as malnourished. Our subjects were taking more animal food, especially milk and its products, compared to those living, in rural areas. However, a significant proportion did not meet the EAR for vitamin $B_1$, $B_2$ & C and Ca.

일부도시영세민의 가족계획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mily Planning Status of an Urban Slum Population)

  • 노순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50-61
    • /
    • 1973
  • Despite the intensive family Planning program of the government, which has reduced the :average population growth to 2.0 percent in 1970, the continuing high fertility rates and poor family planning services in urban slum areas has been continually pointed out by various evaluation seminars. Thus, it was felt that a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family planning in an urban slum population was needed.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1) deline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slum population (2) discover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family planing. (3) determine what was felt to be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4) determine the status of induced abortion. A random stratified sample of 200 women was selected from a population of 3, 118 married women, 20-49 years of age, living in the Yonsei Community Health Project area and registered at the Yonhee Community Health Service Institute. The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by the investigates, using a pretested questionary, from the period of October 1 to October 30, 1972.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f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in the high fertility age group (25-34): of lower educational level (under primary School) : from rural areas: and with unstable sources of income. 2. The average respondent had 3.6 living children. 3. Most of the respondents had knowledge of contraceptive methods such as the Loop(78, 5%) and Oral pill (87.0%). 4. Seventy sev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Health Center as an available source for family planning. 5. About seven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approved of family planning. 6. Eighty four point five percent of all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using contraceptives is harmful to maternal health. 7. Currently, 21.0 percent of the respondents were using contraceptives, while 40.0 percent of the respondents were current users or had used contraceptives. 5. Of the respondents who had ever stopped using contraceptives, 78.0 percent gave side effects as the reason they discontinued the method. 9. The average number of ideal children reported by the respondents was 3.5. 10. If they had only 2 daughters, 85.5 Percent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ey must have more children. 11. Sixty nine point five percent of the respondents approved of induced abortion for unwanted pregnancies, while 34.5 percent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induced abortion for unwanted pregnancies. The mean number of induced abortion for unwanted pregnancies was 0.7. 12.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uch urban slum population w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rget of the family planning services, therefore further social-psychological researches with technical development on this area are recommended.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at Risk of Cholangiocarcinoma in Chum Phaung District, Nakhon Ratchasima Province of Thailand

  • Kaewpitoon, Soraya J;Rujirakul, Ratana;Loyd, Ryan A;Matrakool, Likit;Sangkudloa, Amnat;Kaewthani, Sarochinee;Khemplila, Kritsakorn;Eaksanti, Thawatchai;Phatisena, Tanida;Kujapun, Jirawoot;Norkaew, Jun;Joosiri, Apinya;Kae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2호
    • /
    • pp.719-722
    • /
    • 2016
  • Background: Cholangiocarcinoma (CCA) is a serious health problem in Thailand, particularly in northeastern and northern regions, but epidemiological studies are scarce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CA remains to be determined. A database for the population at risk is required for monitoring, surveillance and organization of home health care. This study aim was to geo-visually display the distribution of CCA in northeast Thailand,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Google Earth.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arried out in 9 sub-districts and 133 villages in Chum Phuang district, Nakhon Ratchasima province during June and October 2015. Data on demography, and the population at risk for CCA were combined with the points of villages, sub-district boundaries, district boundaries, and points of hospitals in districts, then fed into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fter the conversion, all of the data were imported into Google Earth for geo-visualization. Results: A total of 11,960 from 83,096 popul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emales and male were 52.5%, and 47.8%, the age group 41-50 years old 33.3%. Individual risk for CCA was identifed and classified by using the Korat CCA verbal screening test as low (92.8%), followed by high risk (6.74%), and no (0.49%), respectively. Gender ($X^2$-test=1143.63, p-value= 0.001), age group ($X^2$-test==211.36, p-value=0.0001), and sub-district ($X^2$-test=1471.858, p-value=0.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CA risk.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at risk for CCA in Chum Phuang district was viewed with Google Earth. Geo-visual display followed Layer 1: District, Layer 2: Sub-district, Layer 3: Number of low risk in village, Layer 4: Number of high risk in village, and Layer 5: Hospital in Chum Phuang District and their related catchment areas. Conclusions: We present the first risk geo-visual display of CCA in this rural community, which is important for spatial targeting of control efforts. Risk appears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gender, age group, and sub-district. Therefor, spatial distribution is suitable for the use in the further monitoring, surveillance, and home health care for CCA.

시용 유기물을 달리한 토양에서 미생물 군락의 효소활성과 기능적 다양성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Dynamics of Enzyme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Diversity in Soils under Different Organic Managements)

  • 박기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7-316
    • /
    • 2009
  • 토양 개량을 위해 시용하는 유기물은 종류에 따라서 토양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르며 그 효과는 계절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다. 도시 가로수 폐기물 퇴비, 가금류 분뇨, 귀리와 레드 클로버의 피복작물이 토양 효소활성과 토양 미생물의 생리적 군락(CLPP)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국 미주리 주의 사양토에서 조사하였다. 이들 토양 조사 항목들의 계절적 변화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서 2년간 봄부터 가을까지 토양을 매년 5회 채취하였다. 나무 폐기물 퇴비는 시용 3달 후부터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시작하였다. fluorescein diacetate (FDA) 수화도는 첫 해의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했으나 그 이후 변화가 심하였다. 탈수수효소의 활성은 FDA 소화도에 비하여 토양 유기물의 량이나 특성에 더 직접적으로 반응하였다. 반면에 FDA 수화도나 CLPP는 일반적으로 유기물의 구성 성분에 반응하였고, 효소활성과 CLPP 모두 계절에 따른 변화가 심하였다. 계절에 따른 변화는 유기물과 토양 수분함량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도시 가로수 폐기물 퇴비는 일반적인 토양 미생물 활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녹비는 토양 미생물 군락의 다양성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토양 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은 계절적 변화가 심하고 그 정도는 시용하는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므로 토양의 미생물 특성을 조사할 때에는 작물의 재배기간 동안 여러 번 실시할 필요가 있다.

교회 기반 건강증진 사업 기획을 위한 탐색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Church Setting-Centered Health Promoting Program)

  • 박인혜;주애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3호
    • /
    • pp.324-333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파악하여 지역사회 자원 활용을 통한 현장중심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초조사의 일환으로 시도하였다. 자료는 2005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G시에 소재한 일 교회 소속 성인 중 편의 표집법으로 성인 315명을 선정하여 Park 등[15]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건강증진 생활양식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 정도는 t-test, ANOVA, Duncan test로,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세부 영역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강증진 생활양식에서 스트레스 영역 점수가 가장 높았고, 흡연 영역 점수가 가장 낮았다. (2) 건강증진 생활양식 영역별 지식, 태도, 실천정도에서 운동과 영양 및 스트레스는 태도가, 음주는 지식이, 흡연은 실천이 높았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연령별 건강 증진 생활양식 정도는 70대가 60대 이하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지각하였다. (4)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세부 영역간 상관관계에서 운동은 영양, 스트레스, 음주와 영양은 스트레스, 음주와 음주는 스트레스, 흡연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일 교회의 성인에 국한하여 조사된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규모의 교회와 타종교기관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 건강증진 사업 기획에는 영역별로 스트레스 관리 강화, 흡연 관련 지식과 태도 교육, 음주 관련 태도와 실천 교육, 영양 관련 지식과 실천 교육, 운동 관련 실천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자원 배분과 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보건사업 가중치 개발 (Development of Health Service Weight for Resource Allocation and Performance Monitoring)

  • 김상아;허영혜;박웅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34-46
    • /
    • 2009
  • 이 연구는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객관성과 타당성이 높다고 평가되는 자료와 산출방식을 적용하여 보건사업의 가중치를 산출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 보건사업의 자원 배분과 평가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계량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HP 2010에서 제시한 중점과제를 기초로 선행연구의 결과와 보건복지부 사업담당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분류안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 결과들을 검토하여 각 보건사업과 관련된 질병부담 자료를 수집하였고,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여 각 보건사업과 관련된 문제의 심각도와 사업의 추정 효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BPRS 방식에 적용하여 보건사업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BPRS 공식에 대입하여 가중치를 산출한 결과 전염성질환이 58.97%로 가장 높았고, 금연이 14.07%로 두 번째로 높았다. 그 다음은 고혈압(3.87%), 당뇨(3.40%), 암(2.90%), 심 뇌혈관질환(2.86%), 운동(2.10%), 절주(2.07%), 건강검진(1.92%), 정신건강증진(1.72%), 중증정신질환(1.62%), 영양(1.52%), 구강위생관리(1.15%), 구강질환(1.10%), 중독(0.73%)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 보건사업에 자원을 배분할 때 계량적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평가점수 산정 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사업에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사업의 효과성을 정책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부 지역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학급응집력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lass Cohesivene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School Students)

  • 장은지;감신;홍남수;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4호
    • /
    • pp.230-239
    • /
    • 2014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학급응집력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는 대구광역시에서 임의로 선정된 3개 학교의 5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학생들이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학급응집력에는 사회적 지지 중 친구지지와 교사지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는데 친구지지와 교사지지가 높을수록 학급응집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중학생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는 총점수 81.1점이었으며 사회적 영역이 87.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정서적 기능 점수가 73.8점으로 가장 낮았다. 학급응집력 및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은 신체적 영역은 교사지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심리적 영역과 전체 영역은 학급응집력, 친구지지, 교사지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 중학생에게는 본인이 속해 있는 학급에 대한 응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친구관계, 교사-학생관계를 원만하게 하여야 할 것이며, 이들 친구지지와 교사지지는 직접적으로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의 어메니티 교육내용 개발 (Development of Rural Amenity Contents for the Textbook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 김은자;류청산;강방훈;윤순덕;김상범;황정임;이상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4-94
    • /
    • 2009
  •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는 농촌어메니티를 학습할 수 있는 최적의 교재로서 농촌어메니티 교육내용을 개발함으로써 청소년의 올바른 농업 농촌 가치관 형성 및 국민적 공감대 확산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대상 교과서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 39종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1~5단계의 내용분석 척도를 설정하여(1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반드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 2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내용, 3단계는 어메내티 개념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때 크게 문제가 없는 내용, 4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좋은 내용, 5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교과서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내용) 판정하였다. 그 결과 1단계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반드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여 교과내용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어메니티 관점에 맞추어 실시하였다. 또한 내용분석을 통한 교과서 구분을 하여 A, B, C 유형으로 나타내었다. A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판정 1 또는 2의 분석 내용이 20개 이상 나온 교과서, B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판정 1 또는 2의 분석 내용이 10~19개 나온 교과서, C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평정 1또는 2의 분석 내용이 10개 미만으로 나온 교과서를 의미한다. 교과내용 개발 결과 총 262건의 교과내용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문장 132개로 50.38%, 사진 105개 40.47%, 삽화 22개 8.35, 그래프 0.76%, 표 0.38%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총 262개 개발내용중에서 '사회자원의 시설'부분에 대한 관점 77개로, '사회자원의 경제활동'에 대한 관점 64개, '문화자원의 경관'에 대한 관점 50개 순으로 집계되었다. 그 다음은 '자연자원의 자연'에 대한 관점이 47개, 문화자원의 역사'에 대한 관점이 9개, '사회자원의 공동체 활동'에 대한 관점이 14개 순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자원 18.31%, 문화적 자원 22,52%, 사회적 자원 관점이 59.16%로 '사회적 자원 관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농촌어메니티의 사회적 자원이 강조되어야 하며, 문화적 자원, 자연적 자원의 순서로 강조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농촌어메니티개념의 확립을 이하여 현재 농업계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시설, 경제활동, 공동체활동 같은 '사회적 자원'을 보강하여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