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Regional Development

검색결과 704건 처리시간 0.03초

레스토랑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이 브랜드태도, 브랜드애착이 브랜드충성도간의 관계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mer Lifestyle on Brand Attitude, Brand Attachment influence upon Brand Loyalty)

  • 서경도;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85-192
    • /
    • 2016
  •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태도, 브랜드애착, 행동유형에 따른 관계를 파악하고 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외식업체의 이용경험이 있는 고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 하였고 광주지역 외식업체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라이프스타일과 브랜드태도간의 관계는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적인 성향과 습관적인 행동으로서 브랜드 태도인 인지, 편안함, 친숙한 특징들은 라이프스타일의 유형과 상관없이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둘째, 라이프스타일과 애착간의 관계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은 브랜드 애착이 현실추구형, 가치지향형, 유행추구형 순으로 유의한 관계가 형성이 되었으나 사교지향성은 브랜드애착에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지 않았다. 셋째, 고객의 브랜드태도와 브랜드충성도 관계와 고객의 브랜드애착과 브랜드충성도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유의한 관계가 형성이 되었다.

대형(大型)이벤트 개최(開催)에 따른 농(農)·산촌(山村) 지역주민(地域住民)의 다측면적(多側面的) 영향평가(影響評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f Assessing the Multiple Aspect Impacts of Rural Residents' Reactions to the Mega-Events)

  • 이주희;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55-62
    • /
    • 1999
  • 유니버시아드 대회와 같은 대형이벤트의 성공적인 개최는 국 내외 관광객의 대량 유업효과, 개최국가와 지역의 이미지 개선효과 이외에도 대회준비를 위한 사회간접시설의 조성으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등 많은 외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1997년 무주에서 개최된 동계 유니버시아드대회가 개최지역인 농 산촌지역에 끼친 파급영향을 다측면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종단적인 시간비교연구를 실증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들이 지각하는 동계유니버시아드 대회의 파급영향은 개최지역의 관광산업과 지역개발분야에서는 투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경제의 활성화 측면에서는 그다지 크게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또한 개최지역인 덕유산국립공원의 자연환경에 피해를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유회당 권이진 주택의 조영에 관한 연구 -대전 무수동 안동권씨 종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onstruction in the Housing of Yuhoedang Kwon Yie Jin - A subject of Daejeon Musudong Andong Kwon's Chongga -)

  • 이동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25-132
    • /
    • 2011
  • By this time the main tendency of studying traditional residential building was to find out and analyze the regional and spacial peculiarity. But that kind of study has been set limits in terms of including each building into one category and being researched by the viewpoint of an observers rather than a resident. Due to this kind of problem, the outcome of that study didn't obtain good results. This study, which has synthetically not been investigated until now, have put a little more deep interpretation on traditional residential building, by surveying Andong Kwon family's Yuhoedang-Chongga located 299 Musudong Daej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construction in the architecture of Yuhoedang-Chongga of the Andong Kwon family, and to develop the viewpoint and analytic process of traditional construction. As the first step to study it efficiently, basic architectural investigation on Yuhoedang-Chongga has been carried out with an actual evidence, and the new viewpoint of traditional residential building has been developed by this survey such as collecting, arranging, analyzing and examining this positive proof. For example, from the house-picture book handed down from that family, the condition of then established was compared with the present state of it. And then this article examines the arrangement, floor-plan types, interior, structures and condition of location. The transition-history of this house was searched into,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is was examined. The related documents was synthetically analyzed, so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onstruction was grasped.

공동체 중심의 스마트빌리지 프로세스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Smart Village Process Model)

  • 박소연;정남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2호
    • /
    • pp.11-18
    • /
    • 2021
  • A community-centered smart village process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rural field forum.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echnology demand according to the digital capabilities of leaders by community type, village types were classified and detailed technologies were defined. The smart village process was proposed to enable residents to operate autonomously by inducing continuous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conception stage, planning stage, implementation and self-reliance stage, and allowing them to cooperate together. The business model canvas was reconstructed to be used in the workshop. It was applied to the village of Yesan-gun. As a result of running a resident workshop using the business model Cambus, the lack of resident awareness and illegal garbage dumping were presented as the first problems to be solved. The value of the village was set as 'a village that is clean and clean with a sense of residents, and a good place to live', and users were expressed as 'family' and 'outsiders'. It was suggested that we meet frequently to convey the value of the village by using broadcasting and announcements as a channel to convey the value. Core activities were to cultivate residents' consciousness, such as implementing a campaign against illegal garbage dumping, and to establish and guide separate collection sites. When a garbage collection center is installed, it was estimated that around 2 million won per month for management costs,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it was possible to spend an hour or so twice a month to solve the problem of illegal dumping. If a method to derive village projects based on the derived business model canvas is developed in the future, it will be more practical.

웹기반의 유량 군집화 EI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SWAT 직접유출과 기저유출 평가 (SWAT Direct Runoff and Baseflow Evaluation using Web-based Flow Clustering EI Estimation System)

  • 장원석;문종필;김남원;유동선;금동혁;김익재;문유리;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72
    • /
    • 2011
  • 유역 단위 수문 및 수질 평가 모형인 SWAT 모형을 이용한 유역 내 정확한 수문과 비점오염원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유역 적용에 앞서 모형의 정확성 평가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SWAT 모형의 수문 보정및 검정 시, Nash-Sutcliffe의 효율계수(EI)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EI 값은 비교되어지는 값들의 범위 중 큰 값 즉, 수문 분석에 있어 고유량에 대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수문 분석을 위해 K-means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웹기반의 EI 평가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를 SWAT 모형의 수문 평가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체 유량의 EI 값은 높았지만, 수문성분에 따른 EI 값은 높지 않았다. SWAT 모형의 수문 보정 및 검정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SWAT auto-calibration tool은 전체 유량에 대해서는 높은 EI 값을 산정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직접유출과 기저유출 각각에 대한 유량 그룹 I 과 II 에 대해서는 대부분 음수(-)의 EI 값을 보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 결과를 통해 SWAT 모형의 수문성분 평가에 있어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에 대한 각각의 유량 그룹에 대해 양수(+)의 EI 값이 산정되도록 모형 보정 및 검정의 수행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제성을 고려한 비도심 지역 교통안전 시설물의 개발과 분석 (Development and Analysis of Non-Urban region Traffic Safety Facilities Considering Economics)

  • 김기남;이용준;이동열;조중연;이민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77-58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역 비도심 지역의 교통사고 저감을 위해 충청권을 대상으로 관련 문헌 검토와 TAAS(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자료를 활용하여 비도심 지역의 인구특성 및 사고유형을 통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교통안전기술을 개발하였다. 비도심 지역의 교통인구의 보행자 특성에 맞게 개발된 노견용 인식등은 지역특성사 인도가 아닌 길가장자리로 통행이 많은 지역주민들의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교통안전시설물로써 야간 또는 새벽에 통행시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켜주며 교통안전시설물이며, 보행자 건널목 인식등은 야간 횡단보도 횡단시 운전자에게 횡단중이란 앞서 인지시켜 주어 횡단보도 통해시 보행자의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교통안전시설물이다 또한, 기존 시설물인 신호등 및 가로등과 같은 빛 공해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며, 차량, 농기계와 같은 충돌파손의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기존 시설물인 가로등과 신호등의 사례와 타기술을 비교하여 절감비용을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용으로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의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현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통 안전시설물의 적용성과 효과성을 위해 비도심 지역을 기반으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현재 평가 중에 있으며, 향후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개발된 경제성 분석 및 환경 영향에 맞춤형 적정기술로 개선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통안전시설물을 통해 우리나라 교통안전수준의 향상과 비도심 지역의 교통안전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아동의 운동과 속력개념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HILDREN'S COMCEPTION OF MOVEMENT AND SPEED)

  • 김윤식;윤희곤;윤형덕;윤경희;김동연;홍명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1-51
    • /
    • 1980
  • In order to research into the devel of the concept of movement and speed in our own way and compare with the Piaget's method, and then find out the formative period of such development, we have put the 192 primary school children as the model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As their grade upyards, all the experimental subjects showed the gradual progress generally regardless of sex or regions, while only the relative speed showed irregular progress. 2. There was no experimental subject which showed any remarkable sexual characteristics. But in the relative movement, the lower grade boys and higher grade girls made progress. In the subjects of circulation movement, intuition of speed, relative speed and speed of simultaneous movement, the boys marked better progress, whilst the girls were advanced a little in the speed of continuous movement with, different distance and time. 3. There was no conspicuous difference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s, except a slight tendency that the urban children made better progress in the change of progressing direction, native continuous procedure of periodical movement, travelling road, and the speed of continuous movement with different distance and time whereas the rural children were more advanced in the relative movement, relative speed and intuition of speed. But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rural regions in our case were relatively developed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rural communities, which may explain about little regional difference. 4. Comparing our research results with the Piaget's theory, we have reached below results. Our research reports that the formative period of the conception of the problems of diverse progressing direction and a native continuous procedure of periodical movement was simultaneous, at the Piagetian level(at the fourth grade) which coincides with Piagetian theory. The travelling road should be made up a little lower at 2A/2B according' to Piagetian Level, whereas it was formed at the 4th grade as shown in our previous research. Intuition of speed should belong to the prior stage to concrete operation, but our research shows it was formed late at the 4th grade. Composition of displacement was made at the 6th grade, and it was almost equal to the first stage of formal operation(3A). But in the subjects of relative movement relative speed, the speed of continuous movement with different distance and time, relation and preservation of invariable speed, and accelerated motion, even 6th grade children marked a poor record. Summed up, the procedure conception as a basic movement conception coincides with the Piagetion level. But as for speed intuition, relative speed and speed fixation, it was Jar behind Piagetian level.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we have to concentrate on the systematic training in these parts on the spot.

  • PDF

벼농사 신기술 전파와 농업교육 및 농촌지도의 연계 (Diffusion of New Technology on Rice Farming and Linkages between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 김성수;이용환;이변우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0권2호
    • /
    • pp.267-283
    • /
    • 2003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1) examine the diffusion and adoption of new agricultural technology in rice farming, 2) survey the status of agri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s on technology transfer, and 3) explore the linkages between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for more effective reinforcement strategies to further the diffusion and adoption of new agricultural technology in Korea.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and panel discussions were employed to strengthen the linkages among agricultural education, research and extension in Korea. A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iffusion and adoption of new agricultural technology in rice farming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offered; 1. Extension services have helped Korean farmers in achieving self-sufficiency in rice and year-round supply of green vegetables as well as upbringing rural youth, however, government changed the status of extension educators from central government staff to county/city government staff since 1997. This brought about various problems such as: decreased morale and number of extension educators, thus weakening the extension education function, weakened linkages between national and local extension offices, less opportunity for in-service education of extension educators, and weakened linkages betwee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etc. 2. In order to insure that extension educators are high caliber professional individuals,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system that nationally recognizes these individuals as such, and that provides a professional development path. It is important to restore the morale of extension educators to continually achieve the national goals of food producti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o meet increasing needs of farmers. 3. Because of the critical importance of diffusing innovations to agricultural producers in order to ensure quality and steady food supply, it is crucial that these issues be addressed before the extension service further deteriorates. Further research activities on agricultural extension should be conducted for more effective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Korea to achieve a greater rural, national and regional development. 4. Research and implementation activities should be emphasized and encouraged to improve the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agricultural education research and extension to better serve farmers' educational and information needs. National level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technology transfer including internet education programs for farmers in Korea.

  • PDF

동남아 농촌마을의 생태관광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 인도네시아와 캄보디아의 지역사회기반생태관광(CBET) (Ecotourism as Community Development Tool in Rural villages of Indonesia and Cambodia)

  • 엄은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2-264
    • /
    • 2016
  • 풍부한 자연환경과 다양한 문화 역사 유산을 갖춘 동남아에서 관광은 국가 및 지역경제 발전의 주요 부문이다. 하지만 굴뚝 없는 산업으로 인식되어 온 관광 산업이 점차 대형화 지구적 표준화되어 감에 따라, 관광산업의 이윤과 사회 환경적 비용의 불균등한 배분에 따른 문제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보존과 지역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지역사회기반생태관광(CBET)이 주목할 만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와 캄보디아에서의 CBET의 발전경로와 현황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동남아시아에서 생태관광을 통한 지역사회발전의 현황과 과제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의 마을관광네트워크인 JED의 회원마을과 캄보디아 스텅트렝 주의 람사르 습지보전지역의 CBET 프로그램의 형성과정을 분석하고 두 사례의 비교를 통해 생태관광을 통한 지역사회발전 전략의 가능성과 한계를 짚어보았다. 두 사례 모두에서 관광의 핵심자원인 생태환경의 보호와 환경인식 개선과 더불어 지역공동체에서 관광으로 인한 직간접적인 사회경제적 이윤이 창출되는 긍정적 결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두 마을 공동체에 조직된 CBET 거버넌스의 안정성과 관리역량에는 차별적이지만 상당한 한계가 존재하며, 이는 해당 지역사회관광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에 제약조건이 되고 있다. 결론부분에서는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 경제를 매개로 한 CBET 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한국의 대 동남아시아 관광 ODA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실측 자료에 기반한 우리나라 지하수의 용도별 이용량 추정 방법 (Groundwater-use Estimation Method Based on Field Monitoring Data in South Korea)

  • 김지욱;전형필;이찬진;김남주;김규범
    • 지질공학
    • /
    • 제23권4호
    • /
    • pp.467-476
    • /
    • 2013
  • 근래 들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표수 개발 여건은 불리해지고 있으며, 또한 양질의 수자원에 대한 욕구는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지하수 개발 정책을 도모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개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지하수 개발가능량과 지하수 이용량 파악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양질의 지하수 이용량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전국(5개 도의 32개 시군)을 대상으로 수년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지하수 이용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생활용 지하수의 경우 전국을 도시지역, 도농복합지역, 농촌지역으로 구분하고, 지하수 용도를 가정용, 공동주택용, 간이상수도용, 학교용, 일반용 등 5가지로 분류하였다. 농업용 지하수의 경우 전국을 강수량에 따라 평균 강수량지역, 평균 강수량 미만지역, 평균 강수량 초과지역으로 구분하고, 지하수 용도를 전작용, 답작용, 원예용, 축산용-육우, 축산용-양돈, 축산용-양계로 분류하였다. 이로부터 모니터링 자료에 대한 군집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지역별-용도별 지하수 이용량 추정식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준을 적용하여 국가 지하수 이용량 통계의 신뢰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