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Declin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1초

마을의 비보연못 특성 및 관리 - 강진 달마지 마을을 사례로 -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Complementary Pond of Village - in Case of Dalmaji Village in Gangjin-gun -)

  • 박재철;한상엽;김도균
    • 농촌계획
    • /
    • 제21권4호
    • /
    • pp.157-16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charactreistics and management direction of complementary pond of Dalmaji village in Gangjin. Accordingly, this village was indicated as Experience and Resort village by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describes the constructio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and identifies species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through field survey. For this, literature and field survey was performed. In field survey, vegetational survey was performed in Aug. of 2015. D(Dominant degree) and S(Sociability degree) was measured by Brown-Blanquet's method. The answer was searched from Myungsanron(明山論), a textbook of Fengsui(風水) in Joseon dynasty. Of these caus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representative one is a protection of fire and infectious disease because the Wolgak mountain is a fire mountain(火山) as a stone mountain in Fengsui. The results demonstrate decline of aquatic ecosystem because of neglect management. The total number of species was 24. Of the species, Zelkova serrata is a natural vegetation of this complementary forest. This is nominated as Lagerstroemia indica and Camellia japonica community. Species composition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uthern region as mixed forest of evergreen trees and deciduous ones which are indigenous plants. It was considered Juniperus chinensis KaizukaVariega in central round island was plant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 have to be removed. It was considered that name of moon pond and moon island etc. projects the mind of village ancestors which are going to reach an ideal condition of moon. And management of quantity and depth of pond water was critical for restoration of disappearing lotus from related literature. Periodic management was needed for ecological structure and function improvement because of ecological disturbance by the invasive plants like Humulus japonicus.

최근 10년간 한국인의 지역별·소득수준별 김치섭취 변화: 2005년,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Shifts in Kimchi Consumption between 2005 and 2015 by Region and Income Level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2015))

  • 박정현;이해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5-158
    • /
    • 2017
  • Objectives: The importance of kimchi as a traditional food in Korean cuisine has gradually decreased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economic growth and changes in dietary pattern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hifts in kimchi consumption by region and by income level between 2005 and 2015 in Korea. Method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III (2005) and VI (2015) were used in the study (n=15,558). Intake of kimchi was estimated using a single 24-hour dietary recall. The sample weights were applied in all analyses to reflect population estimate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IBM Statistics 20. Results: Kimchi intake h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27.6 g/day per capita during the last decade in Korea; 25.0 g for males and 29.9 g for females, respectively. Over the past decade, the decline of kimchi intake has been particularly significant in Seoul, Busan, Incheon, Gyeonggi, and Gwangju, while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males living in rural areas. The consumption of kimchi across all income levels has decreased, however, the decrease was higher in 'middle and low income level'. The amount of kimchi consumption in 2015 was the highest in 'low income level'. The results were similar after adjusting for gender and age. Conclusions: For the past decade, the overall intake of kimchi in Korea has decreased,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crease of kimchi intake for males living in the rural area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n order to keep our traditional kimchi culture and promote a balanced diet including kimchi for Korea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efficient policies and approaches. A variety of dishes using kimchi should be developed, besides merely serving kimchi with rice as a side dish,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kimchi.

제주시 구도심 상권의 쇠퇴 원인에 관한 연구 -토지이용 및 건축물 등의 물리적 현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uses for Declining of Business Area in the Old Downtown of Jeju-si - Focused on a Physical Situation of Land Use and Buildings -)

  • 차호철;박철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5-32
    • /
    • 2010
  •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why the business district of old downtown in Jejusi collapsed and what sort of problems caused by that as collecting objective data, which help us to comprehend how the commercial zone has been decaying, on the physical state of the specific area near 'Sinheungro' and 'Chilsungro', which are main commercial sites in the downtown, and analysing it. Firstly It was revealed that most land investigated was property in which structure was able to built or poor land within $60m^2$. This was caused by increasing in land value and high density in space use so that the area did not develop. Secondly, In addition to be low density, most of buildings in 'Sinheungro' and 'Chilsungro' were so old and inefficient - the old buildings were abandoned without improving due to expensive rent and complicated property rights. Thirdly, According to the survey accomplished, major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area have struggled with the continuous recession in their business. It was the inevitable result of not having an effective alliance with surrounding retail shops and a lack of a strategic action for satisfying consumers desire or adapting to new shopping patterns. Fourthly, Infrastructure in the site was ruining the beauty of the urban landscape as well as bringing on bad access to the inner city as not having improved enough. Furthermore, many administration departments which were in charge of each infrastructure existed. This was resulted from not considering unification between each infrastructur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y.

차세대 IoF-Cloud 기반 스마트 온실 및 서비스 연구 (Research of Next Generation IoF-Cloud based Smart Geenhouse & Services)

  • 차병래;최명수;김봉국;전오성;한태호;김종원;박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3호
    • /
    • pp.17-24
    • /
    • 2016
  • 우리나라 농업은 현재 농촌인구감소, 농촌인구의 고령화, 곡물자급률 하락, 기후변화 심화 등의 원인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FTA 수입개방의 확대에 따른 우리나라의 농축산업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낙후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에서는 한국형 스마트 팜 확대를 위해 1세대모델부터 3세대모델까지를 정의하고 있으며, 농업의 스마트화를 통해 농업의 성장한계를 극복하고 6차+${\alpha}$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세대 모델에 대한 IoF(Internet of Farming)-Cloud 기반의 실질적인 서비스들에 대한 정의 및 서비스를 검증하며, IoF-Cloud의 온실 테스트베드를 제시한다.

근거이론을 활용한 담양 삼다리마을 지역주민의 파트너십 갈등 연구 - 국가중요농업유산 제 4호, 담양 대나무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rtnership Conflict of Damyang Samdari Village Using the Grounded Theory - For Damyang Samdari Village, No.4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e Heritage -)

  • 김영랑;김은솔;이태겸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41-5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flict between residents and governments in partnership arising from the designation of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for Damyang Samdari village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To this end, residents of Samdari Village in Damyang, designated as an important national agricultural heritage, were interviewed.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categorized into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nd a paradigm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this, the central phenomena of resident participation patterns currently appearing in the village were identified, and causal, contextual, and intervening conditions were analyzed. Causal conditions were analyzed as one-sided administrative treatment, assortment matching project, one-time plan, excessive dependence of residents and economic damages of residents at the beginning of the designation of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As a result, conflict between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occurred as a central phenomenon, and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decline in the competitive of bamboo resources and frequent change in managers were also affecting the central phenomenon. As intervening conditions to alleviate the central phenomenon, there are local government's purchase of bamboo fields and fragmentary business effects. The action taken by the residents and officials in response to a fixed conflict is called an action-interaction strategy. Residents refused to change and settled in reality, and local governments avoided conflict. From the beginning of the designation to the present, the villagers gradually lost interest in the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due to problems and conflict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artnership in the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project. Based on the analyzed model, a plan to build the partnership standards on Damyang bamboo field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field and increase the practicality of resident participation, that is partnership, was suggested.

결혼과 출산 간의 관계에서 거주지 선택의 조절 효과 검증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광역화 관점에서- (Moderating Effect of Residential Se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Childbirth - From Perspective of Regional Integration against Local Extinction -)

  • 이수창;김대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1-60
    • /
    • 2023
  • 본 연구는 결혼과 출산 간의 인과적 구조에서 거주지 선택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여 거주지 선택이 출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초혼은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를 위한 재정적 역량, 주거 안정성, 지역 규모, 지역의 경제 상황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재혼 및 외국인과의 결혼은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를 위한 재정적 역량, 주거 안정성, 지역 규모와의 상호작용이 출산에 조절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분석 결과는 결혼 부부가 거주지로 농어촌 지역보다는 중소도시 및 대도시로 선택할 경우가 출산 의사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혼과 출산 간의 관계에서 거주지 선택의 조절 효과를 근거로 광역화를 주장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의견도 존재할 수 있지만,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현재의 결혼 부부 농어촌 지역으로서의 거주 회피현상은 광역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QTT와 Node-RED를 기반한 MongoDB로 저장 하는 스마트 팜 시스템 구현 (Based on MQTT and Node-RED Implementation of a Smart Farm System that stores MongoDB)

  • 박홍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56-264
    • /
    • 2023
  • 농촌의 인구 감소, 고령화에 따른 농촌 인력 부족, 기후 변화에 따른 병해충 증가로 인해 어려움을 격고 있는 농업에 생산성을 높이고, 농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 중 하나가 IoT를 활용한 스마트 팜 기술이다. 기존의 IoT를 활용한 스마트 팜은 단순히 농장을 모니터링하거나, 스마트 식물 재배기 구현, 온실 자동 개폐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논문은 사물 인터넷의 산업 표준 프로토콜인 MQTT와 사물 인터넷의 대표적인 개발 미들웨어인 Node-RED을 기반한 스마트 팜 시스템을 구현한다. 먼저, 아두이노 센서들로 데이터를 추출하고, MQT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한다. 그런 다음, Node-RED를 사용하여 MQTT 메시지를 처리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대표적인 NoSQL인 MongoDB에 실시간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다. 농장 관리자는 본 스마트 팜 시스템을 통해 컴퓨터나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에 제약없이 언제 어디든지 실시간적으로 스마트 팜에 센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적 인구이동에 따른 출산력 변화와 과소화: 전라북도를 사례로 (The Transition of Fertility and the Depopulation by the Stage Migration: A case study of Jeollabuk-do)

  • 이정섭;김성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728-746
    • /
    • 2014
  • 이 연구는 젊은 연령집단의 선별적 이동 및 세대에 걸쳐 진행되는 단계적 이동이 농촌과 도시의 출산력 변화와 지역의 인구성장에 파급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며, 전라북도 14개 시군이 사례지역이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1970 1990 2010년 20-34세 연령집단의 지역 간 인구이동 O-D 행렬과 같은 기간의 20-34세 연령집단과 가임 여성인구 분포 및 출생 사망의 동태자료이다. 분석 결과, 첫째 각 시점의 젊은 연령집단은 큰 규모로 출생지에서 이출하는 선별적 이동을 했다. 둘째 세대별로는 앞선 세대는 과거 전라북도 농촌에서 도시로, 뒤따르는 세대는 현재 전라북도 도시들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단계적 이동이 존재했다. 셋째 젊은 연령집단의 선별적 이출은 출산 가임인구 축소, 저출산과 고령화 그리고 자연적 인구감소라는 과정을 수반되는데, 단계적 이동에 따라 과거 농촌에서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었고, 현재는 전라북도 도시지역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전라북도 대부분 군 지역은 1980년대 후반부터 연간 사망자수가 출생아수를 상회하는 자연적 인구감소가 나타났고, 2000년대 초반에는 도시 지역에서도 이 같은 현상이 확인된다. 따라서 단계적 이동은 비수도권 중소도시 인구성장을 결정짓는 주요한 원인이며, 결과적으로 정주계층을 따라 단계적 과소화로 이어지고 있다.

  • PDF

首都圈地域에서 리기다소나무 잎과 잔뿌리 속의 陽이온 부족 (Cation Deficiencies in Needles and Fine Roots of Pitch Pine in Seoul Metropolitan Area)

  • Rhyu, Tae-Cheol;Kim, Kee-Dae;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3호
    • /
    • pp.277-286
    • /
    • 1994
  • 수도권과 그 주변 지역의 33지소의 리기다소나무 숲에서 리기다소나무 잎과 잔뿌리의 주요이온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잎 속의 N, P, K 및 Mg 함량운 전년도 잎에 비해 당해연도 잎속에 높았지만, Al과 Ca은 그 반대였다. 잎 속의 N, P, K 및 Al 함랴은 지역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Ca과 Mg 함량은 전원지에 비해 도심지에서 낮았다. 그러나 잎속의 N/Ca와 N/Mg의 비의 값은 전원지에보다 도심지에서 컸다. 표토 잔뿌리 속의 Mg 함량은 도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심층토 잔뿌리 속의 Al 함량은 그 반대였다. 토양층 잔뿌리 속의Al 함량은 도심지보다 전원지에서 낮았다. 토양층 잔뿌리속의 Al 함량은 낙엽층의 잔뿌리에 비하여 2~3배 높았다. 그리고 표토보다 심층토에 존재하는 잔뿌리 속에 Al 함량이 높았다. 그러므로 수도권 지역에서 리기다소나무의 생장감소는 조직 속의 Ca과 Mg 부족, N/Ca과 N/Mg 비의증가 및 잔뿌리 생장에 대한 Al 독성에 있었다. 그리고 수도권 지역에서 잔뿌리의 비정상적인 분포는 산성토양에서 Al 독성에 의한 잔뿌리의 생장감소가 그 원인으로 해석된다.

  • PDF

표지 및 재포획 방법(Jolly-Seber Model)을 이용한 백곡천 미호종개(Cobitis choii) 개체군크기 추정 (Applying the Jolly-Seber Model to Estimate Population Size of Miho spine roach (Cobitis choii) in the Backgok Stream, Korea)

  • 배대열;문운기;장민호;장규상;서정빈;김원장;김재옥;김재구
    • 생태와환경
    • /
    • 제45권3호
    • /
    • pp.322-328
    • /
    • 2012
  • 금강수계 백곡천 상류에 서식하는 미호종개(국가 천연기념물)를 대상으로 형광물질 주입에 의한 다중표지-재포획법(졸리-시바모델적용)으로 개체군 크기를 추정하였다. 총 어류조사지점은 335개였고, 그 중 미호종개가 출현 지점은 217개 였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미호종개 평균 개체군 크기는 6,143개체였다. 이는 2009년 환경부에서 수행한 미호종개 개체군 규모와 비교 했을때보다 41% 감소된 것이다. 백곡천에서 본 종의 감소는 미소서식지 훼손, 퇴적물, 서식환경의 악화 등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백곡천 본 종의 개체군 회복 미소서식지 보호를 위해 서식지복원 프로그램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