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ural Amenity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Biotop's Characters of the Mixed Rural City(III) - Case Study of Chonan - (도농통합형 도시에 있어서 생물서식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III) - 천안시를 중심으로 -)

  • Bang, Kwang-Ja;Lee, Haeng-Youl;Kang, Hyun-Kyoung;Park, S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2 no.1
    • /
    • pp.48-57
    • /
    • 1999
  • This study was aimed to establish biotop unit of the mixed rural city for the method and process of the biotop mapping system. Survey site was Maejuri of Seunghwan(158ha), Gisanri of Mokchon(132ha) and Namkwanri, Pungsemeon(214ha). So the main process was divided by 4 schemes such as Biosphere, Geosphere, Antrosphere and Evaluation. Also the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as used to make the database of the biotop and biotop complex, analyze the cross-combinations and analyze the characters of the biotop. Biotop mapping system had 5 steps which were proceeded with research goals, constructing the spatial database and attribute database, classifying the 3 types of biotop such as tree/shrub biotop, grass biotop and wetland biotop, cross-analyzing 3 biotop types with land use, habitat characters, relief characters and danger/disturbance elements and evaluating the 3 types of biotop. The results of applicating the biotop mapping system on the research site as followings : The distributions of the land uses in Maejuri, Seunghwan eup in Chonan city were recorded by forest(29.8%), orchard(14.1%) and landscaping around building site(9.0%). Gisanri, Mokchonmeon were composed of forest(64.5%), farm(12.8%) and Namkwanri, Pungsemeon were concentrated rice field(39.6%), dwell district(22.4%). The Tree/Shrub biotop type was reclassed by the forest type, natural and artificial decidous type with natural coniferous. The Grass biotop type was reclassed by the wild grassland type, garden type and peddy field with wild grassland. The distributions of the wet land were pointed high at the wet land type with reed marsh and edge vegetation around wet land in reservoir and river. The evaluation of the mapped bitopes was completed to the following aspect, "amenit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 high value of 7.13%(1 class) was shown Maejuri, Seunghwan eup. The regions which were studied synthetically are divided to three parts ; the area where have nature and art mixed(Seunghwan), the area which is more artificial because people inhabit there for a long time(Pungsemeon) and the area that ecological environment is threatened by development pressure(Mokchonmeon). Therefore, ecological restoration plan which depends on specific property of the regions should be established. Also the interdisplinary researches were needed to develop the BMS(Biotop Mapping System) in Korea because of the differences with Germany, England's ecological habitat conditions.

  • PDF

Research on the Soundscape for Excavation,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Soundscape Resources in Hongdo Island (홍도의 소리경관 자원의 발굴, 보존 및 육성을 위한 사운드스케이프 조사연구)

  • Han, Myung-Ho;Oh, Yang-Ki;Roh, Tae-Ha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4
    • /
    • pp.343-355
    • /
    • 2009
  • In order to restore the identity of sound environment and expand the sound culture of a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xcavate the resources of soundscape and find out the plans for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soundscape resources peculiar to the region.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s conducted through an interview survey of residents and an observation survey using listening walk in Hongdo, one of the southwesten island of Korea. The results of survey confirm that there are so many sounds to hear around Hongdo island, those are, natural sounds such as the song of the birds, the roar of the waves, the whistling sounds, the shriek of the seagulls, and the pebbles sounds washed away by the waves, and artificial sounds such as the steam-whistle signals, the ship's broadcasts, the voice of tourists, the sounds of church bells, lighthouse sirens etc.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veral ways for restoration of an unique soundscape in Hongdo island, those are, improve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 ship's broadcasts in public areas, removal of a ferry in Hongdo swimming beach, management of Dangsanje (a religious service), preservation of a lighthouse siren and a foghorn, restoration and improvement of underground stream, management and control of public fish market, restoration of brooklet, management of cooperative system for a fish market, restoration of PoongO-Gut (a ritual for a large harvest) and a skate festival, management of a Hongdo sports meeting, sound quality modification of a boat whistle, restoration of orientalia such as a funeral bier, ecosystem preservation activity of the shore and ocean, and promotion of amenity for fascination and vitality in a rural community. Also, a sound map is drawn up for many tourists so a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ound environment and identity of soundscape and to gain their experience at first hand in Hongdo island.

An Introductory Study for Developing the Urban Street Design Manual (도시부 도로의 구조시설.기준 작성 기초 연구 - 횡단구성을 중심으로 -)

  • Kim, Eung-Cheol;Oh, Ju-Taek;Kang, Jin-Gu;Choi, Yun-S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4 s.75
    • /
    • pp.69-82
    • /
    • 2004
  • Urbanization of Korea reaches up to 90% in the year 2003. What that means is that 90% of population live in the city areas. This phenomenon emphasizes importances of urban streets where people feel accessibility and level of environmental amenity, enjoy recreational activity, and live for a life. However, the current Korean manual for designing road is not enough to accomodate various activities of urban streets since its target is basically rural roads.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a new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via analyzing the practices of the development countries, and aims to recommend what should be prepared and how those are defined for developing a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in Korea. It is inevitable that the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be based on the flexibility and diversity. The manual should be made through consensus among the related stakeholders such as designers, residents and officials. And it also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ity. It is somehow true that without the manual, designing of urban streets can be done although it is not fully acceptable. This does not mean that the necessity of the manual can be ignored. Rather, we should remember that the related stakeholders may not want to reveal what are hidden in developing the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What are hidden is that developing the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is difficult problem to solve. It is a wish that this study triggers the on-going research and interests on developing the design manual of urban streets.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Rural Amenity (농촌어메니티 교원 연수 프로그램 효과 분석)

  • Hwang, Jeong-Im;Kim, Eun-Ja;Choi, Yoon-Ji;Rhee,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7-9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초 중등 교원들의 농업 농촌에 대한 가치 인식 및 학교 현장에서의 학생 지도력을 높이기 위해 교원들에게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이론과 체험 학습을 제공하는 '농촌어메니티 체험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농촌어메니티 개념 및 정책 이해', '농촌어메니티 현장 이해 및 체험', '농촌어메니티 수업 적용'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된 총 20시간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09. 7. 23. ~ 8. 13.까지 2박 3일씩 5차에 걸쳐 2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연수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교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비율이 56.9%로 남성(43.1%)에 비해 높았으며, 일반교사의 비율(53.3%)이 부장교사(26.9%)나 교장 교감 (19.8%)의 비율에 비해 높았다. 연령 분포에서는 50대가 35.2%로 가장 많고, 40대가 32.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경력이 20년 이상인 교원들이 67.2%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관 분포에서는 초등학교 교원들이 54.8%로 가장 많았으며,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이 각각 20.3%, 18.8%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역 분포에서는 중소도시에서 근무하는 교원들이 70.6%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농촌거주 경험이 있는 교원들이 64.8%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수 참여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한 인식 변화를 분석(Paired samples t-test)한 결과 참여 이후 '농업 농촌에 대한 관심 정도', '농업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농촌의 생활 정주, 관광 휴양 여건에 대한 인식',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이해도'가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중요도 인식'(5점 척도)에서는 환경자원, 자연자원, 역사자원, 경관자원, 시설자원, 경제활동자원, 공동체활동자원으로 분류된 37개의 세부자원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연수 참여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단, 환경자원 가운데 '수질'의 평균 점수는 사전 4.8671, 사후 4.8960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수 전반에 대해 만족하는 교원의 비율이 98.5%로 나타났으며, 연수 이후 농업 농촌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했다는 응답이 98.0%, 학생 지도력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95.0%, 연수에서 학습한 내용을 학생지도시 활용하겠다는 응답이 97.5%로 집계되어,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이 설계시 수립한 목적 달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Rural Amenity Contents for the Textbook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의 어메니티 교육내용 개발)

  • Kim, Eun-Ja;Ryu, Cheong-San;Kang, Bang-Hun;Yoon, Soon-Duck;Kim, Sang-Bum;Hwang, Jeong-Im;Rhee,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4-94
    • /
    • 2009
  •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는 농촌어메니티를 학습할 수 있는 최적의 교재로서 농촌어메니티 교육내용을 개발함으로써 청소년의 올바른 농업 농촌 가치관 형성 및 국민적 공감대 확산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대상 교과서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 39종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1~5단계의 내용분석 척도를 설정하여(1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반드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 2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내용, 3단계는 어메내티 개념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때 크게 문제가 없는 내용, 4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좋은 내용, 5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교과서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내용) 판정하였다. 그 결과 1단계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반드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여 교과내용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어메니티 관점에 맞추어 실시하였다. 또한 내용분석을 통한 교과서 구분을 하여 A, B, C 유형으로 나타내었다. A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판정 1 또는 2의 분석 내용이 20개 이상 나온 교과서, B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판정 1 또는 2의 분석 내용이 10~19개 나온 교과서, C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평정 1또는 2의 분석 내용이 10개 미만으로 나온 교과서를 의미한다. 교과내용 개발 결과 총 262건의 교과내용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문장 132개로 50.38%, 사진 105개 40.47%, 삽화 22개 8.35, 그래프 0.76%, 표 0.38%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총 262개 개발내용중에서 '사회자원의 시설'부분에 대한 관점 77개로, '사회자원의 경제활동'에 대한 관점 64개, '문화자원의 경관'에 대한 관점 50개 순으로 집계되었다. 그 다음은 '자연자원의 자연'에 대한 관점이 47개, 문화자원의 역사'에 대한 관점이 9개, '사회자원의 공동체 활동'에 대한 관점이 14개 순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자원 18.31%, 문화적 자원 22,52%, 사회적 자원 관점이 59.16%로 '사회적 자원 관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농촌어메니티의 사회적 자원이 강조되어야 하며, 문화적 자원, 자연적 자원의 순서로 강조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농촌어메니티개념의 확립을 이하여 현재 농업계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시설, 경제활동, 공동체활동 같은 '사회적 자원'을 보강하여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 PDF

Rural Amenity Contents in the Textbook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농촌어메니티 교과내용)

  • Kim, Eun-Ja;Ryu, Cheong-San;Kang, Bang-Hun;Yoon, Soon-Duck;Kim, Sang-Bum;Hwang, Jeong-Im;Rhee,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3-93
    • /
    • 2009
  • 본 연구는 농업 농촌의 미래세대 주역으로 활동하게 될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교과서를 통한 학습기회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함에 따라, 그들이 배우고 있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 농촌어메니티 교과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농촌어메니티 및 녹색가치 구현에 대한 인식 중대를 도모하고 올바른 농업 농촌의 가치관을 형성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분석 교과서는 원예, 축산, 농기계, 식품가공 등 총 39종의 농업계 교과서를 대상으로, 농촌어메니티자원 37종을 활용한 어메니티 관점으로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환경자원과 자연자원을 포함한 자연적 자원의 경우(대기질, 수질, 비옥한 토양, 미기후, 지형 등) 141개로 17.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사자원, 경관자원을 포함한 문화적 자원(문화재, 전통건조물, 신앙공간 등)의 경우 219개로 27.4%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설자원, 경제활동자원, 공동체활동자원을 포함하는 사회적 자원(공동생활시설, 기반시설, 도농교류활동, 생활공동체활동 등)인 경우 440개, 55%인 것으로 나타나 전체 39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어메니티 관점으로 하여 교과내용을 분석한 결과 총 800개가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용분석은 제시유형(문장, 사진, 삽화, 그래프, 표), 교육적 성격(준비학습, 내용이해, 기능습득, 실습활동, 문제해결, 태도형성, 기타)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해당 내용이 농촌어메니티를 적절하게 표현하였는지에 따라 판정 여부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과서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A유형의 교과서는 9권으로 351개의 내용분석이 이루어졌고, B유형의 교과서는 16권으로 322개의 내용분석이 이루어졌으며, C유형의 경우 14권으로 127개의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A와 B유형 교과서는 농촌어메니티를 나타낼 수 있는 교과서 내용 요소가 많은 유형이고, C유형은 주로 기술 및 관리 기법 등과 관련된 내용의 교과서였다. 제시유형별 교과내용을 분석한 결과 A유형의 교과서에는 사진 185, 문장 125, 삽화 24 순으로 나타났으며, B유형에는 사진 144, 문장 136, 삽화 37개, C유형에는 사진 57, 문장 55, 삽화 11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성격별 분석결과 A유형, B유형, C유형 두 내용이해,에 대한 교과내용이 절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나타냈으며, B유형의 경우 기능습득에 대한 교육적 성격도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zing Works from the Rural Amenity Design Competition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 작품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

  • Kim, Eun-Ja;Kang, Bang-Hun;Kim, Sang-Bum;Yoon, Hee-Jung;Lee, Jeung-Won;Lim, Chang-Su;Lee, Se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2-92
    • /
    • 2009
  •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자원활용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2003년부터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이하 어메니티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으며 2008년까지 6회의 공모전에서 166개의 입상작이 배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수상 작품들을 통해 농촌어메니티 콘텐츠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실현가능한 농촌어메니티 환경계획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6년간의 공모전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농촌공간, 생산물 및 특산물, 프로그램 등의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콘텐츠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으로 제 1회부터 6회까지의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 수상작품 166점 중에서 내용이 간략하게 요약되어 있어 분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입선작품을 제외하고 최우수상부터 특선까지 81개 수상작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수상작들은 대부분 한 지역을 대상으로 어메니티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으며, 설계의 배경 및 목적, 지역 주요자원 분석, 기본 구상, 세부계획, 프로그램 계획의 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중 작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설계 목적별 작품 분석결과 우선 계획의 공간적 범위에 기존 농촌의 주거지 등 마을을 포함하여 마을계획이나 생활개선의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들이 69점으로 전체 작품 중 85%를 차지하였으며, 마을과 프로그램상으로 연계는 하였으나 물리적 대상이 마을로부터 독립된 공원조성 등의 내용을 담은 작품이 12점(15%)이었다. 어메니티 환경계획의 목적과 목표는 각 작품들이 대부분 하나 이상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었으며 주요 목적만을 중심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작품 패널 및 설명서의 초반에 명확하게 제시한 설계목적을 분석의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67.9% 작품이 직접적으로 도시민 휴양 및 농촌관광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6.9%가 주민의 생활개선, 55.6%가 소득증대, 46.9%가 자연환경보전을 목적으로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용된 주요 어메니티 자원을 분석한 결과 자연경관 26, 농특산물 21, 지명 14, 전통자원 13, 동식물 13점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농촌다움이 살아있는 농촌마을을 구현하고, 지속적인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활용체계를 수립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s of Orchard Environments and Landscape Features on the Population Occurrence of Major Lepidopteran Pests in Apple Orchards (과원 환경과 경관 요소가 사과원 주요 나방류 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 Kim, Hyangmi;Jung, Chuleui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0 no.1
    • /
    • pp.79-90
    • /
    • 2021
  • Landscape composition and structure ar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biological diversity including pests and natural enemires in agricultural eco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dentify effect of landscape composition on occurrence of lepidopteran pest population in Geochang, Gyoungdnam. For this, orchard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actices were surveyed in 80 conventional apple orchards in Geochang, Korea, along with the monitoring of pest population densities. The landscape features of each surveyed orchard also obtained by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he public-service map. Grapholita molesta was the most dominat and damaging pest followed by Phyllonorycter ringoniella and Carposina sasakii in trap catches. Adoxophyes paraorana occurrences were low. Farmers spray insecticides and fungicides ap. 12.4 times per year respectively while acaricides were sprayed 2.4 times. Major landscape features such as surrounding apple orchard or paddy field did not influence the pest populations but presence of plum, peach, wild peach, graph, and even abandoned orchards significantly resulted in higher pest population mostly on G. molesta. C. sasakii population was higher in orchards with grape, peach, and P. ringoniella with peach, grape, abandoned orchards and jujube. Results highlight the need of landscape management not only for the rural amenity but also for increasing functional diversity of agroecosystem as well as reducing pest population.

Study on Amen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Multi-functionality on the Grassland (초지형 축산의 어메니티 및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 Cheon, D.W.;Lee, S.Y.;Park, M.S.;Park, H.S.;Hwang, K.J.;Yun, S.H.;Ko, M.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27 no.4
    • /
    • pp.297-312
    • /
    • 2007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economical value of Jeju grassland and validity of its preservation, and draw up several measures to support. To measure its economical value, this study examined its environmental value and social and cultural value. For environmental value, this study used replacement method while it applied CVM method, a widely used method, to assess social and cultural value and two-level two-best choice selection method, which ask questions by assuming virtual circumstances to avoid reflecting some biased opinions. Jeju grassland has multiple functions-environmental functions such as preventing soil corrosion and flood, handling animal excrement, and purifying air, and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such as promot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providing recreation places. From the results of the feasibility study, Jeju grassland's annual multiple functions are assessed to have a total $397,115{\sim}418,995$ million won worth.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Jeju visitors recognize Jeju grassland for its functions to contribute to public interests. That is, they think it can provide attractive views and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places and promote emotional development. Especially, many people presented their ideas that it be continuously preserved since it is worthwhile for us and our next generations. To preserve grassland's cultural resource, which create a huge economic value like this, the Government has to support a certain amount of financial aid for turning to a better grassland environment and its maintenance to realize environment-friendly livestock farming on Jeju Island and promote its tourism industry and consequently, add more value to Jeju.

Evaluation of Internal Phosphorus Loading through the Dynamic Monitoring of Dissolved Oxygen in a Shallow Reservoir (수심이 얕은 저수지에서 용존산소 동적 모니터링을 통한 인 내부부하 평가)

  • Park, Hyungseok;Choi, Sunhwa;Chung, Sewoong;Ji, Hyunseo;Oh, Jungkuk;Jun, Hangba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553-562
    • /
    • 2017
  • In these days, agricultural reservoirs are considered as a useful resource for recreational purposes, tour and cultural amenity for vicinity communities as well as irrigation water supply. However, many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s are showing a eutrophic or hyper-eutrophic state and high level of organic contamination. In particular, about 44.7% of the aged agricultural reservoirs that constructed before 1945 exceed the water quality criteria for irrigational water use. In addition to external loading, internal nutrient loading from bottom sedimen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utrient budget of the aged reservoi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variations of thermal structure of a shallow M reservoir (mean depth 1.7 m) and examine the potential of internal nutrient loading by continuous monitoring of vertical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 profiles in 2015 and 2016. The effect of internal loading on the total loading of the reservoir was evaluated by mass balanc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weak thermal stratification and a strong DO stratification were developed in the shallow M Reservoir. And, dynamic temporal variation in DO was observed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Persistent hypoxic conditions (DO concentrations less than 2 mg/L) were established for 87 days and 98 days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during the no-rainy summer periods. The DO concentrations intermittently increased during several events of atmospheric temperature drop and rainfall. According to the mass balance analysis, the amount of internal $PO_4-P$ loading from sediment to the overlying water were 37.9% and 39.7% of total loading during no-rainy season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on August when algae growth is enhanced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Consequently, supply of DO to the lower layer of the reservoir could be effective countermeasure to reduce nutrient release under the condition of persistent DO depletion in the bottom of the reservo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