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us coreanum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1초

복분자(覆盆子), 석창포(石菖蒲), 상침자 및 숙지황(熟地黃)이 모발성장(毛髮成長)과 면포에 미치는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Herbal Exrtacts on Hair Growth and Acnes)

  • 오영선;노석선;오민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9권3호통권31호
    • /
    • pp.34-54
    • /
    • 2006
  • The effects of four extracts of medicinal herbs, Rubus coreanum, Acorus calamus, Morus alba and Rehmannia glutinosa on hair growth activity and acnes control were investigated. In the course of screening natural extracts for hair growth, we found that the extract of dried root of Rubus coreanum has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these extracts to the back of C57BL/6 mice, the earlier conversion of telogen-to-anagen phase was induced. The growth of dermal papilla cells and mouse vibrissae hair follicle cultured in vitro, however,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 of these extracts. Furthermore these extracts do not possesspotent inhibitory effect on $5{\alpha}-reductase$ I and II activity and anti-bacterial effect on Escherichia coli , Propionibacterium acnes, Pityrosporum ovale,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midis, and Candida albicans. RT-PCR analysis showed that these extracts did notinduce mRNA levels of growth factors such as insulin-like growth factor-I, keratinocyte growth factor, hepatocyte growth factor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dermal papilla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ubus coreanum has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However, the effects of these materials on the hair growth promotion are not mediated through inhibition of $5{\alpha}-reductase$ I and II activity, stimulation of hair follicle cells and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in the dermal papilla cells.

  • PDF

복분자 열매에서 항산화활성을 지닌 quercetin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Quercetin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m Miquel)

  • 윤인;위지향;문제학;안태회;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99-502
    • /
    • 2003
  • 복분자 열매에 함유된 항산화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EtOAc가용 중성획분을 얻었다. 이 획분에 함유된 항산화활성 물질을 흡착성과 분자체 효과를 이요한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고, HPLC에 의해 1종의 항산화활성물질을 단리하였다. 분리된 활성물질의 구조 해석을 위해 EI-MS와 $^1H-NMR$ 분석을 실시하여, 활성물질은 구조식이 $C_{15}H_{10}O_7$이며 분자량이 302인 quercetin으로 동정되었다. 또한 항산화활성 물질 quercetin은 HPLC에 의해 복분자 열매 100g 중에 $0.25{\pm}0.02\;mg$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분자 열매의 화학성분 및 휘발성 향기성분 (Chemical Compounds and Volatile Flavor of Rubus coreanum)

  • 이종원;도재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53-45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식품차원의 연구분야 일환으로서 먼저 복분자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무기성분 및 향기성분 등을 보고하였다. 복분자의 총당은 17.3%, 환원당은 8.6%, 조단백질 10.6%, 조회분은 4.5%, 조지방은 3.1%, 조섬유는 3.9%이고, 유리당 함량은 sucrose 1.52%, fructose 3.98%, glucose 1.24%이고, 유기산 함량은 citric acid 10.2%, oxalic acid 6.29%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그 다음은 magic acid 1.94%였다. 총 아미노산은 7,841.5mg%이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2,989.8mg%로 나타났다. 복분자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1,260.3%이었고. 그 다음은 glu-tamic acid 1,054.3%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성분은 K가 387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향기성분은 복분자에서 총 52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는데 확인된 성분들은 관능기별로 분류하면 amyl alcohol를 포함한 alcohol류 11종, valeric acid를 포함한 acid류 13종, hexanal를 포함한 carbonyl류 20종, 2-hep-tanone를 포함한 hydrocarbon류 5종 그리고 methyl palmitate를 포함한 ester류가 3종이었다. 관능기별로 확인된 성분들의 총 peak area%를 살펴보면 alcohol 류 11.56%, acid류 38.87%, hydrocarbon류 2.89%, ester류 0.80%, 총 70.32%가 확인되었다. Alcohol류에서 linalool가 3.78%, acid류에서는 caproic acid류가 14.40%, car-bonyl류에서 2-hydroxy-4-methoxyace-tophenone이 2.99%, hydrocarbon류에서는 aromaden-dren가 1.59% 그리고 ester류에서는 methyl palmi-tate가 7.43%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복분자와 백련초가 첨가된 닭가슴살 면류 개발 (Development of Chicken Breast Noodles Adding Rubus coreanum Miquel and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김수민;김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111-1117
    • /
    • 2009
  • 기능성 면류제조를 위해 사용된 복분자와 백련초의 기능성을 평가한 결과 total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70% ethanol 추출물보다는 열수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함량이 높았으며 그 중 시료 농도 1,000 ppm에서 복분자 열수 추출물이 150.25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도 열수 추출물이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료 농도 1,000 ppm에서 복분자 열수 추출물이 69.3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닭가슴살, transglutaminase, 활성글루텐, 복분자, 백련초 등을 첨가하여 조리면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면 익는 시간은 CB가 304초로 가장 짧았고, NCB가 779초로 가장 오래 걸렸다. 수분 흡수율은 CB가 146.3%로 가장 높았고 NCB가 61.5%로 가장 낮았다. 부피 증가율은 CB가 246.3%로 가장 높았고, NCB는 161.5%로 가장 낮았다. 국물의 탁도는 조리중 고형분의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CB가 0.421로 가장 높았고, NCBT가 0.240으로 가장 낮았다. 물성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transglutaminase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hardness, cohesivness, springness 및 gumminess가 높은 물성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color는 모든 시료에서 4.0 이상으로 나타내었고, flavor는 모든 시료군에서 전반적으로 2.6~2.8로 낮은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Chewiness는 CB와 NCB보다 CBT와 NCBT가 높게 나타났었고, overall acceptability는 transglutaminase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Chewiness 항목의 평가가 높았던 시료가 overall acceptability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소비자들이 면을 먹을 때 쫄깃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복분자(Rubus coreanum Miquel) 즙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with Rubus coreanum Miquel Juice)

  • 황현주;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5-205
    • /
    • 2006
  • 복분자 착즙액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skim milk에 S. thermophilus, L. acidophilus와 L. casei를 혼합한 균주를 접종하여 복분자 착즙액이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H는 전반적으로 발효기간중 감소하는 경향을,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생균수 변화에 있어서 복분자 착즙액의 첨가는 농도에 따라 생육을 촉진하기도 하고 저해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 첨가농도까지는 안정된 발효를 유도하는 결과를 보였다. 성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조구와 복분자 착즙액 첨가구별 단백질, 유당, 유리지방산 함량에서는 시료간 비슷한 값을 보였고, 복분자 착즙액의 첨가량에 따라 총고형분함량은 증가하였다. 기호도 검사에서는 3% 복분자즙 첨가구가 색, 향, 맛, 후미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 PDF

복분자 추출물이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Rubus coreanum Miquel Extract on Hepatic Injury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 김인덕;강금석;권륜희;하배진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347-352
    • /
    • 2007
  • The protective effects of Rubus coreanum Miquel (RCM) extract against LPS-induced hepatotoxicity were studied in rats. Squrague-Dawley rats were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the RCM at 100 mg/kg per day for three weeks. Then single dose of LPS (5 mg/kg) was injected into rats. Four hours later, they were anesthesized with ether and dissected. We examined the levels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S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in sera, superoxide dismutase (SOD) in mitochondrial fraction an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in liver homogenate. LPS-treatment markedly increased the levels of AST, ALT, ALP, LDH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ose of SOD, CAT and GPx. But RCM-pretreatment decreased the levels of AST, ALT, ALP and LDH by 57.9%, 37.4%, 62% and 69% respectively and increased those of SOD, CAT and GPx by 82.9%, 64.2% and 96.7% respectively. Subsequently, the protective effects of RCM was evaluated through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liver tissue. The LPS treatment increased the state of necrosis and cirrhosis surrounding the central veins (CV) and sinusoid, but RCM-treatment decreased the state of necrosis and cirrhosis in the liver tissu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otective effects of RCM against LPS-induced hepatotoxicity.

Ethylacetate Fraction of Rubus coreanum Causes Vascular Relaxation and Hypotensive Action

  • Hong, Soon-Pyo;Choi, Mee-Sung;Lim, Dong-Yo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216-225
    • /
    • 2014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ethylacetate (EtOAc) fraction extracted from Rubus coreanum affect the contractility of the isolated thoracic aortic strips and blood pressure of normotensive rats. The EtOAc fraction ($400{\mu}g/mL$) significantly depressed both phenylephrine (PE, $10{\mu}M$)- and high $K^+$ (56 mM)-induced contractile responses of the isolated thoracic aortic strip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fashion. In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L-NAME (an inhibitor of NO synthase, $300{\mu}M$) and EtOAc ($400{\mu}g/mL$), both PE- and high $K^+$-induced contractile responses were recover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level in comparison with inhibition of EtOAc-treatment alone. Moreover, in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EtOAc after pretreatment with 0.4% CHAPS, both PE- and high $K^+$-induced contractile responses were recovered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level compared to the inhibitory response of EtOAc-treatment alone. Also, in anesthetized rats, EtOAc fraction (0.3~3.0 mg/kg) injected into a femoral vein dose-dependently produced depressor responses. This hypotensive action of EtOAc fraction was greatly inhibited after treatment with phentolamine (1 mg/kg), chlorisondamine (1 mg/kg), L-NAME (3 mg/kg/30 min) or sodium nitroprusside ($30{\mu}g/kg/30 min$). Intravenous infusion of EtOAc fraction (1.0~10.0 mg/kg/30 min) markedly inhibited norepinehrine-induced pressor respons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strate that EtOAc causes vascular relaxation in the isolated rat thoracic aortic strips as well as hypotensive action in anesthetized rats. These vasorelaxation and hypotension of EtOAc seem to be mediated at least by the increased NO produc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NO synthase of vascular endothelium, and the inhibitory adrenergic modulation.

복분자(Rubus coreanum F.) 열수 및 에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between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okbunja (Rubus coreanum F.))

  • 조영제;천성숙;권효정;김정환;윤소정;이경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90-796
    • /
    • 2005
  • 복분자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 활성효과를 비교하였다. 각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41.4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60\%$에서 41.3 mg/g으로 높았다. 복분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ABTS가 $60\%$ 에탄을 추출물에서 99.8$\%$, 열수추출물에서 $99.3\%$로 나타났으며, PF는 1.3, 1.2, DPPH가 $93.3\%$, $91.1\%$, TBARS가$ 0.03(\times\;100\mu M),\;0.04(\times\;100\mu M)$로 나타났다 복분자 추출물의 생리활성효과는 XOase 활성억제 효과와 pancreatin $\alpha$-amylase 활성억제효과가 열수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ACE 활성억제효과는 열수추출물과과 $60\%$ 에탄올 추출물이 같은 활성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복분자 추출물로부터 생리활성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페놀물질을 알아보기 위해 4가지 페놀화합물인 protocatecuic acid, caffeic acid, courmaric acid, rosemarinic acid를 선정하여 HPLC로 분석해 본 결과 $60\%$ 에탄을 추출물과 열수추출물 모두 protocatecuic acid가 12.5 mg/g, 10 mg/g으로 4가지 페놀화합물 가운데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복분자 추출물의 생리활성효과는 천연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fluence of Genotoxic Heterocyclic Aromatic Amine Formation and Overall Mutagenicity in Ground Beef Patties Using Korean Bramble (Rubus coreanum Miquel)

  • Lee, Jae-Hwan;Shin, Han-S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576-579
    • /
    • 2007
  •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Korean bramble (Rubus coreanum Miquel) tissue concentrate on heterocyclic aromatic amine (HAA) formation in fried ground beef patties were investigated. Various amounts of Korean bramble tissue (4.0, 7.0, and 11.0%, w/w) were added to ground beef patties were fried at 2 different temperatures (190 and $225^{\circ}C$) for 10 min/side. It was observed in the fried ground beef patties fried at $190^{\circ}C$ with the addition of 11.0%(w/w) Korean bramble that the mutagenicity decreased by 64%, and formation of 2-amino-3,8-dimethylimidazo[4,5-f]quinoxaline (MeIQx) and 2-amino-I-methyl-6-phenylimidazo[4,5-b]-pyridine(PhIP) reduced by 55 and 86%, respectively. Although no difference in total mutagenicity was shown in patties fried at $225^{\circ}C$ with the addition of 4.0, 7.0, and 11.0%(w/w), different levels of reduction of PhIP formation in patties fried at $225^{\circ}C$ with the addition of 4.0, 7.0, and 11.0%(w/w) were shown 49, 63, and 75%, respectively.

홍삼 및 복분자를 첨가한 청국장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onggukjang Containing Korean Red Ginseng and Rubus coreanum)

  • 홍주연;김은정;신승렬;김태완;이인중;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72-877
    • /
    • 2008
  • 본 실험은 청국장의 풍미와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홍삼 및 복분자 추출액을 첨가하여 청국장을 제조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 및 조지방의 함량은 증자콩, 일반청국장, 홍삼청국장 및 복분자청국장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홍삼청국장이 1,992.6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증자콩은 138.7 mg/100 g으로 청국장에 비해 그 함량이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을 살펴보면, 증자콩에서는 maltose(805 mg/100 g)의 함량이 높았고, 청국장에서는 fructose와 glucose가 주된 유리당이었으며, 특히 홍삼청국장은 일반청국장에 비해 sucrose의 함량이 높았다. 증자콩 및 청국장에서 총 17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홍삼청국장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자콩이나 일반청국장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L, a 및 b값은 증자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분자청국장의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청국장이 증자콩에 비해 경도 및 강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홍삼을 첨가한 청국장은 일반 청국장에 비해 단맛과 감칠맛 그리고 부드러운 질감을 가질 것으로 생각되며, 청국장 제조 시 홍삼을 첨가함으로써 맛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