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a multiflora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초

귀화식물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의 적응환경요인 (Adapted Environment Factors for a Neophyte Pokeweed (Phytolacca americana))

  • 이종운;전재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7-93
    • /
    • 1996
  • 귀화식물인 미국자리공의 군락 구조와 무기환경요인을 추적하였다. 서식지 식생은 Pinus densiflora, persicaria perfoliata, Miscanthus sinensis, Smilax china, Rubus crataegifolius, Paederia scandens, Rosa multiflora, Commelina communis, Carex lancelolatl가 우점 하였으며 파괴된Pinus densiflora 아극상 감림군략에 침임하여 적응한 형태였다. 서식지 토양의 속성은 pH 4.6의 높은 산도, 높은 중금속과 유기물 함량이 특징적이었으며 이는 전형적인 황지식물군락의 환경요인이었다. 생장조절실 내에서 수행한 제한요인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유식물의 피해반응은 인공산성비에 의한 pH2.0과 500Lux의 광도에서 나타났으며 일시위조점은 pF2.6-2.7에서, 그리고 영구위조점은 pF2.8-2.9에서 각각 나타났다.

  • PDF

찔레꽃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osa multiflora)

  • 여진실;전성식;최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17-1223
    • /
    • 2014
  • 본 연구는 찔레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간의 항산화 활성 비교를 위해 in vitro에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ABTS, NO radical 소거능 및 환원력을 $10{\sim}500{\mu}g/ml$의 농도에서 실험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물(4.95~92.15%)과 에탄올추출물(2.76~90.55%)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아졌으며 열수추출물이 더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열수추출물(4.44~92.99%)이 에탄올추출물(2.63~87.12%)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열수추출물(0.256~0.775)이 에탄올추출물(0.234~0.568)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그리고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보였으며, NO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열수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보다 조금 높은 활성을 보였고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찔레추출물의 항산화력의 $IC_{50}$값을 비교한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각각 열수추출물에서 79.73, $79.82{\mu}g/ml$으로 나타났고,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145.85, $159.03{\mu}g/ml$로 나타났다. 총 페놀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140.74 mg/g, 에탄올추출물에서 37.83 m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45.31 mg/g, 에탄올추출물에서 42.68 mg/g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찔레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실험들에서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천연 항산화제로 이용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SO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의 선발(選拔)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研究) - I. 엽조직(葉組織) 실험(實驗) - (A Study on Selection of SO2 Resistant Tree Species - I. Leaf Disk Experiment -)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223-228
    • /
    • 1988
  • $SO_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6수종(樹種)(등나무, 일본목련, 찔레, 튜울립나무, 아까시, 단풍나무)의 엽조직(葉組織)(직경(直徑) 6mm, 50개(個))을 $H_2SO_4$, $H_2SO_3$$Na_2SO_4$를 증류수로 묽혀 농도별(濃度別)(0, 25, 50, 100 및 250 ppm stoichiometric $SO_2$ concentration) 용액(溶液) 25ml에 띄워 실온(室温)에서 1,500 Lux(fluorescent lamp)하에서 20시간 처리한 후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과 처리용액(處理溶液)의 산도변화(酸度變化)를 측정(測定)하였다.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은 처리전(處理前)에 비해 처리후(處理后)에 감소했으며, 급원(給源)$H_2SO_3$에서 가장 심하고 다음으로 $H_2SO_4$, $Na_2SO_4$의 순이었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의 감소율(減少率)은 대체로 단풍나무, 일본목련 및 등나무에서는 크게 나타났고, 찔레, 튜울립나무 및 아까시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엽록소함량의 감소율은 잎의 $SO_2$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는 지표(指標)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처리용액(處理溶液)의 산도(酸度)는 대체로 처리후(處理后)에 낮아졌으며, 이는 처리중(處理中)에 세포질누출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처리전후(處理前后)의 용액(溶液)의 산도변화(酸度變化)는 수종별(樹種別)로 엽육발달정도(葉肉發達程度), 조직내(組織內) 산도유지기작(酸度維持機作) 및 완충능(緩衝能)이 상이하므로 $SO_2$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는 지표(指標)로 이용(利用)하기는 부적당하다고 보여 진다.

  • PDF

제주도(濟州道) 목초지(牧草地)에 발생(發生)하는 잡초종(雜草種) (Weed Flora of Range Area in Cheju Island in Korea)

  • 김길웅;김상호;김창구;김진협;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1-294
    • /
    • 1988
  • 제주도(濟州道)의 목초지(牧草地)에 발생(發生)하는 하계잡초(夏季雜草)를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사(調査)된 총(總) 잡초종수(雜草種數)는 44과(科) 136 여종(餘種)이었으며 국화과(菊花科) 29종(種), 벼과(科) 16종(種), 콩과(科) 14종(種), 장미과 13종(種), 마디풀과(科) 10 종순(種順)으로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2. 목초지(牧草地)에 우점(優占)하는 잡초종(雜草種)은 크로바, 늦고사리삼, 찔레꽃, 억새, 띠로 나타났다. 3. 잡초군락(雜草群落)은 쑥-늦고사리삼 군락(群落), 쑥-실망초/패랭이꽃 군락(群落) 및 쑥-싸리/억새 군락(群落)으로 대별(大別)되며 늦고사리삼, 실망초, 싸리, 억새가 식별종(識別種)으로 조사(調査) 되었다. 4. 발생빈도(發生頻度)로 본 우점초종(優占草種)은 쑥, 바늘엉겅퀴, 큰피막이, 찔레꽃, 오이풀, 산딸기, 양지꽃, 개망초, 질경이, 괭이밥, 쥐깨풀의 순(順)으로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 PDF

내장산국립공원 입암습지의 식생 및 경관 변화와 관리방안 (Vegetation and Landscape Analysis and Management Methods of Ip-am Wetland in the Naejang National Park)

  • 이선미;명현호
    • 생태와환경
    • /
    • 제48권1호
    • /
    • pp.26-31
    • /
    • 2015
  • 내장산국립공원에 위치한 입암습지의 식생 조사 및 경관 분석을 통해 습지의 상태를 평가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야외 조사 및 1976년도와 2010년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경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거에 논이었던 곳은 현재 습지를 대표하는 버드나무군락(21.6%), 고마리군락(2.8%), 갈대군락(1.1%), 진퍼리새군락(4.9%), 진퍼리새-고마리군락(0.5%) 등의 습지식생이 차지하고 있었고, 밭이었던 곳은 현재 찔레꽃군락(6.8%), 환삼덩굴-찔레꽃군락(42.0%), 환삼덩굴군락(10.6%)이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전체의 30.9% 분포비율을 나타내는 입암습지의 지속적 관리를 위해서는 수리 수문학적 조사를 통해 습지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물길을 유도하고 제6수중보를 활용하여 유량을 확보한 후 갈수기에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과거에 설치한 둑을 보강하여 수분 유출 최소화, 이탄 건조 방지 및 분해속도를 저감시켜 육상식물의 침입 및 정착을 제한하여 자연적 천이의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산구절초, 자소엽, 찔레를 함유한 천연 화장품소재의 다성분 동시분석과 항산화활성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Compounds of Natural Cosmetic Resources Containing Chrysanthemum zawadskii, Perilla frutescens, Rosa multiflora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 함하늘;쉬레스타 아비나쉬 찬드라;김주은;이태범;유병완;김민숙;김광상;차준석;이용문;김종엽;임재윤
    • 생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12-321
    • /
    • 2018
  • Recently, consumer demand for functional cosmetics containing natural ingredients has been greatly expanded. To develop the natural cosmetic materials, we selected 3 plants,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CZ),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 acuta Kudo (PF), and Rosa multiflora Thunberg (RM) which showed high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and strong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We determined astragalin, chlorogenic acid, and rosmarinic acid as a marker compoun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ntent of each material and standardization of the quality standards and manufacturing standards through LC/MS analysis. HPLC-DAD was used to simultaneously analyze these marker components of three natural product complexes (Mix) and to validate the analytical method through experiments such as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detection wavelengths were set at 210, 265, and 330 nm. The detected 3 compounds from extract of CZ, PF, RM showed significant linearity ($R^2${\geq_-}$0.9947). The limit of detection (LOD) of chlorogenic acid, astragalin and rosmarinic acid were $8.29{\mu}g/ml$, $2.28{\mu}g/ml$, and $27.00{\mu}g/ml$, respectively.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chlorogenic acid, astragalin and rosmarinic acid were $25.11{\mu}g/ml$, $6.92{\mu}g/ml$, and $81.83{\mu}g/ml$,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he three indicators of Mix were 19.82-24.71 mg/g of chlorogenic acid, 43.80-46.02 mg/g of astragalin, and 46.33-48.57 mg/g of rosmarinic acid.

도시지역 곰솔림의 식생복원모델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Urban Areas)

  • 김석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2호
    • /
    • pp.151-16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o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Saha-gu,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is presented by separating community planting and edge planting. The community planting species of tree layer were Pinus thunbergii and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dentata and Quercus serrata and Quercus alienna and Quercus variabilis. The community planting species of subtree layer were Platycarya strobilacea and Prunus sargentii and Styrax japonica and Eurya japonica and Morus bombycis. The community planting species of shrub layer are Ulmus pavifolia and Ulmus davidiana and Lindera obtusiloba and Elaeagnus macrophylla and Mallotus japonicus and Ligustrum obtusifolium and Sorbus alnifolia and Rhus trichocarpa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Rosa wichuraiana and Rhus chinensis and Viburnum erosum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hododendron yedoense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the planting species of edge vegetation are Japanese Angelica and Symplocos chinensis and Pittosporum tobira and Lespedeza maximowiczii and Lespedeza bicolor and Rubus coreanus and Rubus idaeus and Vitis thunbergii and Ampelopsis brevipedunculata and Rosa multiflora. Considering the population of individuals up to layers in each $400m^2$ area, it was composed of 24 in tree layer, 35 in subtree layer, 410 in shrub layer and 34% herb layer in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the average of breast-high area and canopy area was $10,852cm^2$ in tree layer, in subtree layer $1,546cm^2$, in shrub layer $1,158,660cm^2$.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rees was calculated as 2.0m in tree layer, 1.9m in subtree layer.

도시림 식생의 생태적 특성과 복원모델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storation Model of Vegetation in the Urban Forest)

  • 김석규;주경중;남정칠;박승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0-9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o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Saha-gu, Busa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is presented by separating community planting and edge planting. In community planting, as a group of canopy, there are 6 species; Pinus thunbergii, Quercus acutissima, Quercus dentata, Quercus serrata, Quercus alienna, Quercus variabilis. As a group of understory, there are 5 species; Platycarya strobilacea, Prunus sargentii,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Morus bombycis. Also as a group of shrub, there were 15 kinds of species; Ulmus pavifolia, Ulmus davidiana, Lindera obtusiloba, Elaeagnus macrophylla, Mallotus japonicus, Ligustrum obtusifolium, Sorbus alnifolia, Rhus trichocarpa, Zanthoxylum schinifolium, Rosa wichuraiana, Rhus chinensis, Viburnum erosum, Rhododendron mucronulatum, Rhododendron yedoense,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as a group of edge vegetation, there were 10 kinds of species; Japanese Angelica, Symplocos chinensis, Pittosporum tobira, Lespedeza maximowiczii, Lespedeza bicolor, Rubus coreanus, Rubus idaeus, Vitis thunbergii, Ampelopsis brevipedunculata, Rosa multiflora. Vegetation restoration models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were calculated the units $400m^2$ for the average populations of the woody layer is 24 in canopy layer, 35 in understory layer, 410 in shrub layer, 34% herbaceous layer ground cover. And the average of breast-high area and canopy area is $10,852cm^2$ in canopy layer, in understory layer $1,546cm^2$, in shrub layer $1,158,660cm^2$.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rees is calculated as 2.0m in canopy layer, 1.9m in understory layer.

중국 약용식물 추출물의 알도즈 환원 효소 억제 효능 검색 (VII) (Screening of Chinese Herbal Medicines with Inhibitory Effect on Aldose Reductase (VII))

  • 이윤미;김영숙;김주환;김진숙
    • 생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1-167
    • /
    • 2013
  • Aldose reductase (AR) has been sh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diabetic complications. To discover novel treatments for diabetic complications from natural sources, 59 Chinese herbal medicin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inhibitory activities on AR. Among them, 10 herbal medicines, Catalpa fargesii (stem and leaf), Saussurea Laniceps(whole plant), Alnus nepalensis(stem and leaf), Swertia macrosperma (whole plant), Woodfordia fruticosa (stem and leaf), Elsholtzia bodinieri (whole plant), Elsholtzia fruticosa (whole plant), Rosa multiflora (fruit), Nardostachys chinensis (whole plant), Eurya groffii (stem and leaf) exhibited a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with 3,3-tetramethyleneglutaric acid (TMG) as positive control. Particularly, 4 herbal medicines, C. fargesii (stem and leaf), S. Laniceps (whole plant), A. nepalensis (stem and leaf), S. macrosperma (whole plant) showed two times more potent inhibitory activity than TMG ($5.37{\mu}g/ml$).

도시공원내 야생조류의 먹이자원 및 인공새집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Resource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Nest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 김종갑;이성규;민희규;민기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5호
    • /
    • pp.275-282
    • /
    • 2002
  • 먹이식물에 대한 야생조류의 기호성을 조사한 결과 28종 중에서 특히 소나무, 팽나무, 노박덩굴, 찔레꽃, 주목, 사철나무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조류의 먹이섭식량은 번식기(5∼6월)에는 동물성(섭식률 92.2%)을 식물성(섭식률 32.7%)보다 선호하였으나 비번식기(11∼12월)에는 동·식물성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먹이 종류별 선호도는 식물성은 조, 좁쌀을 동물성은 쇠기름덩이, 번데기를 선호하였다. 공원별 인공새집 이용률은 노산공원 77.5%, 산호공원 50.3%, 진주성지 44.1%, 비봉공원 42.2% 순으로 노산공원에서 인공새집의 의존률이 가장 높았고, 인공새집 구멍 크기별로는 5cm 출입공보다 3cm 출입공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