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ing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34초

Coreopsis spp와 Dianthus spp의 삽목 시 삽목시기, 용토 및 프러그 셀 크기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time, media and plug cell size on rooting of Coreopsis spp and Dianthus spp.)

  • 박노복;신윤경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2권1호
    • /
    • pp.39-45
    • /
    • 2010
  • 본 연구는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의 삽목시기와 용토, Plug 규격이 생육 및 발근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 두 품종 모두 삽목 시기가 늦어질 수록 발근율과 발근 수가 낮아졌다. 5월 20일에서 8월20일 삽목 처리구에서는 두 품종 모두 90% 이상 발근하였으나 9월 20일 삽목한 처리구에서는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 두 품종이 각각 87%와 82%의 저조한 발근율을 보였고 발근 수 역시 9월 20일 처리구가 가장 저조하였다. 또한 Dianthus spp와 Coreopsis spp 두 품종 모두 모래를 제외한 모든 용토에서 90%이상 발근되었고 peatmoss(1)+perlite(1) 혼합용토에서 발근수가 가장 많았다. Coreopsis spp는 plug 162공에서 발근율이 98%로 가장 높았고 Dianthus spp는 162공과 200공에서 각각 발근율이 95.8%와 96%로 높고 근권부 형성율이 좋았다.

사과 왜성대목들의 줄기 황화처리에 따른 발근 부위의 생리적 변화 (Physiological Changes in Rooting Zone of Dwarf Apple Rootstocks (Malus domestica Borkh.) after Stem Etiolation Treatment)

  • 권순일;김목종;백봉렬;남종철;강인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1-156
    • /
    • 2007
  • 본 시험은 주요 왜성대목인 M.26 과 M.9, 발근력이 낮은 O.3, 발근력이 높은 Mo.84 등 4 종류의 사과 대목 품종을 재료로 휘묻이 번식시 황화처리에 따른 발근 부위의 생리적 변화를 시기별로 각각 비교, 분석하여 부정근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휘묻이 번식시 대목별 발근율은 Mo.84가 가장 높았고, O.3가 가장 낮았다. 대목 별 휘묻이 전 후의 IAA함량은 황화 처리 전 발근력이 높은 Mo.84에서 가장 높았으나 휘묻이 일수가 경과할 수록 IAA 힘량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반면 발근력이 기장 좋은 Mo.84의 ABA 함량은 휘묻이 처리 전 후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휘묻이 처리전에 비하여 처리후에서 ABA 함량은 모든 대목 품종에서 감소하였다. Boron의 함량은 발근율이 낮은 O.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C/N율은 모든 대목들에서 발근율이 높은 Mo.84 대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목의 휘묻이 처리에 따른 IAA 함량은 대목의 발근율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지만 ABA 함량과 boron의 수준은 사과왜성대 목들의 발근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가시오가피의 거목번식방법(揷木繁殖方法) (Cutting Propagation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 박호기;박문수;김태수;최인녹;장영선;김규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3-139
    • /
    • 1994
  • 가시오가피(五加皮)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는 강장(强壯), 강간(强肝), 혈당강하(血糖降下). 항(抗)스트레스, 스테미너 보강등(補强等)에 효과(效果)가 있는 식물(植物)로 강원도 북부(北部) 및 덕유산(德裕山)에 자생(自生)하고 있으나 계식기술(繫繫殖技術)이 거의 개발(開發)되어 있지 않아 묘목(苗木)을 대량(大量) 생산(生産)키 위하여 삽목계식에 대한 일연(一連)의 시험(試驗)을 $1990{\sim}1992$년(年)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발근촉진제(發根促進劑) 처리(處理)에 의한 삽목후 Callus 형성(形成) 및 발근율(發根率)은 Rootone-F 분의처리(粉衣處理)가 IAA, NAA 및 IBA보다 양호(良好)하였다. 2. 삽수의 발근억제(發根抑制) 물질(物質) 제거처리(除去處理)는 삽목후 처리간(處理間) 차리(差異)가 없는 점으로 보아 억제물질(抑制物質)은 없는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3. 삽목시 발근(發根)이 잘되는 상토(床土)는 Perlite(1):Vermiculite(1)가 40%로 가장 좋았으며, 모래는 12%, 황토(黃土)에서는 전혀 발근(發根)되지 않았다. 4. 삽목시기(揷木時期)는 가시오가피(五加皮)는 9월(月) 20일(日)(반숙지삽(半熟枝揷)),지리오가피(五加皮)는 7월(月) 20일(日)(녹지삽(綠枝揷)) 또는 9월(月) 20일(一) 반숙지삽(半熟枝揷)에 삽목하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당오가피(五加皮)는 삽본시기 및 삽수에 관계(關係)없이 발근(發根)이 잘 되었다.

  • PDF

Aloe vera의 삽목 발근에 미치는 제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actors Affected on Rooting of Aloe vera Cutting)

  • 정호선;침재성;박태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55-64
    • /
    • 1993
  • 본 연구는 Aloe vera의 흡지번식에 있어서 auxin류의 처리와 몇 가지 재배요인이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흡지의 크기와 근경의 유무에 따른 발근효과를 보면 단흡지(15-20cm)는 근 경을 제거한 것 보다 부착했을때 발근수가 많았고, 장흡지(25-30cm)는 근경을 제거했을때 근수 및 근건물중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단흡지는 근경이 부착되었을때 IBA 500mg/I처리에서 가장 높은 발근효과를 나타냈고, 장흡지는 근경을 제거했을때 IBA 1,000mg/I와 NAA 200mg/I처리에서 가장 촉진적이다.2. IBA, NAA, ethychlozate의 침지시간에 따른 무근경흡지의 발근양상을 보면 IBA와 NAA가 발근에 촉진적으로 작용했으나 NAA와 ethychlozate처리구에서는 약해를 받은 흔적이 나타나 aloe의 발근촉진에는 IBA가 가장 적합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또한 단흡지는 IBA 500mg/I에 10분 침지한 것이, 장흡지는 IBA 1,000mg/I에 10분 침지한 것이 근수, 최근장, 근중 및 발근율에서 가장 효과적 이었다. 그리고 흡지의 크기에 따른 발근효과는 장흡지가 더욱 촉진적이었고 균일한 발근양상을 나타냈다.3. 무근경장흡지의 근수와 근중은 IBA 1,000mg/I처리에 7일간 음건했을때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IBA를 처리하지 않았을 때에는 음건이 길어수록 근장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4. Aloe흡지삽에 있어서 삽목용토에 따른 발근효과를 보면 인공용토 보다는 퇴비가 많이 함유된 재배토양에서 뿌리분화 및 뿌리생육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5. Aloe흡지삽의 발근은 투광율이 높을수록 양호한 경향을 보였고, 피복재료에 있어 서는 투명비닐 보다 흑색비닐이 발근을 더욱 촉진시켰다.

  • PDF

삽목조건이 희귀수종 눈향나무의 발근과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Condition on Rooting and Early Growth of a Rare Endemic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

  • 안상열;안병섭;박수정;김주현;이상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73-80
    • /
    • 2011
  • 눈향나무의 효율적인 삽목번식 체계를 확립하고자 삽목시기, 삽목용 상토, 삽수, 발근촉진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삽목 후의 생존율, 발근율 및 초기생장상태를 조사하였다. 삽목시기에 따른 발근율은 4월 68.3%, 5월 39.5%, 6월의 32.5%로서 4월이 가장 적합하였다. 삽목용 상토는 냇모래 72.7%, 혼합토 40.1%, 마사토 27.5%로서 냇모래가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고, 뿌리의 생장도 좋았다. 발근촉진제 처리 효과는 발근율이 높은 냇모래에서는 효과가 없었지만, 발근율이 낮은 마사토에서는 무처리구 41.1% 에 비해 IAA 64.4%, IBA 64.4%, NAA 68.9%로서 발근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삽수의 숙도면에서는 숙지삽을 이용하는 것이 반숙지삽을 이용하는 것보다 생존율이나 발근율이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눈향나무 삽목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조건은 냇모래에 숙지삽 상태로 4월에 삽목하는것이라 할 수 있다.

전기처리에 의한 주목의 삽목발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ooting of Taxus cuspidata Cuttings by Electric Treatment)

  • 정진철;최정호;장규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2
    • /
    • 1994
  • Tow-year-old Taxus cuspidata shoot cuttings were treated with various electrical impacts of cathode on their base and anode on their apex by normal and reverse source. The cuttings were previously treated with 200ppm IBA for 12 hours and the rooting percentage, the length, and the weight of roots were checked. The auxin contents of cuttings were also exa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ormal treatment, cathode into the base and anode into apex, seemed to accelerate rooting while reverse treatment showed less effective than normal treatment on rooting, but both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control. 2. The impact of electrical treatment at 30mV for 30min has a remarkable effect on the percentage rooting, the length, and the weight of roots. 3. Root primordia were formed at the basipetal end of cuttings where the end of primary pith ray meets the cambium in control treatment and formed at the basal part of cuttings irregularly in electrical treatment. 4.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howed electrical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on auxin accumulation than control, and 30mV-30min was the most effective on auxin accumulation.

  • PDF

A simple phenotyping method for deep-rooting rice grown in pots

  • Han, Jae-Hyuk;Shin, Na-Hyun;Moon, Jae-Hoon;Chin, Joong Hyoun;Yoo, Soo-Cheu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44-449
    • /
    • 2016
  • Deep rooting, which enables plants to extract water from greater soil depths, is a critical strategy for improving plant survival under water-deficient conditions. However, as it is difficult to observe intact root systems belowground, several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screen deep- and shallow-rooting phenotypes in rice. Here, we introduce a simple and convenient method for deep- and shallow-rooting phenotyping using a unique combination of sand, soil, and plastic mesh netting. Vandana, a drought-tolerant rice variety, and Dongjin, a Korean japonica rice variety, were used to analyze root phenotyp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oot length were observed in rice grown under irrigated conditions regardless of net position, whereas roots were significantly longer, and ratio of deep root (RDR)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Vandana rice grown under semi-drought conditions. In summary, this simple and useful method represents a low-cost means of phenotyping the roots of rice and other crops grown in various-sized pots and at multiple plant growth stages.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in vitro Propagation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 Yi, Jae-Seon;Lee, Hyunseok;An, Chan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275-281
    • /
    • 2013
  • To establish in vitro nodal culture conditions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one of rare and endangered species famous for beautiful flower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influence of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on shooting and rooting from in vitro shoots was investigated. In shoot multiplication, addition of 6-benzylaminopurine (BA) to the half-strength Driver and Kuniyuki's media in the range of 2.22 to 8.88 ${\mu}M $induced 2.5 to 2.7 shoots per axillary bud; and addition of 2.27 ${\mu}M $ thidiazuron (TDZ) produced 3.2 shoots, during 4 weeks of culture, while zeatin and isopentenyl adenine (2ip) were not effective on shoot multiplication as observed from several combination treatments of BA with other PGRs. Shoots established were smaller than 2 cm in length, in most of the treatments. while in BA 8.88 ${\mu}M $ treatment more than 30% of shoots were longer than 2 cm and shorter than 4 cm. In rooting, naphthalene acetic acid (NAA) from 5.37 to 21.48 ${\mu}M $ showed the rooting rate from 40.0 to 62.5%. Indole butyric acid (IBA) addition had little effect on rooting (<10%), although some roots in IBA-containing media were longer than those in NAA. Micropropagation from axillary buds of nodular explants was applicable and promising to multiplication and conservation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황칠나무 삽목번식에 관한 연구 (Cutting Propagation of Dendropanax morbifera $L_{EV}$.)

  • 최성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1-257
    • /
    • 1998
  •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자생지인 전남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삽목번식법을 체계적으로 확립 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삽목의 종류로는 숙지삽과 녹지삽이 가능하였으며, 숙지삽 보다는 녹지삽이 캘러스형성이 양호하고 발근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삽목시기는 숙지삽은 2월${\sim}$3월 중순경 실시하고, 녹지삽은 2월${\sim}$3월경 실시하는 것이 발근율이 높아 적당한 시기로 판단된다. 2. 황칠나무의 경삽시 삽식형태는 관삽(normalcutting)보다는 단자삽(earthen-ball cutting) 이 캘러스 형성율이 높고 발근이 양호하였다. 3. 상토는 통기성과 보수성이 양호한 사양토가 발근에 효과적이었으며,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적당한 상토로 생각된다. 4. 식물생장조절제는 IBA(indole butyric acid)를 100ppm처리할 경우 캘러스 형성율이 높고 발근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 PDF

무궁화 삽목시 품종 및 화형에 따른 발근 및 생육 특성 (Characteristics of Rooting and Shoot Growth Influenced by Cultivar and Flower Types in Hibiscus syriacus Hardwood Cutting)

  • 이호선;이종석;곽병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4호
    • /
    • pp.528-53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54품종의 무궁화를 공시하여 삽목시, 품종간의 발근력과 신초생장을 조사하고, 아울러 화형별로 분류하여 서로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Comte de Haimont', '한얼단심', '향단', '나보라', '사임당' 등이 삽목이 잘되는 품종으로 나타났고, '일편단심', '루시', '배달' 및 '서호향' 등의 품종은 삽목발근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삽목 후 신초길이는 '한얼단심', 'Kreider Blue', '나보라', '신하마보', '눈보라' 등이 길었으며 '첫사랑', '루시', '신태양', '영광' 등이 매우 짧았다. 54개 품종을 화형별로 구분하여 발근 및 생육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반겹꽃 무궁화가 발근 및 생육특성이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