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vegetable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32초

식물성 원료 중 천연유래 보존료의 함유량 조사 (Monitoring of Preservatives Produced Naturally in Vegetable Raw Materials)

  • 이수빈;소지선;정금재;남혜선;오재명;이순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2-16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식품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농·임산물 중 천연유래 보존료의 함유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안식향산, 소브산 및 프로피온산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식품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농·임산물 중 안식향산 및 소브산 함량을 정량, 정성 분석하기 위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프(HPLC-DAD) 및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하였고, 프로피온산 함량분석을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프(GC-FID)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였다. 에탄올을 사용하여 용매추출 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방법으로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였고,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측정으로 분석방법을 검증하였다. 식품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농·임산물 497건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검출 범위는 각각 불검출-27.3 mg/kg, 불검출-1,057 mg/kg, 불검출-175 mg/kg이었다.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평균 검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품목은 각각 작약(337 mg/kg), 비자(12.1 mg/kg), 몰약(64.8 mg/kg)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 방법은 다양한 식품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농·임산물을 대상으로 미량의 함량의 천연유래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을 분석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이며, 분석 결과는 식품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농·임산물 중 천연유래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함유량을 알 수 있는 근거자료로 향후 식품 검사 시 보존료 사용기준 위반 판정으로 인한 민원제기나 국가간 무역 마찰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백하수오(白何首烏)의 묘령(苗齡)에 따른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Effects of Seedling Ages on Growth and Yield of Cynanchum wilfordii $H_{EMSLY}$)

  • 최인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1-125
    • /
    • 1998
  • 백하수오(白河首烏)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종묘(種苗)를 구명(究明)하고자 충북 지방재래종을 공시하여 10a당 퇴비(堆肥) 1.000kg, N - $P_2O_5\;-\;K_2O$=8 - 4 - 4kg을 시용(施用)하였고 종자직파, 1년생 종근(種根) 및 3년생 종근(種根) 등 ,3처리(處理)를 휴폭(畦幅) 50cm, 주간(株間) 10cm로 하여 시험을 수행(遂行)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기(出芽期)는 3년생 종근(種根) 5월 14일에 비하여 종자직파는 3일 빨랐고, 1년생 종근(種根)은 같았으며, 만장(蔓長)은 3년생 종근(種根) 279cm에 비하여 종자직파는 16cm 1년생 종근(種根)은 26cm가 각각 길었다. 2. 뿌리굵기는 3년생 종근(種根) 1.0cm에 비하여 종자직파는 0.4cm, 1년생 종근(種根)은 0.5cm가 각각 굵었으며, 근장(根長)은 3년생(年生) 종근(種根) 32.2cm에 비(比)하여 종자직파(種子直播)는 7.2cm가 짧았고 1년생(年生) 종근(種根)은 0.6cm가 길었다. 3. 10a당 총(總) 수량(收量)은 3년생 종근(種根) 1,403kg에 비하여 종자직파는 29%, 1년생 종근(種根)은 55% 증수(增收)하였고, 상품 수량은 3년생 종(種)근 507kg에 비하여 종자직파는 14%, 1년생 종근은 17%가 각각 증수되어 백하수오(白何首烏)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종묘(種苗)는 직파 또는 1년간 육묘(育苗)하여 정식(定植)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 PDF

순환식 수경재배에 적합한 방울토마토 '꼬꼬' 배양액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Nutrient Solution of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KoKo') in a Closed Soilless Culture System)

  • 유성오;최기영;전경수;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9-77
    • /
    • 2006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absorption pattern in the growth stage and develope the optimal nutrient solution hydroponically grown the cherry tomato 'Koko' in closed substrate culture system with the nutrient solution of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Station in Japan into 1/2S, 1S, and 2S. When plant was grown in 1/2S, the growth and yield were high and the pH and EC in the root zone were stable. Suitable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for cherry tomato was $NO_3-N\;6.8,\;PO_4-P\;2.7,\;K 3.2,\;Ca\;3.6\;and\;Mg\;1.1\;me\;L^{-1}$ in the early growth stage, $NO_3-N\;7.3,\;PO_4-P\;2.2,\;K\;3.7,\;Ca\;3.6;and\;Mg\;1.1\;me\;L^{-1}$ in the late growth stage by calculating a rate of nutrient and water uptake. To estimate the suitability for the nutrient solution in a development of cherry tomato developed by Wongkwang university in Korea (WU), plant was grown in perlite substrate supplied with different solution and strengths(S) by research station for greenhouse vegetable and floriculture in the Netherlands (Proefstation voor tuinbouw onder glas th Mssldwijk; PTG) of 1/2S, 1S, and 2S, respectively. The growth was good at the PTG and WU 2S in the early stage and the PTG of 1S and WU of 1S and 2S in the late stage. The highest yield of cherry tomato obtained in the WU of 2S. pH and EC in root zone of WU of 2S were stable during the early and late growth stage. Therefore when cherry tomato plant was grown in WU of 2S of EC $1.6{\sim}2.0\;dS\;m^{-1}$in the nutrient solution, not only stable growth and yield but also fertilizer reduction can be obtained than that of PTG.

분자기법을 이용한 과채류 시설재배지 토양 내 분포하는 뿌리혹선충의 종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eloidogyne spp. in Soils from Fruit and Vegetable Greenhouses in Korea)

  • 김세종;유용만;황경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5-91
    • /
    • 2014
  • 국내 과채류 시설재배지 토양 내 분포하는 뿌리혹선충의 계통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마토, 오이, 수박, 참외를 재배하는 12개 과채류 시설재배지 토양 내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시설재배지 토양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였으며 토양 300 g 당 평균 $72{\pm}6{\sim}2$, $898{\pm}468$마리로 검출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수집한 뿌리혹선충 2령 유충을 대상으로 PCR-RFLP 계통분석을 수행하였다.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분리한 12개 뿌리혹선충의 mtDNA PCR 증폭산물을 대상으로 제한효소 HinfI을 처리한 결과 900, 410, 290 및 170 bp의 DNA 절편 양상을 나타내는 Group A와 900, 700 및 170 bp의 DNA 절편 양상을 나타내는 Group B로 분류되었다. 각 그룹에 속하는 뿌리혹선충의 mtDNA 유전자 염기서열(1,483~1,521 bp)을 결정하여 계통분석한 결과, Group A에 속하는 9개의 뿌리혹선충은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과 99.73~99.93%의 상동성을 나타내었고 그리고 Group B에 속하는 3개의 뿌리혹선충은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과 99.54~99.73%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유사한 종으로 확인되었다.

근권세균 Bacillus sp. CT16과 Neobacillus sp. JC05의 배양액 추출물에 의한 뿌리혹 선충의 알 부화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Bacillus sp. CT16 and Neobacillus sp. JC05 against Egg Hatch of Meloidogyne incognita)

  • 장화진;김상태;상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27권2호
    • /
    • pp.61-65
    • /
    • 2021
  • 식물 근권에서 180 균주를 분리하여 뿌리혹 선충(Meloidogyne incognita)의 알 부화율 억제 효과가 있는 34개 균주를 일차적으로 선발하였고, 이들 중 알 부화율과 유충 억제에 모두 효과가 있는 세균 JC05와 CT16을 선발하였다. 두 균주는 각각 Bacillus sp. CT16과 Neobacillus sp. JC05로 동정하였으며, 두 균주의 배양액을 용매로 추출 및 농축한 후 선충의 알 부화율을 평가한 결과, JC05의 n-butanol 추출물은 25 ㎍/ml이상의 농도에서 알의 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했으며, CT16의 n-hexane과 n-butanol 추출물에서는 각각 25 ㎍/ml, 10 ㎍/ml 이상의 농도에서 알 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오이 유묘 식물에 검정한 결과, 100 ㎍/ml의 CT16와 JC05의 n-butanol 추출물을 오이 유묘에 처리했을 때, 뿌리에 감염된 난낭의 수가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JC05와 CT16가 생성하는 대사산물이 알 부화율 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JC05와 CT16의 n-butanol 추출물이 선충방제로서 사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이후에는 뿌리혹 선충 억제에 효과가 있는 추출물의 활성 물질을 동정하고 오이 식물에서 작용 메커니즘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오이를 비롯한 박과류 뿌리혹 선충 억제를 위한 농업용 소재로 활용할 예정이다.

적심 여부와 발근촉진제 처리가 고추묘의 발근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Rooting and Seedling Growth of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Cuttings as Affected by Rootone Treatment and Pinching)

  • 이희주;이상규;이정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3-400
    • /
    • 2009
  • 적심 및 rootone 처리가 고추 10품종의 발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모두 정상적으로 발근되었으나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즉 'Gukbo'와 'Chungyang' 등은 발근력이 낮은 반면, 대목 이용 가능성이 높은 'Geumsang' 등은 매우 높았다. 발근촉진제 rootone 처리는 모든 품종의 발근을 현저히 증가시켜 높은 실용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적심에 따른 발근 지연 현상은 rootone 처리로 거의 완벽하게 보완될 수 있었다. 선발된 대목 10품종과 접수 3품종을 적심과 IBA 단용 또는 병행처리 후 발근력을 검토한 결과, 대목 중에서는 'Tantan'이 가장 높았고, 'Konesian Hot'과 'Wonkwang 1호'도 높았다. 또한 공시된 10개 대목은 대면적에 일반재배 되는 품종인 'Manita', 'Chungyang', 'Nokkwang'보다 발근력이 높았다. IBA 처리는 발근력을 다소 향상시켰으나 rootone 처리에 비해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다.

춘천지역 주부들의 제례음식 준비에 관한 연구 (The Survey on the Practice of Ancestral Service Food in Chuncheon Area)

  • 김은실;함승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5-246
    • /
    • 2001
  • The survey on the practice of the memorial ceremonial food in Chuncheon area showed it varied according to social position of officiator, location(inland or seaside town) , and personal condition. The study included the foods prepared for the memorial services on the memorial day. New Year's Day and Chusok. 1. 40.4% of the subjects were in the thirties at their age, 46.6% were high school graduates, 57.3% were the first daughter-in-law, 40.4% had no religion, 30.9% were working at public administration and earned less than 1 to 1,5 million won monthly. 2. 71.7% of the subjects who replied that the ancestor worship service had to be kept were Buddhists. 55.4% of them were high school graduates, and 58.8% of them ran independent businesses. They learned how to practice the ancestor worship service from their mother before marriage or from their parents-in-law after marriage. 3. The older the officiators, the better they wanted to keep the traditional format of the service, but the Christians and Catholics wanted to change the format to western style in the future. 4. 92.7% of them served cooked milled rice. They prepared the soup in the order of beef soup, radish soup and dried Alaskan pollack soup. 5. Among cooked vegetable dishes, bracken was used the most and balloonflower root, mung bean sprout and spinach followed. Among jeon(pan-fried foods). frozen Alaskan pollack was used the most and buckwheat, mung bean and meatball followed. 6. They served san-juk(beef kebab) mostly on the ceremony. Among the grilled foods, tofu was the favorite, and croaker followed. 7. Among the fried foods. squid was the favorite, and sweet-potato and shrimp followed. Among the dried foods. they used in the order of dried Alaskan pollack, dried beef and squid. 8. Among the rice cake and traditional confectionery, they used in the order of Yak-sik(sweet rice cake), Gang-jeong(fried glutinous rice cookie), Jeol-pyun and In-jeol-mee. Among a beverage, they served Sik-hye(fermented rice drink) mostly. 9. Among fruits, apples. jujube, chestnut and dried persimmon were served. Aong a liquor, Cheongju was served mostly. 10. Soy sauce, salt and salted fermented fish were served, too.

  • PDF

채소용 육묘 상토로서 지렁이분립의 이용 (Utilization of Earthworm Cast as a Component of Plant Growth Medium for Tomato)

  • 조익환;전하준;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와 축분의 vermicomposting 처리로 얻어지는 지렁이 분립을 이용하여 채소의 육묘상토 자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판상토 100%, 지렁이분립 100%, 지렁이분립 50% + vermiculite 50%, 지렁이분립 50% + Perlite 50% 및 지렁이분립 40% + vermiculite 30% + perlite 30%의 각각 다른 지렁이분립 혼합비율이 토마토(Lycopersicum esculentum Mill.)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마토 생육 2주째까지는 시판상토구가 전 처리구에서 초장, 엽수, 경경, 엽중, 경중, 지상부중, 근중 및 생물수량이 가장 높았지만, 이후부터는 지렁이 분립 100%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시판상토구에 비해서도 양호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지렁이 분립과 Vermiculite를 혼합한 구는 시판상토구와 유사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한편 생물수량의 상대생장율(BYRGR), 지상부 무게의 상대생장율(RGR) 및 지하부무게의 상대생장율(RWGR)은 생육 4주 째까지 지렁이 분립 100% 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까다로운 식행동을 가진 유아의 영양섭취 평가와 급원 식품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and Food Sources of Significant Nutrients with Picky Eating Behavior in Preschoolers)

  • 염마영;조윤옥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4호
    • /
    • pp.289-305
    • /
    • 2020
  • Picky eating behavior is a significant factor in causing unhealthy eating and disturbing the growth of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picky eating behaviors and food intake of 112 preschoolers aged 3~5 year, picky eaters (n=41) and non-picky eaters (n=71), living in Dobong-gu, Seoul metropolitan area, South Korea. Picky eating questionnaires and three consecutive 24-hour dietary recalls were collected from their caregive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verified using a Chi-square test or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mpared to the non-picky eaters, fussiness, satiety responsiveness, and refusal of food varie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icky eaters (P<0.001). Compared to the non-picky eaters, an assessnent of the preschooler's behavior and the caregivers' percep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picky eaters (r=0.749, P<0.001). The intakes of shellfish (P<0.05), vegetables (P<0.001), fiber, vitamin E (P<0.01), vitamin A, and folate (P<0.05)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icky eaters than the non-picky eaters. The major food sources of vitamin A and folate were vegetables, of which grains were the source of fiber, fats and oils were the source of Vitamin E, and root vegetables were source of vegetables in both picky and non-picky eaters. In conclusion, picky eating behaviors are related to different fussiness and slowness in eating.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meal and vegetable intake in picky eaters.

Comparison of Glucosinolate Contents in Leaves and Roots of Radish (Raphanus spp.)

  • Ko, Ho-Cheol;Sung, Jung-Sook;Hur, On-Sook;Baek, Hyung-Jin;Jeon, Young-ah;Luitel, Binod Prasad;Ryu, Kyoung-Yul;Kim, Jung-Bong;Rhee, Ju-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79-589
    • /
    • 2017
  • Glucosinolates (GSLs), beneficial secondary metabolites for human health are abundantly present in radish vegetable. Radish is a member of Brassicaceae family and its seed, leaf and root contain very important GS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individual and total GSL contents in leaves and roots of 44 radish (Raphanus spp.) germplasm (26 R. sativus L., 3 R. raphanistrum, and 15 R. sativus L. var. raphanistroides Makino), and compare the GSL contents between leaves and roots among three Raphanus species. Thirteen GSLs were identified, being the glucoraphasatin (GRS) and glucobrassicin (GBS) the most abundant aliphatic and indolyl GSLs in both the leaves and roots. Variation in individual and total GSL contents was found among the germplasm of three Raphanus species. The GRS content was higher in roots than that of leaves in all three Raphanus species but the GBS content was higher in leaves than roots. GRS was represented 87.0%, 92.7% and 94.7% of the total GSL in roots of R. sativus L., R. raphanistrum and R. sativus L. var. raphanistroides (Makino) germplasm, respectively. Germplasm of R. raphanistrum exhibited the highest (average, $79.5{\mu}mol/g\;dw$) total GSL with a ranged from 62.7 to $92.9{\mu}mol/g\;dw$. The germplasm IT119288, Joseonmu and IT119262 from R. sativus L., RA 504 and K046542 from R. raphanistrum, and Gyeongju-2003-32 (G2003-32) and IT302373 from R. sativus L. var. raphanistroides (Makino) had high total GSL contents and these could be good candidates for developing the functional compounds-rich varieties in radish breeding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