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exudat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3초

대파 뿌리 분비물내의 국화 생장 억제 활성물질 분석 (Analysis of Activative Inhibitors of Chrysanthemum from Root Exudate of Allium fistulosum)

  • 최상태;안형근;박인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1-176
    • /
    • 1999
  • Chrysanthemum showed worse grow of wilt to death during summer at the field which is Allium fistulosum (welsh onion) plants had been cultiva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of activative inhibitors of chrysanthemum from root exudate of Allium fistulosum. Bioassay experiments with welsh onion root exudate were conducted and the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The root exudate of welsh onion inhibited root and hypocotyl growth of chrysanthemum and lettuce at low concentration(10ppm). The inhibitory effects was higher in closed bottom box but with drain hole than in open bottom box plot. The inhibitory substance contained in root exudate was analysed as vanillic acid. This phenolic acid was also detected in stem-leaf and root of welsh onion.

  • PDF

근류균의 화학주성이 근류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motaxis on Nodulation in Bradyrhizobium-Soybean Symbiosis)

  • 강상재;박우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6-146
    • /
    • 1994
  • 대두 근류균 공생에서 뿌리분비물에 대한 근류균의 화학주성이 근류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mM proline에 대한 표준균주와 변이주의 화학주성비는 KCTC 2422는 3.1, LPN-100은 1.3, LCR-101은 1.0이었으며 전형적인 Slow growing Rhizobia였다. 팔달 및 백운의 뿌리분비물 추출액에 대한 근류균의 화학주성비는 KCTC 2422는 3.5/3.2 이고 LPN-100은 1.3/1.4이며 LCR-101은 1.4/1.4정도였다. Dowex 칼럼으로부터 용출시킨 Fraction I, II, III에 대한 화학주성비는 Fraction I>II>III순이었고 중성분획인 Glucose와 Ribose, 양성분획인 Aspartic acid와 Glutamine, 음성분획인 Citric acid, Succinic acid에 대한 화학주성비는 공히 $10^{-3}M$일때 가장높은 화학주성비를 나타내었다. 근류형성의 정도는 KCTC 2422는 접종후 7일경부터 Nitrogenase 활성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LCR-101은 15일 이후에 Nitrogenase 활성이 나타났으며 LPN-100은 전혀 근류를 형성하지 않아 근류균의 화학주성이 숙주인식의 초기과정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대두(大豆)-근류균(根瘤菌) 공생(共生)에서 뿌리분비물(分泌物)과 화학주성(化學走性)이 숙주인식(宿主認識)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Root Exudate and Chemotaxis on Host Recognition in Soybean-Bradyrhizobium Symbiosis)

  • 강상재;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121-132
    • /
    • 1993
  • 대두(大豆)-근류균(根瘤菌)의 공생(共生)에서 숙주식물(宿主植物)의 Root Exudate에 대한 근류균(根瘤菌)의 화학주성(化學走性)이 근류형성(根瘤形性)(숙주식물(宿主植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기 위해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대두(大豆) Seed Lectin은 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분자량(分子量) 120,000정도(程度)의 4개(個)의 동일(同一)한 subunit를 가지는 물질(物質)이며, Pea Seed Lectin은 분자량(分子量) 44,000정도(程度)이며 15,000과 7,000정도(程度)의 두 종류(種類)의 subunit를 가지는 물질(物質)이며 대두(大豆) lectin은 표준 lectin 항체와 침강선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완두의 lectin은 표준 lectin과 항원-항체반응이 없었으므로 두 lectin은 동일 항원이 되지 않아 서로 다른 물질이었다. 팔달의 Crude Root Exudate에 대(對)한 근류균(根瘤菌)의 화학주성(化學走性) 비(比)는 KCTC 2422는 각각(各各) 3.5이고 LPN-100은 1.4이며 LCR-101은 각각(各各) 1.4이었다. 뿌리분비물의 각 fraction에 대한 근류균의 화학주성은 중성분획이 가장 높고 양성분획이 그다음이며 음성분획이 가장 낮은 화학주성을 나타내어 각물질에 대한 근류균의 친화도에 차이가 있었다. 근류형성(根瘤形性)의 정도(程度)는 KCTC 2422의 경우(境遇)는 접종(接種)후 7日경부터 Nitrogenase Activity가 나타났으며 LCR-101는 15일 이후(以後)에 Nitrogenase Activity를 나타내었다. LPN-100은 Nitrogenase Activity가 전혀 나타나지 않아 근류균(根瘤菌)의 화학주성(化學走性)이 숙주인식과정(宿主認識過程)에 영향(影響)을 미쳤음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 PDF

대두-근류균의 공생에서 Lectin에 의한 결합특이성 (Binding Affinity between Lectin and Rhizobia in Soybean-Bradyrhizobium Symbiosis)

  • 김진호;박우철;강상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46-550
    • /
    • 1997
  • 근류균과 대두의 공생에서 숙주 결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종자로 부터 분리한 lectin과 뿌리추출물과의 동일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탈지 대두분으로 부터 분리한 lectin은 크로마토그라피와 전기영동상 단일물질로 분리되었고 백운 및 팔달로 부터 분리한 lectin은 표준 lectin의 항체와 항원-항체 반응을 나타내어 동일한 물질이었다. 종자lectin 및 뿌리추출물 및 뿌리분비물에 대한 화학주성은 RCR 3407, KCTC 2422에서 뿌리분비물에 대한 주성이 가장 높았고 종자 lectin과 뿌리추출물은 비슷한 화학주성을 나타내었다. 대두의 유근으로 부터 분리한 뿌리추출물은 표준 lectin의 항체와 침강선을 형성하여 대두 종자 lectin과 동일한 물질임을 알수 있었으며 뿌리 분비물과는 침강선을 형성치 않았다. 대두와 상호접종군을 형성하는 RCR3407, KCTC2422 및 LPN-101은 대두의 종자 lectin 및 뿌리추출물과 결합하였으나 완두의 lectin과는 결합하지 않았고 대두와 근류형성을 하지않는 LPN-100은 대두의 lectin과 결합하지 않았다.

  • PDF

해녀콩(Canavalia lineata)의 잎, 뿌리 및 도관액에서 Canavanine의 함량분석 (The Analysis of Canavanine Content in Leaves, Roots, and Xylem Exudate of Canavalia lineata)

  • 박경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2호
    • /
    • pp.119-126
    • /
    • 1990
  • The content of canavanine was measured and analyzed in leaves, roots and xylem exudate of Canavalia lneata. In non-nodulated plants, the cotyledons were removed after a week of sowing and the plants were grown for 3 weeks. The quantity of canavanine measured by canavanine specific-PCAF colorimetric assay was 9-10 $\mu$mol/g fresh wt. in leaves, 5-6 $\mu$mol/g fresh wt. in roots, and 0.3-0.5 $\mu$mol/ml in xylem exudate. When free amino acids of leaves, roots, and xylem exudate were analysed by HPLC, the relative proportion of asparagine plus glycine was the highest and canavanine was high secondarily. And the relative proportion of canavanine among total free amino acids was 30-35% in leaves and roots, and 12-13% in xylem exudate. In non-nodulated plants grown for 8 weeks, the canavanine content of each part was similar to that of 3-week-old plants. By the formation of nodules, the canavanine content of leaves, roots, xylem exudate, and nodules decreased apparently. In xylem exduate, the nitrogenous compounds were also analyzed. The relative contents of NO3-, free amino acids, and ureides(allantoin and allantoic acid) were 60-80%, 20-30%, and 5%,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assumed that canavanine is synthesized in the root of plant and nodulation affects the canavanine content. It is obvious that canavanine is considered one of the reduced-N forms transported via xylem.

  • PDF

참외의 대목 종류가 뿌리의 발달과 활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Development and Activity of Roots by Rootstock Sort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서영진;최충돈;박소득;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2-357
    • /
    • 2006
  • 참외의 대목종류가 뿌리의 발달과 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근묘에 비해 접목묘의 뿌리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접목묘 중에서는 세력이 강한 품종으로 알려진 '신토좌', '엘리트호박'의 생장이 좋았다. 뿌리의 활력과 관련된 일비액의 분비는 자근묘보다 접목묘에서 우수하였고 뿌리의 발달과 일비속도의 증가는 지온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지온이 상승할수록 뿌리 발달이 촉진되고 근 활력이 우수하였다. 과실의 수량은 접목묘에서 무거웠으나 품질은 자근묘에서 높았다.

Indole-3-acetic acid를 생성하는 Acinetobacter sp. SW5와 토마토 식물 간의 상호작용 (Interactions between Indole-3-acetic Acid Producing Acinetobacter sp. SW5 and Growth of Tomato Plant)

  • 권혁도;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02-307
    • /
    • 2014
  • 많은 근권세균들이 다양한 직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식물생장을 촉진할 수 있으며 indole acetic acid (IAA) 같은 식물호르몬의 생산과 분비는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강아지풀의 근권에서 분리된 Acinetobacter sp. SW5는 BHB 배지에서 각각 2일과 1일 배양 시 118.1 mg/L의 IAA와 4.5 mg/L의 지베렐린을 생성하였다. 소규모 재배실험에서 토마토 유묘에 이 균주를 2주 간격으로 처리하면서 12주 재배 시 토마토 식물의 shoot와 뿌리 길이 및 습윤중량이 비접종 대조군과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각각 26.3, 33.3과 105.3% 증가하였다. 토마토 유묘의 뿌리로부터 분비되는 삼출물을 HPLC로 분석한 결과 IAA의 전구물질인 아미노산 트립토판이 3.75 ng/mg tomato root 검출되었으며 Acinetobacter sp. SW5는 8개의 토마토 유묘뿌리 삼출물로부터 $4.06{\mu}M$의 IAA를 생성하였다. 토마토 뿌리 삼출물에서 Acinetobacter sp. SW5의 생장능과 더불어 이 세균에 의해 생성된 IAA가 토마토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데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 접종(接種)이 뿌리와 줄기 즙액중(汁液中) Amide-N 및 Ureide-N 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hizobium Inoculation on the changes of Ureide-N and Amide-N Concentration in Stem and Root exudate of Soybean Plant)

  • 고재영;서장선;이상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9-336
    • /
    • 1989
  • 대두식물(大豆植物) 조직중(組織中)의 함질소화합물(含窒素化合物)의 변화(變化)를 알고져 우리나라 콩재배지(栽培地) 밭토양(土壤)에서 분리(分離)한 근류균(根瘤菌)을 접종(接種)하고 시비양(施肥量)을 달리 했을 때, 온실(溫室)에서 재배(栽培)한 대두(大豆)의 줄기와 뿌리중의 즙액내(汁液內) amide-N 및 ureide-N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국(全國) 밭토양(土壤) 22개(個) 지점(地點)의 37개(個) 표토(表土)에서 89종(種)의 근류균(根瘤菌)을 선발(選拔)하고 이 중에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acetylene 환원력(還元力))이 6.4~20.1 nmol/hr/tube되는 5종(種)을 분리동정(分離同定)하였다. 2. 분리(分離)한 5종(種)의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은 질산환원(窒酸還元)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이 아주높고 암모니아 및 아질산(亞窒酸) 산화효소(酸化酵素) 활성(活性)이 낮았으며 접종재배시험(接種栽培試驗)에서는 Rhizobium japonicum Rjk-134를 공시(供試) 사용(使用)하였다. 3. 근류균(根瘤菌) 접종시(接種時) 무비(無肥) 및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대두(大豆)의 건물중(乾物中)이 증가(增加)되었고 질소단용구(窒素單用區) 및 삼요소시비구(三要素施肥區)에서는 건물중(乾物重)이 감소(減少)되었다. 4. Amide-N 및 ureide-N 농도(濃度)는 뿌리보다 줄기즙액내(汁液內)에서 그리고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는 파종(播種) 30일(日) 이 45일(日)보다 현저(顯著)히 높은 농도(濃度)를 보였다. 5. 뿌리 및 줄기 중(中)의 amide-N 및 ureide-N의 농도(濃度)는 시비구(施肥區)의 근류균(根瘤菌) 접종구(接種區)에서 높고 또한 무비구(無肥區)의 무접종구(無接種區)에서 높았다. 6. 식물체중(植物體中) 줄기와 뿌리의 암모니아태(態) 질소농도(窒素濃度)는, 무비구(無肥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는 근류균(根瘤菌) 무접종구(無接種區)에서 높고 질소단용구(窒素單用區) 및 삼요소시용구(三要素施用區)는 접종구(接種區)에서 현저(顯著)히 높은 농도(濃度)를 보였다.

  • PDF

Effects of Pinus densiflora on soil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in Pb-contaminated forest soil

  • Kim, Sung-Hyun;Lee, In-Sook;Kang, Ho-Je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3호
    • /
    • pp.315-322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b uptake by Pinus densiflora and the Pb fraction in forest soil. We also investigated the change in soi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microbial activity, and root exudates of Pinus densiflora in Pb-contaminated soils. Three-year-old pine seedlings were exposed to 500 mg/kg Pb for 12 months. The metal fractions were measured using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s. Additionally, factors that affect solubility (three soil enzyme activities and amino acids of root exudate compounds) were also deter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Pb contamin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enzyme activities due to soi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organic matter, nitrate content, and Pb concentration were time depend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changes in the Pb fraction affected Pb uptake by pine trees due to an increase in the exchangeable Pb fraction.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acids were higher in Pb-spiked soil than those in control soil. Higher rhizosphere concentrations of oxalic acid resulted in increased Pb uptake from the soi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ne trees can change soil properties using root exudates due to differences in the metal fraction.

Antitimor Activity of Some Phytobased Polysaccharides and their Effects on the Immune Function

  • Moon, Chang-Kiu;Sim, Kyl-Soon;Lee, Soo-Hwan;Park, Kwang-Sik;Pyo, Yun-Yeo;Ha, Bae-Jin;Lee, Chong-Chu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23-131
    • /
    • 1983
  • Polysaccharide fractions were prepared from Ginseng root, Mori Radicis Cortex (M. R. C. ), Phellodendri Cortex (Ph. C. ), Sappan Wood (S. W. ) and Tigli Semen (T. S.). Water extract was also prepared from the mixture of ph. C., S. W. and T. S. Ginseng polysaccharide and water extract of the mixture showed marked antitumor activity against sarcoma 180. Ginseng polysaccharide showed a mild increasing effect on the number of circulating leucocytes and a marked increasing effect on the number leucocytes and a marked increasing effect on the number of plaque forming cells (PEC). Polysaccharides from ginsing root, S. W., Ph. C. + T. S. and water extract of the mixture showed dramatic inducing activities of periotoneal exudate cells (PEC), polymorphonuclear leucocytes (PMN) and macrophage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water extract of the mixture may have the lentinan like effect and ginseng polysaccharide may have stimulating effects on the general immun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