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f garde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교 학교조경의 환경교육적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성남시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A Basic Study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Use of Elementary School Landscape -The Awareness of Seongnam City Elementary School Teacher-)

  • 김인호;안동만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224-23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was based on the theory review about the practical use necessity of school landscape was to survey on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applications of school landscap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to 132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ngnam City. The finding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School landscape is an important field as environmental education resource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Especially, for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hrough field-experience learning,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elementary school landscape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in asp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ory,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Second, Most of responded teachers give an affirmative answer about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f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practical use of school landscape for field-experience learning. Several the improvement to use elementary school landscap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eing suggested by teachers are the increase of financial support, the magnification of school area, and the school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landscape architect expert. Third, Above half of teachers don't agree to use the roof garde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ecause of the safety of students and the school building construction. Fourth, Teach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school landscape maintenance than the practical usability of school landscape in asp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facilities in school landscape. Teachers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and roles of school landscape is psychological factor.

  • PDF

아파트 단지 인공지반의 계획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Planning Evaluation on Apartment Artificial Ground)

  • 김유일;오정학;김인혜;윤홍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7-311
    • /
    • 1998
  • Landscaping on artificial ground is currently served as a means to imposing a greenery benefit on high-density and high-rise apartment sites. It functions as a sub-hierarchy in apartment planning such as ornamental element from the past. Major parking space tends to be allocated on the basement area in response to the required parking regulation. Therefore, competitive relatioinship between the parking and greenery space I limited outdoor of apartments leads to the development planning strategy and technology of artificial ground.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landscape planning on artificial ground of apartment complex through several approaches such as site survey, plan drawing analysis, and interview with related field experts. 15 survey apartment sites including Bundang Model, Shindaebang-dong, Pyoungchon Hyundai Apartments have been selected for conducting the research.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 First, scattering allocation of artificial ground between apartment building units is a dominant plan layout type among the survey sites. Even though unifying allocation type has an advantage to maximize underground parking space, it has a difficulty in maintaining proper soil ground base for nurturing plants. Therefore, underground parking space should be planned by unifying allocation type placed separately from apartment units. This plan type can provide a balanced planting between soil and artificial ground on surface level. Second,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integrate the whole planting base which involves architectural structure, drainage, and water proofing above the planting design. When considering that process as a professional subject dealing with natural material such as trees and shrubs, those tasks should be directed by landscape architectural divison and landscape architect. And planting area for artificial ground has to be specified in initial phase of architectural design. This step provides an opportunity to make a proper decision on structural load, drainage, and water proof design as an integrated part of the management.

  • PDF

비모수적 추계학적 일 강우 발생기 기반의 빗물이용시설 신뢰도 평가모형의 부산광역시 해운대 신시가지 적용 (Application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Reliability Model Based on Non-parametric Stochastic Daily Rainfall Generator to Haundae District of Busan)

  • 최치현;박무종;백천우;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34-645
    • /
    • 2011
  • A newly developed rainwater harvesting (RWH) system reliability model is evaluated for roof area of buildings in Haeundae District of Busan. RWH system is used to supply water for toilet flushing, back garden irrigation, and air cooling. This model is portable because it is based on a non-parametric precipitation generation algorithm using a markov chain. Precipitation occurrence is simulated using transition probabilities derived for each day of the year based on the historical probability of wet and dry day state changes. Precipitation amounts are selected from a matrix of historical values within a moving 30 day window that is centered on the target day. Then, the reliability of RWH system is determined for catchment area and tank volume ranges using synthetic precipitation data. As a result, the synthetic rainfall data well reproduced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in Busan. Also the reliabilities of RWH system for each of demands were computed to high values. Furthermore, for study area using the RWH system, reduction efficiencies for rooftop runoff inputs to the sewer system and potable water demand are evaluated for 23%, 53%, respectively.

논산 노성산(魯城山)의 입석(立石) 분포와 총석사(叢石寺) 수석(樹石)의 정원적 면모 (Dispersion of Standing Stones at Noseongsan(Mt.Noseong) and Aspect of the Stone Decorated Garden(Soo-suk Jeongwon) at Chongsuk-Sa(Chongsuk Buddhist Temple) in Nonsan City)

  • 노재현;허준;장일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160-189
    • /
    • 2010
  • 본 연구는 아직까지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논산 노성산성 일대 입석과 총석의 현황과 그 형태 및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에 따라 노성산과 노성산성의 장소정체성과 노성산성 내외부에 산재한 입석의 분포를 파악하는 한편 입석의 밀도가 가장 높고 문화재적 보존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총석사'를 중심으로 수석(樹石)의 배치형태 및 구성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불우조(佛宇條)에서의 '탑사(塔寺)' 존재의 언급, 탐문조사 결과 사찰의 존재설 그리고 '관음사(觀音寺)' 명의 와편 발굴 기록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오래전부터 산성 내부에 불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총석사'라는 각자와 관련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관찰조사 결과, 산성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입석지 중 제6입석지는 수석(樹石)의 규모, 수석 구성의 복합적 경향, 주변 우물(샘) 및 방지 그리고 석문 등에 이르는 계단의 조성 흔적 등을 볼 때 총석사를 중심으로 인위적으로 조성된 공간의 성격이 강하다. 총석사를 비롯하여 삼신암, 칠성암, 대장암 등으로 각자된 5개의 수석과 관세음보살로 추정되는 선각 마애불은 동일 공간 바위 위에서 발견된 북두칠성의 성혈(星穴)과 함께 이 공간이 불교 또는 도교와 민간신앙이 결합하여 발생한 칠성신앙 및 산신신앙적 공간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는 단서로 파악되었다. 총석사 입석의 실측조사 결과, 수석의 수는 총 24개로 수석고는 29~402cm, 수석폭은 48~290cm로 규모에 있어 큰 편차를 보였으며 수석간 평균거리는 23.56cm로 나타났다. 또한 입석, 평석, 산형석 그리고 영상석 등 다양한 돌을 특치(特置), 군치(群置)하여 수석하였으나 돌의 좌향은 서향(W)으로의 일관된 지향성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국내에 알려진 정토정원의 유구와 비교할 때 수석의 배치 기법상 입석과 형상석 이외의 3개의 평석은 선원의 대표적 구성요소가 되는 좌선암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중 보살암을 마주하는 평석은 삼산석(三山石)을 상징화하여 조성된 것이지만 높이 및 주변 수석 배치 여건으로 보아 참선의 목적보다는 제수를 위한 공양석으로 추정된다. 총석사 수석의 구성은 입면이나 평면구성상 천지인 삼재(三才)를 형상화한 삼존석형(三尊石形)을 바탕으로 심경미(深景美)를 추구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등변삼각형의 3:5:7 복합수석법으로 일정한 지향성을 보이며 배치되고 있음을 볼 때 총석사 입석군은 사원수석의 형태로 참선을 목적으로 돌짜임된 축경적(縮景的) 정원 유구로 보인다.

Present Status of Rooftop Gardening in Sylhet City Corporation of Bangladesh: an Assessment Based on Ecological and Economic Perspectives

  • Rahman, Md. Habibur;Rahman, Mizanur;Kamal, Md. Mostafa;Uddin, Md. Jasim;Fardusi, Most. Jannatul;Roy, Bishwajit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71-80
    • /
    • 2013
  • Present study analyzes the rooftop gardening status, floristic composition and cost and return of the rooftop garden in Sylhet City Corporation of northeastern Bangladesh. Data was collected from 450 rooftop gardeners randomly during July-September 2010. Study reveal that rooftop gardening is generally for mental satisfaction (95.3%) followed by leisure time activity (87.8%) in the study area and almost all the family members of gardeners' were involved; while collection of planting materials, sites preparation and marketing of products were reported to be carried out by males only (male 71.33%). Middle income classes were most interested in rooftop gardening (43.78%). The survey recorded 53 plant species (35 families) of which Cucurbitaceae family represented highest eight species. Shrubs (28%) were highest followed by herbs (26%) among agri-crops (36%) and flower species (30%). About 89% of the rooftop gardeners procured planting materials from nursery, market, fair, neighbor, relative and friends and they mostly prefer to use seedlings (48%) for roof gardening followed by direct seed sowing (21%). Gardeners sell products sporadically in different local markets, directly or through intermediaries, with no uniform pricing for system. Rooftop gardening improves the food security and meet nutritional deficiency to the gardeners. Survey revealed that generally very few people consider rooftop gardening commercially to get profit and from the cost-return analysis this gardening system can be economically viable if proper and scientifically managed. The study conclude that active government and NGOs could play vital role to increasing this activities by providing training and motivate people with technical aspects of rooftop gardening.

한옥의 경사처마와 이중바닥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lined balcony and double deck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 노영숙;김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08-8415
    • /
    • 2015
  • 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한옥구조 평면기술에 관한 연구로서, 한옥의 특징들을 구조적, 기능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이를 공동주택 평면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지붕처마 각도를 중심으로 하지, 동지의 남중고도를 반영한 실내 일사깊이를 계산하여 효율적인 슬래브 경사 및 층고를 갖는 경사발코니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는 해당 슬래브 하부층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단층적인 한옥의 한계를 극복하여 모든 층의 동일한 일사량 및 전망권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한옥의 정원개념을 수직공동주택에 적용가능하게 해준다. 전통 한옥의 처마 내밀기와 귀솟음을 응용한 경사발코니의 각도는 30o도 내외가 적당하고, 층고는 $4.5{\pm}0.25m$가 경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한옥의 뜬 바닥 구조를 분석하여 소음, 진동, 온도 전달에 관련된 원리들을 공동 주택 평면에 적용 가능하도록 개선안을 모색하였으며 기존 공동주택과 달리 복층바닥구조는 단일슬래브에 비하여 바닥충격음 66%정도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바닥구조는 주택 평면에서 사라지고 있는 수직적 공간(다락 및 하부저장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내.외부 공간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로비 평면형태의 비교를 중심으로- (Healing Environment at the General Hospital Lobby Space -By comparison of the lobby plan type-)

  • 이유정;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9-97
    • /
    • 2018
  • 과거 병원은 치료만 목적으로 하여 최소한의 공용공간을 확보하여 계획되었지만, 현대 병원은 치유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공용공간이 늘어나고, 환자와 보호자와 의료진을 고려하여 계획된다. 또한 로비형태가 홀형에서 발전하여 스트리트형이나 컨코스형으로 계획되면서 공용면적이 증가했다. 과거병원과 다르게 접수, 대기, 수속공간에서 발전하여 현대병원은 상업,취미,문화공간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치유환경 요소를 선행연구에서 도출하여 치유환경 평가방법을 분석의 틀로 세워, 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을 로비 평면형태를 중심으로 분석, 평가한다. 병원 로비는 여러 행위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공간으로, 병원 로비 평면타입별 각 3개의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로 스트리트형이 홀형보다 로비치유환경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접근성, 옥상정원, 휴게공간의 분석결과는 비슷하다. 이는 사례대상이 대형종합병원이기에 충분한 공간이 계획되어 로비형태와 크게 관련 없는 요소로 사료된다. 스트리트형 중에서도 아트리움이 선형인 사례가 4면형 아트리움보다 오픈체적비가 크기에 로비의 공간감과 자연채광 유입효과가 크다. 또 로비평면이 홀형일 때, 단면이 중정형이면 오픈체적비가 큰 것을 보아 로비의 평면 형태도 중요하지만, 단면형태도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조망거리에 따른 농촌경관의 농촌다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Rurality by the Distance of View)

  • 신민지;신지훈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63-77
    • /
    • 2015
  • Improve the rural views of the Government and the municipalities with the intention of rural landscape planning. However, rural scenery evaluation of landscape types and element categories, landscape scenes, such as the valuation of resources selected, form a coherent system and ecological point of view is not only a Visual perspective of evaluation, or evaluation is made. This study evaluates the rural landscape through the rural landscape for rurality is implemented can explain the image. Rural amenity 100 represented the rural landscape in rurality with photos of photos, and scenes, photos, location-based rural Vista rurality landscapes drawn components. Selected landscape photography scenic landscapes in the u.s. survey and image vocabularies through surveys is representative of the landscape in rurality of each Vista location-specific photos and images began extracted factors. As a result, the Distant view is a town and village in the rolling hill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an image behind the Vista Skyline, Farmland Rural village forests, Behind the hills, Individual housing roof, Housing arrangement, The number of household includes landscape components. Factor analysis 'openness', 'intimacy', 'activity', 'complexity', 'safety' was down to five factors, such as a description of the overall factors that force was 66.45 percent. Middle distance view is close to being out of town houses and village environment, an image in the skyline hills Vista, farmlands, village forests, rolling hills, behind the scenes of the housing component of the neck, the sperm will honor an individual factor analysis results are 'intimacy', 'safety', 'openness', 'specificity', 'complexity' five factors the whole description of the capacity factors compared to 67.24 percent. Close-range view is mainly in Vista village embraced the individual elements and an image of a harmonious location in the surroundings of the sperm, individual houses, fences, gates, courtyard, Garden, garage, agricultural faciliti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actors assay but an 'intimacy', 'complexity', 'safety', 'activity', 'openness' five factors, such as a description of the overall factors that force was 65.29%. This research seeks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rurality of rural landscape Vista by location attributes and elements and representative officer in photo selection and rurality to extract the image. To date, followed by a comprehensive study, which was presented through the readjustment could not overlook the Visual elements. The future rural development officer for the evaluation of rural landscape classification and quantita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will have to come up with ways to do.

잔디 생산 특허기술의 현황 및 산업화 (Commercialization of Patented Technology on Turfgrass Production in Korea)

  • 윤정호;이재필;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7-118
    • /
    • 2006
  • 본 연구는 국내외 잔디 생산 특허 기술과 국내 잔디생산 특허기술의 산업화 사례를 소개하여 특허기술의 권리화와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1948년 11월 20일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57년간 공개된 잔디관련 특허출원 및 등록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특허기술의 사업화 사례는 특허등록번호 제 434389 호(다용도파종장치)와 제 478194 호(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잔디 특허 검색대상은 잔디 산업분야 중 잔디 품종 및 생산에 관련된 특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허 자료의 분석은 한국특허기술정보원(www.kipris.or.kr) 홈페이지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잔디 특허 생산기술은 합성수지로 된 플라스틱 필름 이용한 방법과 천연수지를 이용한 방법 있으며, 국외는 합성수지를 깐 후 상토층의 구성과 배합비율에 관한 내용으로 조사되었다. 2. 특허 등록된 다용도파종장치는 모래, 토양개량제, 비료, 농약 및 종자의 균일한 혼합뿐만 아니라 일시에 혼합토를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영양번식 하는 지피식물의 줄기 및 뿌리를 상토와 혼합하여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3. 특허 등록된 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은 용도별(스포츠용, 조경용, 옥상용) 적합 상토의 조합 및 배합비율을 제시하였다. 조합 및 배합비율은 입자 직경이 $0.002{\sim}2.0mm$인 모래가 부피 기준으로 $50{\sim}90%$, 펄라이트가 $3{\sim}40%$, 토탄이 $1.5{\sim}20%$, 피트모스가 $1.5{\sim}20%$, 버미큘라이트가 $2{\sim}25%$, 제오라이트가 $1{\sim}20%$ 및 숯이 $1{\sim}20%$ 내외의 비율이다. 이상의 연구결과 잔디 관련 원천 특허기술은 주로 국외 의존하는 실정으로 국내외에서 통용될 수 있는 잔디 관련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 특허 출원의 목적은 판매나 계약의 수단, 벤처기업 확인, 정부의 정책적 금융적 중소기업 지원 혜택을 기대하면서 출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기술의 진보성, 독창성 및 사업성이 높은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농업인과 공무원의 도시농업 인식 비교·평가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Urban Agriculture between Urban Farmers and Public Officials)

  • 박원제;구본학;박미옥;권효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90-103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농업인과 공무원의 도시농업에 대한 인식비교를 바탕으로 정부 및 지자체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도시농업 정책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장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도시농업의 최근 경향과 관련법령 및 제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도시농업인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시농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도심 내 주거공간을 세밀히 분석하여 옥상녹화, 도시텃밭, 공원녹지 등 이용 가능한 경작지를 확보해야 한다. 둘째, 도시농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도시농업 관계법을 제정하고, 제도적 기술적 차원에서 뒷받침해 주어야 한다. 셋째, 도시민과 공무원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경작활동 시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해 건의하고, 농업기술 등을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도시농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도시민들에게 재배방법과 관리방법에 대한 교육 및 다양한 참여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텃밭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다섯째, 조경관련협회를 통해 전문적인 정규교육과 실무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여섯째, 도시민의 흥미를 일으킬만한 프로모션 활동이 수반되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끝으로 도시농업 공원 및 도시농업시설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하며, 향후 도심 내 도시농업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정책의 모색과 실천이 추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