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le ambiguity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3초

상급종합병원 전문간호사의 리더십 경험: 포커스 그룹 면담 (The Leadership Experienc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Setting: Focus Group Interview )

  • 김은숙;김나연;최수정;김나리;김영희;이정윤;김은혜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8-61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leadership experienc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PN).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ive focus group interviews in 2022 with a total of 24 APNs in groups of 4-6 participant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 Nine categories emerged from three main themes. First, "Roles of APN leadership" comprised a trusted clinical expert, a moderator for the entire team, a resource person for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and a change agent for improving clinical practice. Second,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APN leadership" included ambiguity of APN role, support system, and institutional backing. Third,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APN leadership competencies" comprised systematic leadership education and speaking up for APNs. Conclusion : APNs are passionate about their expertise and practice, but lack the legal and organizational authority and support to provide successive leadership. Systematic education includ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advocacy will enable APN to provide leadership that benefits patients, institutions, and the wider healthcare system.

Coexistence Direction of AI and Webtoon Artist

  • Bo-Ra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87-99
    • /
    • 2024
  • 본 연구는 새로이 재편되는 AI 상용 미래 시대에서 웹툰 작가가 창작자로서 직업적 계보를 존속시키기 위해 어떠한 역량이 요구될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생성형 AI의 기술 발달이 어떻게 이뤄질지 알아보고, 그 시점에서 창작자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되어 갈 것인지에 대해, 웹툰의 실례로 현재와 미래의 AI 기술력과 웹툰의 활용 현황에 대해 각각 알아보고 미래 변화될 웹툰계의 생태 속에서 요구될 작가의 역할에 대해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미래 AI는 자립적인 존재로 인간과 협업이 가능한 수준으로 인간 작업자를 대체할 것으로 예측됐으며, 그 한계점 역시 드러나, 물리적 기술 측면에서는 AI가 대체할 수 있으나, 인간 공감형 분야만큼은 존속시킬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스토리 기획자, 시각 연출가, AI 편집자라는 창의적인 영역이 창작자의 역할 모형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현시점에서의 모호한 용어 정의로 인한 혼란을 해소하고자 AI 3단계 단계별 모형으로 기계형, 인간형, 초월형으로 보다 현실적으로 분리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앞으로 유입될 신진 창작자나 기존의 창작자들의 재 역량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새로운 기술인 AI에 대한 부정 수용보다는 협업을 통한 상생임을 제시하였다.

성격유형이 갈등관리유형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ffect of the Personality Types on the Preference of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 정범석;양기동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4권
    • /
    • pp.125-1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ask group functioning and need styles have influence on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such as integrating, avoiding, dominating, obliging and compromising as the employee's personality engaged in the service industry. This study use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the survey method from employees engaged in the service industry located Seoul, the Province of Gyeonggi, and the Province of Gangwon.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o the employees with the type A style, need styl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such as avoiding. But to the employees with the type B style, need styl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such as integrating and avoiding.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the need for achievement and the lower the need for autonomy, employees with the type B style prefer integrating styles to other conflicts handling styles. Or the higher the need for dominance, employees with the type B style prefer dominating styles to other conflicts handling styles. And the higher the need for dominance, employees with the type A style prefer dominating styles to other conflicts handling style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o the employees with the type A and type X style, task group functioning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such as obliging and compromising. But to the employees with the type B style, task group functioning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such as obliging and dominating.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lower faith in peers and management and the higher confidence in peers and management, employees with the type B style prefer obliging style to other conflicts handling styles. But the higher group homogeneity and group cohesiveness, the lower faith in peers and management and the higher confidence in peers and management, employees with the type X style prefer obliging style to other conflicts handling styles. And the higher confidence in peers and management, employees with the type A style prefer compromising style to other conflicts handling style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o the employees with the type A, organizational structure functioning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such as avoiding, obliging and compromising. But to the employees with the type X style, organizational structure functioning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such as dominating.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role conflict, the lower role ambiguity and the higher communication system, employees with the type A style prefer avoiding style to other conflicts handling styles. But the lower role ambiguity, employees with the type X style prefer compromising style to other conflicts handling styles. To conclude from these results, employees with the type A style ha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unctioning to other factors on the preference of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And employees with the type B style have influence on the needs styles to other factors on the preference of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Or employees with the type X style have influence on the task group functioning to other factors on the preference of the conflicts handling styles. Although this study provides several managerial implication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Specifically data were collected from only the service industry in Seoul, the Province of Gyeonggi, and the Province of Gangwon. In spite of the limitations, the study results could be used valuably in case of the personnel managers which manage the employees under the conflict situations.

  • PDF

종합병원인력의 직무만족요인과 충성지수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General Hospital Employees)

  • 한동운;엄승섭;문옥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3호
    • /
    • pp.588-608
    • /
    • 1995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nhance the level of hospital personnel management through analysing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employees in terms of structural,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 of a total of 790 persons including doctors, residents, interns, pharmacists, nurses, medical engineers, office workers and manual workers who have worked for general hospitals with 200 beds, 300 beds and 800 beds respectively. The Likert's 5 scales wer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tructural Variables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job itself was generally low, 2.8 in Likert's 5 scales, with the order of role ambiguity(3.87), routinization(2.6), work overload (2.45) and autonomy(2.37). Hospital employees are aware of their responsibility and they regarded their work as heavy one. The compensatory satisfaction degree was 2.5 which was also low: There were in the order stability(3.1), distributive justice(2.57), pay(2.3) and promotion(1.9). Usually hospital employees showed high degree of stability, while, their satisfaction on promotion possibility is quite low due to specially differentiated structures of hospital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internal condi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was relatively higher as 2.92: They were co-worker's support(3.69), supervisory support(3.15), role conflict(2.64) and welfare(2.17) in order. The satisfaction on welfare as an economic condition was the lowest. 2. Personal Variables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personal variables was 3.27 which seemed to be quite high: Contribution to the hospital(3.38), attitude on job performance(3.28) and pride as a member of the hospital(3.07). They seem to believe that their work has been helpful to the performance of hospitals. 3. Environmental Variabl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se variables was 3.07 on the average which was derived from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amily-role conflict and community support related to hospital employees' environment. The order of satisfaction for each variable is community support(3.2) and family-role conflict(2.94). They turned out to be fairly satisfied with their job in community and yet, they wanted more spare time to spend with their family.

  • PDF

갬블링 과제를사용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앙 전전두엽의 영역별 활성화에 대한 연구 (Sequential Involvement of Distinct Portions of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in Different Stages of Decision Making Using the Iowa Gambling Task)

  • 이재준;배성진;김양태;장용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2호
    • /
    • pp.127-136
    • /
    • 2009
  • 목적: 정상인을 대상으로 과제의 규칙을 모른체 의사결정를 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뇌활성 영역의 차이를 lowa Gambling 과제를 수행하는 자기공명 뇌기능 영상을 사용하여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4명의 오른손잡이 정상인(여자 5명, 남자 9명, 평균나이 26.8세)을 대상으로 100개로 구성된 lowa Gambling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자기공명 뇌기능영상을 획득하였다. GE 3.0T 자기공명영상 장치에서 혈액산소포화 의존(BOLD)기법을 사용하여 EPI 데이터 (에코시간 40 ms, 반복시간 2000 ms, 매트릭스 $64{\times}64$)를 획득한 후 MATLAB버전 7.2 (The Mathworks Inc., Natick, MA, USA)와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 2; Wellcome Department of Imaging Neuroscience, London, UK) 분석툴을 이용하여 총 100개 중 20개 단위로 구성된 5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과제 수행초기 블록에서는 위쪽 중앙 전전두뇌엽에서의 뇌활성화를 나타내고 과제를 수행해 감에 따라 뇌활성화 영역이 점차 중앙 전전두뇌엽의 아래족으로 이동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05). 결론: 의사결정 과제의 규칙을 모르는 경우 과제를 수행하며 규칙을 알아가는데는 위쪽 중앙 전전두뇌엽의 영역을 사용하고 과제의 규칙을 깨달은 다음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쪽 중앙 전전두뇌엽의 영역을 사용함을 알수 있었다.

  • PDF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Burnout of Nursing Care Workers)

  • 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90-602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임파워먼트, 조직 몰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에 소재하는 노인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요양보호사의 역할 과다, 역할 갈등, 역할 모호가 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 역량, 직무관계 역량, 조직환경 역량은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은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 몰입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직무 스트레스, 임파워먼트, 조직 몰입 순으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역할 부여와 대상자 선정 및 배치, 평가 등 공정한 인사관리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요양보호사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기적이고 실질적인 직무교육과 훈련, 슈퍼비전 제공 등 체계적인 업무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요양보호사가 직무 수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휴식 공간을 마련을 통해 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CT융합벤처기업 임직원들의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in ICT Convergence Venture Companies -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 이형곤;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265-27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를 기반으로 다양한 융복합 기술, 제품 및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ICT융합벤처기업의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직무특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이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조절변수 역할을 탐구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수도권 소재 15개 ICT융합벤처기업의 임직원 301명이 최종 표본으로 확정되었다. 단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ICT융합벤처기업 임직원의 직무특성 3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 2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과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사회적 지원은 모두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간의 영향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단, 역할모호성에 대한 동료의 지원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ICT융합벤처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한 후,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수용전념치료(ACT) 기반 요양보호사 직무 소진, 직무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Job Burnout and Job Stress Relife Program for the Nursing Care Workers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 이옥주;김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22-23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 완화와 치유를 목적으로 AC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의 목표 및 이론적 모형, 내용, 운영 및 평가를 구성하였으며 절차에 따라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집단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의 직무소진 수준을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집단에서 긍정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의 역할갈등 수준을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집단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의 역할과다 수준을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집단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다섯째, 연구대상의 역할모호 수준을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집단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실무적 시사점으로서 각종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에 ACT이론 및 실천방안을 내용에 포함시킴으로서 직무 소진과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요양보호사의 심리적 유연성을 높임으로서 일과 삶을 대하는 태도의 본질적 변화의 기회를 제공할 것에 대해 기술하였다.

Whose Science is More Scientific? The Role of Science in WTO Trade Disputes

  • Kim, Inkyoung;Brazil, Steve
    • 분석과 대안
    • /
    • 제2권1호
    • /
    • pp.31-69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science in resolving trade disputes.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of 11 March 2011 that not only jeopardized the people of Japan, but also put the safety of an entire region at risk, the Republic of Korea (Korea) has imposed import bans as well as increased testing and certification requirements for radioactive material on Japanese food products. Japan has challenged these restrictions at the World Trade Organizations Dispute Settlement Body (DSB). This study aims to explain how international trade agreements and previous DSB rulings have dealt with different scientific viewpoints provided by confronting parties. In doing so, it will contrast the viewpoints espoused by Korean and Japanese representatives, and then analyzes the most similar case studies previously ruled on by the DSB, including the case of beef hormones and the case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including biotech corn, both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Communities (EC). This study finds that science is largely subordinate to national interests in the case of state decision-making within the dispute settlement processes, and science has largely been relegated to a supportive role. Due to the ambiguity and lack of truly decisive decisions in the Appellate Body in science-based trade dispute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ppellate Body avoids taking a firm scientific position in cases where science is still inconclusive in any capacity. Due to the panel's unwillingness to establish expert review boards as it has the power to do, instead favoring an individual-based system so that all viewpoints can be heard, it has also developed a system with its own unique weaknesses. Similar to any court of law in which each opposing party defends its own interests, each side brings whatever scientific evidence it can to defend its position, incentivizing them to disregard scientific conclusions unfavorable to their position. With so many questions that can arise, combined with the problems of evolving science, questions of risk, and social concerns in democratic society, it is no wonder that the panel views scientific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xperts as secondary to the legal and procedural issues. Despite being ruled against the EC on legal issues in two previous cases, the EC essentially won both times because the panel did not address whether its science was correct or not. This failure to conclusively resolve a debate over whose science is more scientific enabled the EC to simply fix the procedural issues, while continuing to enforce trade restrictions based on their scientific evid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wo cases of disputes, Korea may also find itself guilty of imposing an unwarranted moratorium on Japan's fish exports, only to subsequently pass new restrictions on labelling and certification requirements because Japan may have much scientific evidence at its disposal. However, Korea might be able to create enough uncertainty in the panel to force them to rule exclusively on the legal issues of the case. This will then equip Korea, like the EC in the past, with a way of working around the ruling, by changing whatever legal procedure they need to while maintaining some, if not most, of its restrictions when the panel fails to address its case on scientific grounds.

  • PDF

요양병원 근무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근무환경과 역할갈등 중심으로 (The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ole Conflict on Job Embeddedness among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

  • 손숙연;김신미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663-677
    • /
    • 2019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근무 간호사의 근무환경, 역할갈등 및 직무배태성을 확인하고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일개 도에서 자료 수집을 허락한 10개 기관에서 총 20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8년 7월과 8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과 간호사의 근무환경, 역할갈등 및 직무배태성을 평가하였으며 배포한 200부 중 분석에 적합한 19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버전 25.0를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배태성은 5점 만점에 2.98±0.46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는 적합성, 연계, 희생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근무환경은 평균 3.14±0.42점이었고 하위영역별로는 수간호사의 리더십, 실무체계, 동료와의 관계, 기관의 지원 순이었다. 역할갈등은 평균 3.43±0.51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환경장애가 가장 높았다. 직무배태성은 간호사들이 인식하는 근무환경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역할갈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요양병원 근무 간호사들의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환경, 연령, 역할갈등이었으며 설명력은 50.4% 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근무환경, 역할갈등과 직무배태성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간호사들의 높은 이직률과 관련하여 직무배태성 제고를 위한 방향성을 점검하였다. 즉 요양병원 조직의 차원에서 간호근무환경 개선과 역할갈등 완화 노력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한 조직과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근무 중인 간호사 연령층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확인한 것 역시 의미있는 발견이라 하겠으며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고령인구 증가와 더불어 요양병원 근무 간호사들의 직무배태성 제고에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