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11.590

Effect on the Burnout of Nursing Care Workers  

Kim, Young-Chun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job stres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ing care workers on burnout For this study, nursing care workers working at long-term care institutions in Gwangju and Jeonnam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excessive role,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perceived by nursing care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Individual competencies, job relationship competencie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competencies were found to negatively affect burnou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motional and normative commitment negatively affected burnout, and continuous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verall,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n effect on burnout in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air personnel management system, such as assigning roles appropriate to the nursing care worker's ability and aptitude, selecting, placing, and evaluating target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ystematic work environment such as training and provision of supervision. In addition, nursing care workers should relieve stres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ir duties, and provide an appropriate rest area for leisure to facilitate work.
Keywords
Nursing Care Worker; Job Stress;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영화, 임왕규,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서울소재 재가노인방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414-428, 2011.   DOI
2 김은정, 이명자, "아이돌보미의 역할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제27권, 제1호, pp.152-178, 2015.
3 김명수, 노인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 김효정,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직업 정체성,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5 박정희,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 강종수,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가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13-226, 2012.   DOI
7 장혁란, 김헌주,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소진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연구, 제22권, 제5호, pp.93-110, 2015.
8 백성혜, 재가장기요양기관 관리책임자 리더십과 요양보호사 임파워먼트가 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9 N. J. Allen and J. P. Meyer, The Measurement of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63, pp.1-18, 1990.   DOI
10 고종식, "역할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및 기분조절 기대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72호, pp.213-234, 2012.
11 박지원, 임상간호사의 조직몰입과 소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2 문숙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3 보건복지부, 2019.
14 남현주, 이현지, "시설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슈퍼비전, 소진과의 관계 :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3호, pp.9-28, 2016.
15 보건복지부, 요양보호사 양성 표준교재, 2014.
16 김두순, 김경희, 박재민, 엄기욱, 김정호,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의 고용영향 평가, 한국고용정보원, 2012.
17 이용갑, 서동민, 최태림, 김윤영, 경승구, 요양보호사 처우개선 및 수급 안정을 위한 정책과제 개발, 인천발전연구원, 2015.
18 김미숙, "사회복지인력의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6권, 제2호, pp.27-58, 2004.
19 문희,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1권, 제3호, pp.341-350, 2010.
20 김철성, 조만복, 김일범, "대구․경북지역 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료복지연구. 제5권, 제1호, pp.83-104, 2013.
21 이선영, 노인요양시설 조직문화유형이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2 박길태, 서인균, 이연실,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제8권, 제4호, pp.379-402, 2017.
23 위수미, 지역자활센터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4 김나연,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5 박수진,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소진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역량강화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6 석종태,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특성과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 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7 박종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8 이임복,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2권, 제1호, pp.64-95, 2011.
29 안은선,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0 임효연, 이민정,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특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26권, 제1호, pp.203-204, 2018.
31 정형학, 방문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32 김정오, 문희, 박옥임,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302-334, 2018.
33 최경진, 유금란,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역할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4호, pp.55-86, 2018.
34 문유미, 신소영,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2호, pp.67-75, 2018.   DOI
35 이성배,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간의 관계에서 역할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긍정정서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6 정상래,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37 박영희, 이용재, 김용미, "시설요양보호사의 직장 내 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1호, pp.773-783, 2019.
38 J. Edelwich and A. Brodsky, Burnout: 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 New York: Pergamon Press, 1983.
39 이애련,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대한 직무관련변인 및 직무만족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유라시아연구, 제14권, 제2호, pp.103-132,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