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gowski coil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8초

동축 플라즈마 집속장치에서의 x-선 방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X-ray generation in the Coaxial Plasma focus Device)

  • 엄영현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89년도 제4회 파동 및 레이저 학술발표회 4th Conference on Waves and lasers 논문집 - 한국광학회
    • /
    • pp.65-69
    • /
    • 1989
  • Mather type dense plasma focus device was develooped for the feasibili쇼 study in its application to the x-ray lithography. To etermin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the temporal begavior of the discharge current and the voltage was measured by using the Rogowski coil and the high voltage probe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9 $\mu\textrm{s}$ of the period, 18m$\Omega$ of resistance and 0.16$\mu$Η of inductance. The average current sheath velocity was measured by the light signal emitted at the moving plasma sheath. The light signal was detected through two fiber bundles. When the applied voltage was 13 kV and the initial jpressure of argon was 21.8 Pa, the best plasma focus was occurred. The x-ray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the plasma focus was determined by the x-ray pictures taken by pinhole camera. It is focus that the plasma was focused at 1.4 cm distant position above the center electrode and its diameter was about 1.0 m.

  • PDF

애자/피뢰기 모니터링을 위한 유비쿼터스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a Ubiquitous Sensor for Monitoring Insulators and Lightning Arresters)

  • 길경석;류길수;송재용;김일권;박대원;최수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17-123
    • /
    • 2007
  • In this study, a ubiquitous sensor for condition monitoring of insulators and lightning arresters installed in power distribution lines and electric traction vehicles is presented. The sensor consists of two parts; a leakage current measurement and a lightning surge detection. Measured data are transmitted to a supervisory computer through ZigBee protocol based on IEEE 802.15.4. To detect leakage current, a window type Mn-ZCT is used and a low-noise amplifier with a gain of 60dB is designed, and this can measure leakage current in ranges of $100{\mu}A{\sim}5mA$. A sample-hold (S/H) and a Rogowski coil are injected to analyze the magnitude of surge current in ranges from 100A to 10kA with $8/20{\mu}s$-waveform.

가공지선 전류 검출 방식의 송전선 사고 및 낙뢰 구간 검출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Fault and Lightning Stroke Section Location System for Overhead Transmission Line)

  • 이창영;김정년;오덕진;하체웅;김동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84-586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fault and lightning stroke section locating system for branched overhead transmission line. The section locating algorithm of this system i3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verhead ground wire. It composes of three parts; current sensors, local remote terminal unit(RTU) and analysis program at surveillance tenter. Double Rogowski coil sensor having integrating amplifier was designed as current sensor. In order for current pattern analysis, the transmitted waves from each sensor wert synchronized by GPS tim c clock in RTU. While, lightning stroke location are judged only by polarity information of lightning currents. This design has a benefit in simplicity of signal processing unit of RTU.

  • PDF

스페이서 내장형 ECT/EVT의 특성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ECT/EVT within Epoxy Spacer)

  • 박성희;정해은;임기조;강성화;정종훈;김평중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509-510
    • /
    • 2006
  •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CT(current transformer)/PT(potential transformer) 가 많이 사용되어져 왔지만, 이들은 iron core를 사용하기 때문에 포화특성이 발생하게 되어, 오차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서 현재는 로고스키코일 및 분압방식을 이용한 ECT/EVT에 대한 적용이 진행이 되고 있다. ECT/EVT는 포화특성이 없고, 선형성이 매우우수하며, 소형, 경량이라는 점에서 현재 배전반의 변화 추세를 구현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CT/EVT를 제작하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이점은 ECT/EVT가 EPOXY SPACER에 내장이 되어 사용이 되며, 이런 사용조건하에서의 이들의 특성이 변화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EPXOY 몰딩하에서도 그 선형성을 잃지 않았으며, 원하는 오차인 ${\pm}1%$에 부합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철도 전차선의 보조전원을 위한 전력선 커플러 연구 (Study on Power Line Coupler for Auxiliary Power to Overhead Line)

  • 이건복;이경표;김명룡;이수길;창상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7호
    • /
    • pp.566-569
    • /
    • 2018
  • 철도 전차선 구조에 고주파 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전력선 커플러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차선 구조는 고압의 환경에서 보조전원을 공급하기가 어렵고, 먼 거리까지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코어를 사용하지 않는 로고스키 코일에 공진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조가선, 전차선, 드로퍼로 구성된 간이 전차선 구조를 제작하였고, 여러 사이즈의 커플러를 제작하여 조가선에 연결한 다음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두 커플러의 전달 특성을 비교하였다. 가장 성능이 좋은 커플러에 매칭 회로를 적용하여 측정한 결과, 2.5 m 거리에서 53 %의 전달 효율을 나타내었다. 제안하는 방법은 전차선과 같은 특수한 구조물에서 기존의 도선을 활용하여 보조전원을 인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DWT 및 고주파 노이즈 성분 분석을 이용한 PV 시스템 인버터 노이즈 구분 및 직렬 아크 검출 (Separation Inverter Noise and Detection of DC Series Arc in PV System Based on Discrete Wavelet Transform and High Frequency Noise Component Analysis)

  • 안재범;조현빈;이진한;조찬기;이기덕;이진;임승범;류홍제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271-276
    • /
    • 2021
  • Arc fault detector based on multilevel DWT with analysis of high-frequency noise components over 100 kHz is proposed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performance in detecting serial arcs and distinguishing them from inverter noise in PV systems. PV inverters generally operate at a frequency range of 20-50 kHz for switching operation and maximum power tracking control, and the effect of these frequency components on the signal for arc detection leads to negative arc detection. High-speed ADC and multilevel DWT are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frequency components above 100 kHz. Such high frequency components are less influenced by inverter noise and utilized to detect as well as separate DC series arc from inverter noise. Arc detectors identify the input current of PV inverters using a Rogowski coil. The sensed signal is filtered, amplified, and used in 800kSPS ADC and DWT analysis and arc occurrence determination in DSP. An arc detection simulation facility in UL1699B was constructed and AFD tests the proposed detector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arc detection and performance of distinction of the negative arc. The satisfactory performance of the arc detector meets the standard of arc detection and extinguishing time of UL1699B with an arc detection time of approximately 0.11 seconds.

몰드변압기의 보이드 결함 크기 판별 (Identification of Void Diameters for Cast-Resin Transformers)

  • 정기우;김성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70-57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 모델을 적용한 몰드변압기의 보이드 결함 크기 판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CB 기반의 로고우스키 코일형 부분방전 센서를 제작하여 부분방전 신호를 측정하였고, 보이드에 의한 부분방전 결함을 모의하기 위한 PD 전극계를 제작하였다. 또한 보이드는 원통형 모양의 알루미늄 틀을 제작하여 에폭시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실린지를 삽입하고 공기를 주입하여 서로다른 직경을 가지는 4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보이드 결함 크기 판별을 위해 부분방전 전하량, 방전 펄스 수, 위상 분포의 부분방전 특성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Labview 기반의 VI (Virtual Instrument)로 역전파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작된 알고리즘은 90%이상의 판별률로 결함의 직경크기를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장에서 PD 측정 시 몰드변압기의 유지보수 및 절연물 교체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