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ckfish Sebastes schlegeli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6초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분화 (Sex Differentiation of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영돈;노섬;장영진;백혜자;안철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4-50
    • /
    • 1996
  • 조피볼락 (S. schlegeli)의 성분화 과정을 구명하기 위해 시원생식세포의 출현과 원시생식소 형성, 그리고 암${\cdot}$수의 성분화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시원생식세포는 출산후 2일, 전장 6.3mm 개체에서 장관과 중신사이의 섬유성 간충직에 묻혀 식별되었다. 출산 65일 전장 $5.2\~5.9cm$ 개체에서, 생식소의 주변 부위에 강 (cavity)을 형성하고 다수의 생식원세포로 구성된 생식소는 난소로 발달한다. 이 시기에 체세포들이 곡정세관을 형성하는 생식소는 정소로 분화된다. 출산후 115일, 전장 $7.0\~7.2cm$ 치어들에서, 생식소는 흑색소를 함유하는 정소와 흑색소가 없는 난소로 구분된다. 따라서 조피볼락은 초기 성분화 단계에 자상을 거치지 않고 난소와 정소로 분화되는 분화형의 자웅이체에 속한다. 출산후 12개월된 개체들의 성비는 1 : 1이었다.

  • PDF

3,5,3'-triiodo-L-thyronine ($T_3$) 모체주사에 의한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혈중, 알 및 난황낭 자어의 갑상선 호르몬 농도 변화 (Maternal Injection of 3,5,3'-triiodo-L-thyronine ($T_3$) Causes Changes of Thyroid Hormone Levels in Plasma, Eggs and Yolk-sac Larvae in Fema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장영진;강덕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21-726
    • /
    • 1998
  • 조피볼락 암컷의 난황형성기에 3,5,3'-triiodo-L-thyro-nine($T_3$)을 20mg/kg 체중으로 모체주사하여 어미의 혈중 THs 농도변화 및 알과 출산자어로의 THs 전이여부를 조사하였다. L-thyroxine($T_4$)의 경우. 어미의 혈중 및 출산직후 자어에서 $T_3$구와 대조구 사이에 농도 차이를 파악할 수 없었지만, 알에서는 $T_3$구가 대조구 보다 낮은 $T_4$함량을 나타냈다. 어미에게 $T_3$를 주사한 결과, 외인성 $T_3$가 24시간 이내에 어미의 혈중으로 빠르게 흡수되어 난소로 전이된 다음, 출산직후의 난황낭 자어에서도 지속적으로 체류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반적으로 난생경골어류에서 THs가 자어 발생 및 변태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외인성 $T_3$의 모체주사에 의해 조피볼락 자어의 생리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며, 종묘생산시 건강한 종묘의 생산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출산기 모체에게 triiodothyronine (T3) 주사하여 얻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자어의 성장 및 활성 (Growth and Activities of Larvae Born from the Triiodothyronine-Injected Parturient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덕영;장영진;허준욱;민병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51-556
    • /
    • 2002
  • 출산기에 임박한 조피볼락 암컷에 20mg/kg체중의 농도로 3,5, 3'-triiodo-L-thyronine $(T_{3}$)를 주사한 뒤, 출산 자어로의 호르몬 전이여부, 자어 성장과 활력을 조사하였다. 출산자어의 갑상선 호르몬을 분석한 결과,출산직후에 $T_{3}$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T_{3}$농도를 나타냈으나, L-thyroxine $(T_{4}$)의 농도는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기간 동안 어체내 모든 실험구의 감상선호르몬 농도는 $T_{3}$$T_{4}$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고, 실험구별로는 $T_{3}$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어의 성장률은 대조구에 비하여 T,구에서 높았으며, 출산후 경과일수에 따라 직선적인 전장성장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종료시 생존율은$ T_{3}$구의 자어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유영활성에서도 $T_{3}$구의 자어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출산직전 $T_{3}$ 모체주사는 외부영양원 섭취개시기의 자어성장 및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출산전 모체주사를 통하여 외인성 $T_{3}$가 자어로 전이되며, 전이된 호르몬은 출산후의 자어의 초기 발달기 동안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해상가두리 양식장에서 배합사료 및 생사료 공급에 따른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병리조직학적 변화 (The Histo-Pathological Change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ed the Extruded Pellet and a Raw Fish-based Moist Pellet in Marine Net Cage)

  • 최혜승;이무근;허민도;손맹현;안철민;김강웅;김신권;김경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609-615
    • /
    • 2012
  • A histo-pathogical examination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commercial extruded pellet (EP) and a raw fish moist pellet (MP) diet on the health of juvenile rockfish cultured in marine net-cage for 7 months. Fish were distributed randomly to each net cage as a group of 76,000 fish (initial mean body weight 5.9 g). After 2 months, the hypertrophy or swelling of liver parenchymal cells was identified in most individuals and lasted until 7 months. Livers in EP fed group frequently showed hypertrophic parenchyma and fatty change with occasional atrophic cells. However, after 4 months, lymphocytic infiltration in splenic parenchyma was seen in a number of individuals. In addition, the gastric glandular epithelium was atrophied and in the lumen of renal tubules protozoan parasites were frequently identified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the type of feed. Moreover, juvenile rockfish on EP diet showed gross and microscopic hypertrophy of the liver which would be due to oversupply of feed. Severe hepatic cellular hypertrophy or swelling could lead to the damage of microcirculation. Especially fatty change and atrophic change of liver could be the result from the damage, which could be responsible for immunological problem. Lymphocytic infiltration of spleen on the MP diet suggests that juvenile rockfish could be frequently exposed to infectious antigens.

LC-MS/MS를 이용한 조피볼락 근육에서 구충제 febantel 및 그 대사체들의 정량분석을 위한 시료 전처리 방법의 비교 분석 (Comparison of sample preparation methods for quantification of febantel, an anthelmintic agent, and its metabolites i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muscle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 임재웅;권인영;김태호;김위식;강소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1-269
    • /
    • 2021
  • This study presents the evaluation of sample extraction and purification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residues of febantel and its metabolites, fenbendazole, oxfendazole and oxfendazole sulfone i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muscle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Residues of febantel and its metabolites in rockfish muscle were analyzed using each different sample preparation method from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FSC),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FSIS, USA), and the modified FSIS method using QuEChERS kit (FSIS-Q), respectively. Each method was compared for mean recoveries and repeatabilities. Since FSIS-Q showed higher repeatabilities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2.4%~10.9%) than those of FSIS method (CV of 4.6%~17.5%), recoveries from FSIS-Q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KFSC method. FSIS-Q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coveries of 83.1%~110.1% (P < 0.05) than those from KFSC method of 64.7%~107.4%. In addition, FSIS-Q showed a good linearity over the range of 2.5~200 ㎍/kg, and excellent sensitivities with limit of detection of 0.46~0.71 ㎍/kg and limit of quantification of 1.08~2.15 ㎍/kg. Although all the sample preparation methods turned out to be able to meet CODEX guideline for all the compounds, FSIS method and FSIS-Q validat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screening and quantification for residues of febantel and its metabolites in rockfish muscle with efficient preparation procedures.

성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고수온 처리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 Steroid Hormones and High Temperature on Sex Differentiation in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치훈;나오수;여인규;백혜자;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3-377
    • /
    • 2000
  • 조피볼락, S. schlegeli 치어에 $estradiol-l7{\beta}\;(E_2)$$17{\alpha}-methyltestosterone$ (MT) 그리고 고수온을 처리하여 성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출산 후 56일부터 72일까지 $E_2\;20,\;40,\;60\;{mu}g/g\;diet$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고, MT는 $20, 50{\mu}g/g diet$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다. 고수온 처리는 대조구 그리고 호르몬 처리구와 비교하여 약 $10^{\circ}C$ 이상인 $27.0{\pm}0.5^{\circ}C$로 사육하였다. 출산 후 56일까지 성분화 과정에서, 생식소는 대부분 생식원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성적으로 미분화 단계였다. 그러나 출산후 128일째에, 난소는 난소강파 난소박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난원세포와 주변인기난모세포는 난소박판에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정소는 많은 정세관으로 이루어 졌고, 이들 세관내에는 정원세포들이 무리를 지어 분포하고 있긴 또한 색소포들이 정소의 수질층과 기부에 드문드문 분포하고 있다. 성비에 있어,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모든 $E_2$, 처리구는 더 많은 암컷이 관찰되었고, 반면에, 모든 MT 처리구와 고수온 처리구에서는 더 많은 수컷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에서,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와 종류 그리고 고수온 사육이 조피볼락의 성분화 과정에 있어서 성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PDF

Changes in Plasma Steroid Hormone Levels and Gonad Development by the Control of Photoperiods and Water Temperatures on Timing of Sexual Maturity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Baek Hea-Ja;Park Moo-Eog;Lee Young-Don;Kim Hyung-Bae;Rho Su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1호
    • /
    • pp.16-22
    • /
    • 2004
  • Plasma steroid hormone levels in the viviparous rockfish (Sebastes schlegeli)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gonadal histology under controlled photoperiods and water temperatures. To investigate those effects in S. schlegeli the photoperiod was maintained at 15L:9D in June and then it was gradually decreased to 9L: 15D in October. It was then gradually increased to 12L:12D in January, followed by 14L:I0D in February. The water temperature was $19-20^{\circ}C$ in July. From August to October, it was from $18^{\circ}C\;to\;12^{\circ}C$. Then, it was dropped to a low of $19-11^{\circ}C$ in November to December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o $14-15^{\circ}C$ in February. In females, both plasma $estradiol-l7\beta\;$ (E2) and testosterone (T) levels from August to February showed a similar pattern in both the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s. In the treatment group, the peaks of plasma E2 and T were observed in November, and the peaks were closely correlated to histological observations. Oocytes contained many yolk globules (final vitellogenic oocytes), and oocytes at the migratory nucleus stage increased in size. Plasma levels of progesterone did not change much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 peaks of E2, T, and progesterone were observed in Februa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rolled photoperiod and water temperature accelerated sexual maturity, corresponding to the advancement of plasma E2 and T peaks by approximately 3 months. In males, plasma T levels showed a similar pattern from August to October i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though level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rom histological observations, the treatment group copulated one month earl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