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ckfall protection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4초

신뢰성지수를 고려한 낙석방지울타리 설계기준 고찰 (A Study on Design Criteria of Rockfall Protection Fence Considering Reliability Index)

  • 석재욱;이종건;김용수;문준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4호
    • /
    • pp.275-281
    • /
    • 2014
  • 국내 국도에 분포하는 160개 비탈면에서의 발생한 낙석에너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뢰도지수를 산정하고 낙석방지울타리의 요구성능을 고찰하였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낙석에너지를 결정하는 변수의 통계적 특성을 고찰한 결과 비탈면 경사는 정규분포형태이며, 낙석중량과 발생높이는 대수정규분포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낙석에너지는 대수정규분포형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낙석중량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 판단된다. 낙석방지울타리의 신뢰성지수는 0.678이며 파괴확률은 24.9%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낙석에너지 규모를 고려하여 제시된 낙석방지울타리의 요구성능은 최대 500kJ 수준이며 신뢰성지수의 범위는 1.028~1.956으로 분석되었다. 제시된 신뢰도지수를 통해 비탈면의 낙석에너지가 고려된 요구성능을 적용할 경우 낙석방지울타리의 파괴확률은 14.8~2.5%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연성 원리를 이용한 낙석방호시스템 (Flexible Barrier System for Rockfall Protection)

  • 최숭일;이창호;김덕봉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8-81
    • /
    • 2003
  • Rockfall protection fence is one of the most common rockfall protection methods in Korea. If rockfall protection fences are required along the road or railway, their location, height and capacity, in terms of the maximum kinetic energy that they can absorb, should be specified. Within this paper, the best practice of rockfall barrier is introduced. Modern rockfall simulations as a means to define risks, protection requirements, dynamic loading and height of potential structures and selection of appropriate placement is presented. Technical possibilities of rockfall barriers and their actual limits are presented. Safety concepts based on probabilities approaches are proposed. Recent studies performed in other countries show that Flexible Barriers are also a feasible system to stop and retain debris flows. Finally an outlook onto further development is given.

  • PDF

낙석방지울타리 망의 변위량 및 성능검증을 위한 실물낙석시험 (Field Test for Absorption Energy and Displacement of Rockfall Protection Net)

  • 서진혁;황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12호
    • /
    • pp.17-21
    • /
    • 2020
  • 낙석방지울타리의 지지능력은 철망, 지주, 와이어로프의 성능을 합친 것으로 정의되며, 기존에 시공되고 있는 낙석방지울타리는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중 낙석방지시설 편에는 48~61kJ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지주, 와이어로프, 철망의 규격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흡수에너지에 대한 각 요소들의 상관관계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아 불확실하다(Ministry of Land, 2008). 본 논문에서는 수직 낙하시험을 이용하여 낙석방지울타리의 성능평가 시험을 수행하던 중 복잡한 꼬임으로 이루어져 체결 조건 등이 중요한 낙석방지망이 흡수하는 에너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물낙석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낙석방지망의 변위량 산정요소인 𝛿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국외 성능평가 기준을 이용하여 낙석방지망의 흡수가능에너지를 평가하였다. 변위량 𝛿의 경우 명시되어 있는 1/4보다 1/2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낙석방지망은 30kJ 정도의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경강선 적용 낙석방지울타리의 흡수에너지 평가 (Evaluation of Absorbing Energy for the Rockfall Protection Fence Using High Carbon Steel Wire Rods)

  • 이용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49-60
    • /
    • 2009
  • 본 연구는 기존의 낙석방지울타리에 적용되는 와이어로프를 경강선으로 대체하고 소재 및 체결부에 대한 실내성능실험과 더불어 현장에서의 수직낙하시험을 통해 전체적인 에너지 흡수능력을 평가하여 새로운 낙석방지울타리를 개발하는데 있다. 12단 경강선 적용 낙석방지울타리의 수직낙하시험 결과, 국내 낙석방지울타리에 기준으로 적용되는 흡수에너지인 50kJ 이상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강선 단수가 12단에서 16단으로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흡수능력도 향상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낙석방지울타리를 도로공사 절취사면 현장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시공성은 기존에 비해 별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관상 전체적으로 심플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었다. 경제성 분석결과에 있어서는 전체 건설비용에 있어 기존 대비 약 20% 정도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100 kJ 낙석에너지 흡수가 가능한 유연성 와이어로프 낙석방지울타리 성능검증 (Performance Assessment of Flexible Wire Rope Rockfall Protection Fence for 100 kJ Energy Absorption)

  • 손정익;신용철;김정우;문형범;이경수
    • 지질공학
    • /
    • 제32권4호
    • /
    • pp.499-51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ETAG 027에서 제시하는 수직낙하실험법을 이용하여 100 kJ 낙석에너지를 포획할 수 있는 유연성 와이어로 낙석방지울타리에 대한 성능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연성 와이어로프는 스프링과 와이어로프로 구성된 탄성력 증진 로프로서 와이어로프보다 탄성늘음이 향상되어 낙석과 와이어로프와의 접촉시간을 인위적으로 증가시켜 낙석 충격력 경감효과를 유발하고 낙석에너지 흡수효과 또한 향상시켰다. 9.8 kN의 콘크리트 공시체를 낙석방지울타리 상단 10.5 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102.9 kJ의 낙석에너지를 낙석방지울타리에 가한 후 지주거동을 분석한 결과, 지주는 소성비틀림이 발생하였으며 탄성회복 후 최종변형량은 1.15 m로 ETAG 027에서 제시하는 기준인 2.0 m 이하의 결과가 제시되어 유연성 와이어로프 낙석방지울타리는 102.9 kJ의 낙석에너지를 성공적으로 흡수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kJ급 낙석방지울타리 개발을 위한 기존 낙석방지울타리 성능평가 시험 (Performance Evaluation Test of Rockfall Protection Fences for 100kJ Rockfall Protection Fences Development)

  • 진현우;황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5-13
    • /
    • 2022
  • 본 논문은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국내 일반도로용, 고속도로용 낙석방지울타리의 방호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100kJ급의 낙석에너지를 이용한 취약부위를 파악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국내의 경우 국외에 비해 낙석방지울타리의 성능 등급(48~61kJ)이 매우 낮은 편이다. 만약 높은 낙석에너지가 발생했을 시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더 나아가 기존에 설치된 낙석방지울타리에 100kJ급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낙석방지울타리 시스템(일반도로용, 고속도로용)에 100kJ급 낙석에너지를 이용하여 방호성능을 확인하고, 지주 및 와이어로프, 망의 취약부위를 파악하며, 나아가 기존 설치되어있는 낙석방지울타리(48~61kJ)를 해체하지 않고 100kJ급의 보강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현장실험을 통한 낙석방지울타리 설계기준 제시 연구 (Study for the Proposal of Design Specifications for Rockfall Protection Fences by Full Scale Tests)

  • 박혁진;구호본;이경미;김규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사면안정 학술발표회
    • /
    • pp.139-151
    • /
    • 2000
  • Rockfall protection fence is one of the most common rockfall protection measures in Korea. The fences have been constructed in almost every hazardous cutslopes along national highway in Korea. However, the cap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fence as rockfall protection system are seldom known since no field test which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response and the behavior of fence was carried out. This is the first full scaled rockfall test in Korea. The objectives of the test are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behavior and the capability of fence and to propose the design specifications for the fence. In this test, four different systems have been selected and tested. For each test, the rockfall impact energy was analyzed and the response and behavior of the system were investigated.

  • PDF

낙석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비탈면 높이, 낙석중량별 도약높이 및 충격에너지 검토 (A Study on Bounce Height and Impact Energy Considering Slope Height, Rockfall Weight Using Rockfall Program Considering Slope Height, Rockfall Weight)

  • 유병옥;한원준;이상덕;심재원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47-54
    • /
    • 2011
  • 절토비탈면에서 발생되는 낙석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낙석방지 울타리는 기본적으로 12.5m 높이에서 400kg인 암괴가 낙하될 때 발생되는 50kJ의 충격에너지를 가정하여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암괴의 크기가 커지거나 높이가 높은 곳에서 낙하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낙석방지울타리로는 안정성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은 낙석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암괴중량에 따른 비탈면 높이, 울타리와의 이격거리, 경사각 등의 변화를 주어 낙석에 대한 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여 보았다. 해석결과 기존의 2.5m 높이의 낙석방지울타리는 설계하중 조건인 400kg 암괴가 낙석 될 때, 비탈면 높이가 20m 이내의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낙석에 대해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으나, 20m 이상인 경우 낙석의 튀는 높이가 낙석방지울타리를 넘는 경우가 빈번하고 낙석의 충격에너지도 설계충격에너지 이상인 경우가 발생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낙석방지울타리의 설계 시 표준도에 준하여 설계하는 방식보다 지반조건에 따른 낙석의 안정성 검토를 실시한 후에 낙석 도약높이 및 충격에너지를 평가하여 낙석방지울타리를 설계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낙석방지망 인발시험을 이용한 PVC망과 Expanded Metal 특성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comparison of the PVC Net and Expanded Metal Using Rockfall Protection Net Pullout Test Equipment)

  • 천성열;이승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9-57
    • /
    • 2009
  • 국가 기반시설에 대한 투자 확충으로 인해 신설 도로의 건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도로 역시 지속적인 확장 및 선형 개선 등으로 인해 도로 절개비탈면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로 절개 비탈면이 증가됨에 따라 매년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이러한 낙석 및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 도로사면의 대부분은 국토해양부에서 발간한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 근거한 표준낙석방지시설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낙석방지시설이 실제 낙석 발생 시 큰 파손 없이 낙석을 방어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 많은 의문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기술수준이 미약하여 전체적으로 해외 기술력에 의존하고 있으며, 낙석방지망의 경우 부분적 취약점(일체화가 되지 못함)으로 인해 충분한 지지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망이 터지는 문제점 등이 발생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보다 높은 낙석 에너지를 지지 할 수 있는 낙석 방지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 낙석방지망 인발시험장치를 이용하여 기존 PVC코팅망과 Expanded Metal에 대해 동일한 조건하에 인발시험을 실시하여 Expanded Metal 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기존 낙석방지망인 PVC코팅망은 일체화가 되지 않는 재료의 특성상 충분한 지지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망이 터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반면 실험결과 Expanded Metal은 재료의 특성이 일체화 되어있어 하중지지능력이 우수하고 낙석방지망 대체 재료로서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낙석방지울타리의 성능평가 I: 성능평가기준 (Performance Assessment for Rockfall Protection Systems I: Performance Assessment Criteria)

  • 김기동;고만기;김달성;문병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63-7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낙석방지울타리에 대한 표준화된 시험이 가능하도록 성능평가에 필요한 성능등급, 시험방법, 평가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국내 낙석자료를 이용하여 낙석에너지의 범위를 결정하고 50kJ에서 1500kJ까지 총 9등급의 성능등급을 제시하였다. 성능평가는 유럽과 미국의 기준과 같이 사용성과 최대성능을 조사하기 위한 2종류의 실물 자유낙하 충격시험으로 이루어진다. 낙석방지울타리의 시험체는 3경간으로 구성되고 구형에 가까운 26면체 콘크리트 블록이 중앙 경간의 중앙에 충돌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의 평가기준은 낙석의 관통여부와 변형을 겪은 낙석방지울타리가 도로를 침범하거나 차량통행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도록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