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Map

검색결과 904건 처리시간 0.024초

인과관계맵을 이용한 국내 화물자동차운수시장 구조의 가시화 (A Visualization of the Korean Road Freight Transport Industry Using a Causal Map)

  • 노홍승;강상곤;장소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43-152
    • /
    • 2008
  •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시장은 급격한 정책 변화에 따른 차량수급 불균형, 불법 다단계 불공정 거래구조, 화물자동차 운전자의 근로여건 악화, 관련 통계의 부족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문제 해결을 위해 제시된 각종 정책들로 인한 왜곡된 반응들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여 문제점들과 이를 시정하려는 시행정책들 간의 관계들이 점차 더욱 복잡하게 얽혀가고 있다. 이런 복잡한 구조는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시장 문제의 규정과 해결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하게 얽혀있는 국내 화물자동차운수시장의 구조를 가시화하기 위해 복잡한 인과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식화 기법인 인과관계맵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가 불법 다단계 불공정거래구조 등 현재 국내 화물자동차운수시장이 안고있는 복잡한 문제를 개선시키기 위한 정책수립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임도개설(林道開設)에 있어서 투자효과(投資效果)를 최대(最大)로 하는 임도배치(林道配置)프로그램 개발(開發) (Development of Computer Program for the Arrangement of the Forest-road Network to Maximize the Investment Effect on the Forest-road Construction)

  • 박상준;손두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20-430
    • /
    • 2001
  • 임도개설상(林道開設上)의 기술적인 문제(問題)와 현장애로를 해소하기 위하여 임도(林道)의 직접적인 효과(效果)인 집재비(集材費)와 개설비(開設費)를 중심으로 투자효과(投資效果)를 최대(最大)로 하는 임도망(林道網) 배치(配置)프로그램을 개발(開發)하였다. 프로그램은 Windows 95/98을 운영체제로 하고 Microsoft Visual Basic 5.0을 사용하여 전체 인터페이스 설계(設計)와 계산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며, 인터페이스는 계층적인 구조(構造)로 설계(設計)하고 GUI의 형태(形態)로 제공(提供)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한 입력데이터는 Map데이터(지리정보(地理情報)데이터)로서 수치지형도(數値地形圖)(DTM), 계획구역구분도(計劃區域區分圖), 산림기능구분도(山林機能區分圖), 임내(林內) 도로망도(道路網圖)와 콘트롤데이터(계산용(計算用) 조건인자(條件因子) 테이터)인 임상별(林相別) 목재생산량(木材生産量) 및 노동투입량(勞動投入量), 지형별(地形別) 집재비(集材費), 지형별(地形別) 목도단가(林道單價), 노동단가(勞動單價), 임도(林道) 및 작업도(作業道) 우회율(迂回率), 보행거리계수(步行距離係數), 보행속도(步行速度) 등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현재의 임도개설비(林道開設費)로 향후 벌채(伐採)까지의 적정(適正) 임도밀도(林道密度)와 임도개설연장거리(林道開設延長距離)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임도노선배치(林道路線配置)를 프로그램화하여 직접적 경제효과(經濟效果)인 임업적(林業的) 효과(效果)를 제일 우선적으로 생각하여 최적(最適)의 임도노선(林道路線)이 배치(配置)할 수 있으며, 종전의 주관적인 임도노선배치(林道路線配置)보다는 많은 요인(要因)에 의하여 임도망(林道網)이 결정(決定)되고 좀 더 과학적이고 이론적인 임도노선배치(林道路線配置)가 가능하므로 투자효과(投資效果)를 최대(最大)로 하는 임도노선배치(林道路線配置) 계획법(計劃法)을 제시(提示)할 수가 있다. 또한 임도노선배치계산(林道路線配置計算)에서 임도노선(林道路線)마다의 배치우선순위(配置優先順位)가 프로그램상에서 결정(決定)되므로 임도노선배치(林道路線配置) 계획(計劃)을 시업계획(施業計劃)과 병행해서 결정(決定)할 수 있다.

  • PDF

GIS 도로 데이터의 일반화를 이용한 Axial map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Axial map Implementation Using Linear Generalization of GIS data)

  • 권순일;박수홍;주용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99-108
    • /
    • 2010
  • 방향전환의 횟수를 변인으로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분석 할 수 있는 Space Syntax 방법론은 안전한 길, 활기 있는 길 등 연간의 '심리적 거리' 특성을 반영 할 수 있어 기존의 GIS 기반 공간정보 서비스에서의 '물리적 최단 거리'에 기반 한 공간정보 서비스에 교통사고 및 야간의 범죄로부터의 안전성 등을 훨씬 중시하는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이처럼 Space Syntax 방법론을 이용한 방법을 위해 기본적으로 Axial map(축선도)을 구축해 작업하여야 하는데, 실제 축선도를 구현하는데 시간적, 물리적 제한을 많이 갖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 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축선도를 구현하는데 있어, 선행 사상의 일반화 원리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축선도를 구축함에 있어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알아보고, Space Syntax의 주요인자인 전체통합도와 실제 통행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해 결과를 비교하여 본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실제 통행량과 $R^2$=0.5387 수준까지의 상관관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로명주소기본도를 이용한 부동산개발안내도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Real Estate Development Map using the Road Name Address Map)

  • 양성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7-54
    • /
    • 2013
  • 부동산개발은 국토의 효율적 운영을 촉진하며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관련 정보의 축적을 통해 종합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속성정보만으로 구축된 부동산 관련 정보는 분석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특정 필지 및 그 위의 건물을 기본으로 주변의 정보와 함께 공간분석이 가능한 부동산개발안내도를 구축해야 하며 이는 땅의 소유관계를 알 수 있는 지적정보와 땅 위에 존재하는 다양한 건축물과 사회기반 시설에 대한 공간정보에 부동산 관련 행정정보를 속성으로 부여함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건물의 형태적 변화와 속성적 변화 정보의 최신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명주소기본도를 기초로 부동산개발안내도를 구축하는 방안과 각 시스템 간의 연계를 통해 최신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산사태위험지도를 이용한 도로중심 복합재난 위험도 평가 (Complex Disaster Risk Assessment of Local Road using a Landslide Hazard Map)

  • 김민호;장창덕;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1-40
    • /
    • 2022
  • 국내 재해위험지도는 주로 격자단위 및 재해 유형별 단일 재해지도로 제작 및 연구되고 있어 도로관리 중심으로 접근할 경우 그 활용도가 떨어진다. 특히 주로 시설의 유지관리를 담당하는 실무자의 업무활용을 위해서는 보다 해당시설 (지방도로)에 맞는 재해위험지도의 평가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산사태위험지도 및 토석류위험지도를 활용하여 지방도를 중심으로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강원도에 위치한 지방도를 대상으로 위험도를 평가하고 검증하였다. 평가결과 총연장 234.59 km의 평가구간에서 1,513개의 평가구간에 대한 1~5등급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자율주행 지원을 위한 고해상도 무인항공 영상처리 기반의 도로정보 추출 (Extraction of Road Information Based on High Resolution UAV Image Processing for Autonomous Driving Support)

  • 이근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355-360
    • /
    • 2017
  • 최근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발전으로 정밀도로지도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정밀도로지도는 차선 정보, 규제 안전 정보, 각종 도로 시설물 등이 표현된 디지털 지도로 MMS(Mobile Mapping System) 기반으로 시험 제작되어 왔지만 이 방법은 고가의 도입비용으로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무인항공기의 경우 적용 분야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무인항공기 영상의 처리를 통해 자율주행에 필요한 차선, 시설물 등의 정보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자율주행 자동차 시험도로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정사영상을 제작하였다. 기존의 수치지형도와 정밀도로지도의 속성비교를 통해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한 차선, 중앙분리대, 제어기 등의 추출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영상분류를 통해 차선, 중앙분리대, 제어기 등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추출함으로써 고해상도 정사영상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추가적인 실험과 검증을 통해 무인항공기 영상의 이용 분야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며, 구축된 데이터를 자동차 제작사 및 관련 민 관 기관, 벤처 기업 등에 제공한다면 국내 자율주행차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스테레오 비전 기반의 도로 특징 정보 추출 및 장애 물체 검출 (A Road Feature Extraction and Obstacle Localization Based on Stereo Vision)

  • 이충희;임영철;권순;이종훈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6호
    • /
    • pp.28-3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지역 최대 빈도 값을 이용하여 V-시차 맵 상에서 도로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한 장애물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방법은 장애물체의 크기 수 및 종류 등이 변경되면 추출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 특히 크기가 큰 장애물체나 중앙분리대와 같은 연속적인 장애물체에 대한 추출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변 상황 영향을 적게 받는 도로 특징 정보를 새로운 장애물체의 유무 판단 기준으로 사용한다. 도로 특징 정보는 V-시차 맵 상에서 특정 열에 장애물체가 많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전체적인 그 특징을 잘 유지함으로 그 강건성이 높아 새로운 판단기준으로 적합하다. 그리고 V-시차 맵 상에서 도로 특징 정보를 쉽게 추출하기 위하여 먼저 지역 최대 빈도 값을 이용하여 이진 V-시차 맵을 생성한다. 그리고 기존 중간 값과 비교하여 도로 특징 정보가 아닌 부분은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보간을 통하여 최종 도로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시차 맵의 각 행과 비교하여 장애물체 영역을 검출한다. 또한 장애물체 영역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검출 단계에서 발생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과정도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 도로 영상에 적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 방법에 비해 장애물체 검출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수치지도 2.0을 이용한 범죄 취약도로 및 교차점 식별기법 (Methodology of Identifying Crime Vulnerable Road and Intersection Using Digital Map Version 2.0)

  • 김의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5-142
    • /
    • 2014
  • 최근 국가적인 차원에서 사회 안전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범죄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범죄관련 지도는 주로 범죄발생 현황에 대한 정보를 행정구역 단위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정작 여성 및 밤길을 이용하는 보행자가 안전한 도로를 사전에 파악할 수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 2.0을 이용하여 손쉽게 범죄에 위험한 지역을 추출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수치지도 2.0에서 범죄발생에 위험한 지역을 찾기 위해서 도로중심선과 건물 레이어의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사용하였다. 도로중심선 레이어에서는 포장재질, 도로폭의 속성정보와 도로와 도로가 교차하는 교차각 정보를 부가적으로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건물 레이어에서는 건물종류에 대한 속성정보를 사용하였다. 도로중심선과 도로교차점에 포장재질, 도로폭, 도로교차각, 건물종류 등을 고려하였을 경우의 위험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설정된 임계값을 벗어나는 지역을 범죄발생이 일어날 수 있는 위험지역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수치지도 2.0의 도로와 건물 레이어만을 이용하여 공간적인 측면에서 범죄 발생에 지역을 추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범죄 예방의 행정적인 측면에서는 식별된 범죄 발생에 취약한 지역에 대해 가로등, 보안등과 같은 안전시설물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 위험지역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울시 환경보건정책 로드맵 수립 (Process and Result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Environmental Health Policy Road Map)

  • 임지애;권호장;김신범;최영은;구슬기;정회성;김명한;최경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25-434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result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road map on environmental health policy. Methods: The process consisted of expert group meetings, civic participation, research, and questionnaire survey for priority environmental health policy agenda items in Seoul. Results: The announced vision for the environmental health policy was "a healthy environment, safety in Seoul". This policy was established in order to define environment health policy initiatives for a period of five years with an aim to protect Seoul citizens' health from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ing Seoul environmental health policy consisted of four areas and 16 key agenda items. The four areas were "Protection for children against hazardous materials", "Enhancement of health and safety of all", "Carcinogen-free and endocrine-disrupting chemical-free Seoul (reducing environmental exposure to hazardous materials), and "Establish the foundation of environmental health policy". Sixteen key agenda items include the enhancement of management of spaces for children, certification of environmental health status at schools, establishment of a unit responsible for the environmental health of children, strengthening environmental health management for susceptible populations (children, the aged, and the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s, physical hazardous factors (noise, radiation, etc.), indoor air quality, and the enhancement of monitoring, research, and regulation of environment health. Conclusi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stablished an environmental health policy road map for a five-year period (2013-2017). To implement this environmental health policy, budget allocation, and detailed execution plans are required.

구한말(舊韓末) 제주읍성(濟州邑城)의 도로체계(道路體系)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oad Network of Jeju-Eupseong in Daehan Empire Period)

  • 양상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6호
    • /
    • pp.169-184
    • /
    • 2011
  • The following research of the road network of Jeju-Eupseo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has a twofold purpose: to study som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network at that time; and, to restore it to the original form of that period before a newly constructed road, called Shinjakro, has been established. As an attempt to trace the old shape of Jeju-Eupseong, this study analyzed some historical factors based on the first land cadastral map which was made in 1914, including outskirts of Jeju-Eupseong; such as castle itself, castle gate, road, bridge, lots of land, etc. Then this study also tried to restore the old road network of Jeju-Eupseong, through finding the original land-lot shape in the land cadastral map. There was five Shinjakro made between 1914 and 1917. The road network before then was composed of the double east-west axes and the single north-south axis. These axes was connected to some important place of the inside of Jeju-Eupseong; such as castle gates, fountains, Gaek-sa, etc. There were many branch lines between these main axes at about 80-120m intervals. Also there was an outer road along the outer wall of castle, connected with each castle gates. Especially, the north-west axis was the baseline which divided into two large parts, a government office area and non-government area (housing and commercial street for the people). Finally, this paper examines that the road network of Jeju-Eupseong was the true result for the efficient function of the city, especially considering natural geographical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living of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