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grade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44초

환경친화적인 도로노선 계획을 위한 GIS 기반 환경성 평가기법 연구 - 도로노선대 선정방법 개발 - (Study on the GIS Based Environmental Assesment Techniques for Environmental Friendly Road Route Plan)

  • 강호근;박태권;김흥래;김상태;이상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3-231
    • /
    • 2009
  • 환경친화적인 도로노선대 선정을 위하여 공간분석기능을 활용한 GIS 기반 환경성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실제 사례노선을 통하여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도로건설 사업으로 인해 환경훼손을 가져오는 요인에 관한 분석을 바탕으로 영향범주를 구체화 시킨 후, 이에 관한 다양한 등급화 사례 및 법적 규제에 관한 문헌조사를 수행하였다. 공간 분석을 위한 정량화 모델로는 AHP를 선택하였다. 환경성 평가항목으로는 지형지질, 동식물, 토양생태, 수질, 대기질, 소음진동, 토지이용, 위락경관의 8개 항목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지표를 구성하여 이를 3등급 체계로 구분하였다. 가중치 산정을 위해 쌍대비교에 의한 설문수행 결과 동식물 1등급의 가중치가 0.191로 가장 높게 산출되었다. 위 방법을 사례지역에 대하여 검증한 결과 가장 환경친화적인 도로노선대를 생성할 수 있었다.

Investigation of Aging Effect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Asphalt Binder in RAP Contained Mixture Design Process

  • Park, Kyung-Won;Rhee, Suk-Keun;Yoo, Ju-Yeol
    • 한국도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도로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5-114
    • /
    • 2006
  • There are several methods determining an appropriate performance grade of virgin binder, which is re(erred as design binder, in RAP contained bituminous mixture design process. However, difficulties have been experienced in utilizing the methods in the field application in Korea, because SHRP binder test, the key tests to determine a design binder, requires well-trained personnel, high price equipment, and time consuming process. Thus,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binder aging level, RAP contents, and rheologica1 properties of binder. The study results provide mix designer with a simple method in selecting an appropriate grade of virgin binder.

  • PDF

폐비닐을 함유한 아스팔트 바인더 물성의 실내 시험 (Laboratory Testing of Material Properties of Asphalt Binder Containing Wasted Vinyl)

  • 이강훈;김영진;김병준;임진선;정진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85-91
    • /
    • 2012
  • PURPOSES: In this study, various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uitability of wasted vinyl as a modifier of asphalt binder. METHODS: Based on the ASTM specification, variations in material properties of asphalt binder such as penetration, flash point, softening point, ductility, penetration index (PI), and performance grade (PG) with vinyl content were tested and analyzed. RESULTS: Lavoratory tests revealed that penetration and ductility of the asphalt binder increased with the vinyl content. The flash point, softening point, and PI decreased, and PG changed from 64-22 to 70-22 with increase of the vinyl content. CONCLUSIONS: Wasted vinyl modified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asphalt binder. However, the asphalt binder with vinyl content over 6.0% was unsuitable as a pavement material.

1.7톤급 소형 굴착기용 주행 감속기의 복합 유성기어류에 대한 강도 평가 (Strength Evaluation of Complex Planetary Gear Train of Traveling Reducer for 1.7-Ton Grade Small Excavator)

  • 남석주;배명호;조연상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8권1호
    • /
    • pp.22-26
    • /
    • 2022
  • A 1.7-ton grade small excavator is a construction equipment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limited spaces where heavy equipment cannot enter easily. Owing to the recent acceleration of urbanization, it has been used increasingly in drainage and gas pipes, as well as for road repair works in urban areas. The power train of a traveling reducer for a 1.7-ton grade small excavator utilizes a complex planetary gear system. Complex planetary gears are vital to the power train of a traveling reducer as it mitigates the fatigue strength problem. In the present study, the specifications of a complex planetary gear train are calculated; furthermore, the gear bending and compressive stresses of the complex planetary gears are analyzed to achieve an optimal design of the latter in terms of cost and reliability. In this study, the actual gear bending and compressive stresses of a planetary gear system are analyzed using a self-developed gear design program based on the Lewes and Hertz equation. Subsequently, the calculated specifications of the complex planetary gears are verified by evaluating the results with the data of allowable bending and compressive stress based on curves of stress vs. number of cycles of the gears.

GIS를 이용한 관광농원의 자연입지 적지평가 (Analysis for Natural Suitability Evaluation of Tourism Farm Using GIS)

  • 이강복;김기성;최진용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92-197
    • /
    • 1998
  • An natural suitability evaluation of tourism farm was evaluated for Sabuk Myeon, Chunchon with considering natural location. In an evaluation of natural suitability, it was classified to the grade of one to four with evaluation items of stream, road accessibility, aspect, altitude, slope, soil drain, the present situation of land use, etc.

  • PDF

실시간 차량정보 및 도로교통상황을 고려한 실시간 안전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vision of Real-Time Safety Information Considering Real-Time Vehicular Data and Road Traffic Condition)

  • 고한검;이진수;김지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D호
    • /
    • pp.291-303
    • /
    • 2012
  • 보다 안전한 운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불특정 운전자에게 획일적이고 정적인 감속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개별차량 움직임을 고려하여 해당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해 개별 운전자 중심의 동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차량 및 도로교통상황에 대한 정보의 수집 및 전송이 가능한 스마트하이웨이의 도로 및 통신환경이 조성되었을 때를 가정하여, 노면상태 및 주행상태 등의 도로교통상황, 선 후행차량의 통행속도 및 차간거리를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차량 안전거리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노면상태에 따라 상태기준컬럼($C_{condition}$)의 값을 달리 정의하여 기본적인 위험상황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표현컬럼($C_n$)의 범위에 선 후행차량의 통행속도, 차량간격, 종단경사, 노면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실시간 안전거리 지수(RSDI)를 산출하도록 하였다. 산출된 실시간 안전거리 지수(RSDI)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운전자가 차량간 충돌(추돌) 가능 위험상황에 대해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산출된 RSDI의 값은 30개의 단위컬럼으로 이루어지고, 사전에 정한 '경고', '위험, '보통'의 3단계 위험도 평가 등급으로 구분되어 운전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통계적 분석을 통한 KS 아스팔트 침입도 규격의 문제점 고찰 (Statistical Evaluation of Validity of KS Asphalt Penetration Grade System)

  • 김광우;이우현;정재헌;도영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25-133
    • /
    • 2006
  • 본 논문은 KS의 침입도 등급 체계에 대한 통계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각 등급의 범위는 신뢰구간에 근거하여 설정되어야 하며, 최대한 인접 등급과의 중복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통계적 이론에 근거해 검토한 결과 KS 침입도 등급 체계에는 각 등급 사이에 간격(Gap)이 없어서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바로 다른 바인더의 등급을 침범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많은 바인더 제품들의 침입도 평균값이 규정한계 내에 있을지라도 인접한 등급과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침입도 40-60, 60-80, 80-100과 같이 등급의 범위를 모두 20으로 규정한 것은 통계적 타당성이 없다. KS 침입도 등급은 각 등급 간에 간격이 없기 때문에 생산자는 제품의 품질관리 규정을 만족하기 위하여 ASTM 체계의 제품보다 변동계수를 더 낮게 유지해야 한다. 게다가 침입도평균이 상 하한선 쪽으로 치우친다면 재료의 품질 불확실성 때문에 바인더의 1/2 또는 그 이상이 인접 바인더와 중복된 것이다. 그러므로 KS침입도 등급은 통계적으로 타당토록 바로 수정되어야 한다.

  • PDF

고속도로 오르막 구간의 경사도와 길이에 따른 연료 효율적 주행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 Fuel-Efficient Driving Method based on Slope and Length of Uphill Freeway Section)

  • 최지은;배상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77-84
    • /
    • 2015
  • 2011년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85.04백만$tonCO_2eq$이며 도로분야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95% 비율을 차지한다. 이러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의 일환으로 급가속 회피, 경제속도 준수 등 에코드라이빙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근원적인 배출량 감축 기술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 경사도 별 최적가속도를 분석하고 하류부의 오르막 구간을 대상으로 연료 효율적인 주행방법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오르막 주행 시 주행모드에 따른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시나리오별 속도변화량을 다르게 설정하여 속도 프로파일을 생성하였다. 각 속도 프로파일을 Comprehensive Modal Emission Model에 적용하여 연료소모량을 산정하였다. 도로 경사도, 오르막길이 별 연료소모량이 가장 적게 소모된 주행모드와 속도변화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행모드와 속도변화량을 기반으로 에코드라이빙 시 소모된 연료소모량과 cruise control 주행 시 소모된 연료소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오르막 지형을 100kph, 90kph, 80kph 속도로 주행 시 에코드라이빙 주행의 연료소모량이 cruise control 주행 보다 각각 33.9%, 30.8%, 5.3% 감축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설국도의 시험시공을 통한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 공용성 평가 (Evaluation of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the New National Test Road Sites of Modified Asphalt)

  • 조규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43-49
    • /
    • 2002
  • 국내 아스팔트 포장은 중차량 교통량의 증가와 겨울철 및 여름철의 온도차이가 크게나는 환경조건하에서 공용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포장 조기파손의 대부분인 소성변형의 문제점이 심각하며,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개질 아스팔트의 적용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질 아스팔트의 사용이 표층을 절삭하고 택코팅후 시공되고 있으며, 신설도로의 포장이 아닌 유지보수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산하의 신설국도의 도로포장현장에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이 적용된 기층 위에 표층용 개질 아스팔트인 SBS PMA 혼합물과 PSMA 혼합물에 대하여 2차로로 200m를 시험 시공하였으며. 나머지 구간은 일반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로 시공하였으며, 시공에 사용된 재료에 대한 실내시험을 통한 공용성 및 장기 공용성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실내 실험은 마샬안정도시험, 강도시험과 휠트랙킹 시험을 하여 분석하였으며, 현장의 시험 시공시 온도관리 및 평탄성에 대한 평가를 기초로 향후 장기 공용성 평가와 LCC 분석을 실시하여 가장 경제적인 개질 아스팔트를 평가하여 설계에 반영하고자 한다.

  • PDF

차도용 칼라 역청 혼합물의 적용성 연구 (Applicability of Color Bituminous Mixtures for Highway Pavement)

  • 도영수;오성균;최영규;김광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91-100
    • /
    • 2004
  • 본 연구는 차도용 칼라 역청 콘크리트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칼라 역청 포장은 차도가 아닌 보행자 도로나 자전거 도로에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 바인더 개질 및 혼합물 강성의 증진을 위하여 두 가지폴리머가 사용되었다. 또한 갭입도 혼합물에서 나타나는 침강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신문지를 사용하였다 마샬안정도, 간접인장강도, 동결-융해 및 인공노화 처리 전 후의 인장강도비, 소성변형 저항성, 피로수명을 측정하였다. LDPE 개질된 칼라 역청 콘크리트는 일반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해 높은 안정도와 인장강도를 나타냈으며, 특히 소성변형 저항성에서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 Rosin 개질된 칼라 역청 콘크리트는 일반 아스팔트 혼합물보다 높은 안정도와 동결융해저항성을 보였으며, 특히 간접인장강도에서 많은 향상을 보였다. LDPE +Rosin의 개질은 거의 대부분의 역학적 특성의 증가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칼라 역청 콘크리트 혼합물은 기존 AP-3를 사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과 비교해 역학적 특성이 비슷하였으며, 모든 혼합물은 차도용 시방 규정을 만족하였다. 그리고, 이를 LDPE와 Rosin으로 개질할 경우 포장의 공용성능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보여 차도용으로 충분히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