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Subsidenc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2초

안동시 위리의 사면파괴 지역에 대한 지표 물리탐사 (Surface Geophysical Investigations of a Slope-failure Terrane at Wiri, Andong, Korea)

  • 김지수;한수형;정교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2호
    • /
    • pp.193-204
    • /
    • 2001
  • 1997년 집중호우 때 지반 침하와 융기 현상이 발생했던 안동시 위리 지역의 지하구조와 사면활동의 기구가 된 단층대를 규명하기 위해 전기비저항 수직 및 쌍극자탐사, 탄성파굴절법 및 반사법탐사를 실시하였다. 사면 변형의 가장 주된 원인으로 알려진 점토층은 탐사 결과 $100{\Omega}{\cdot}m$ 이하의 전기비저항, 400m/s 이하의 탄성파속도로 특징되며, 사면침하와 관련된 북북서 단층은 약 $18^{\circ}$의 경사로 비교적 완만하게 나타나고, 지반 융기와 관련된 도로 인근의 북북동 단층은 거의 수직으로 나타난다. 사면활동 당시 사면에서 일어난 침하 현상은 북북서 단충면을 따라 점토가 거동하며 생긴 반면 도로 지반의 융기는 북북동 수직 단층을 통하여 점토가 올라 온 현상으로 해석된다.

  • PDF

3D-GPR탐사를 이용한 도로하부 지반상태에 대한 연구 (A Sudy on the Underground Condition of Road Using 3D-GPR Exploration)

  • 이승호;장일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9-58
    • /
    • 2019
  • 3D-GPR탐사를 활용하여 도로하부 지반 상태 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건과 유사한 테스트베드를 조성하여 각 심도별 공동과 지중매설물에 대한 탐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반의 유전율을 역산하여 파악하였고, 공동에 대한 탐지심도를 정확한 계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3D-GPR탐사를 통해 도로하부의 공동에 대한 신호파형을 확인하였고, 분석사의 경험적이고 주관적인 기존분석에 비하여 정량적인 분석방법 및 분석인자를 제시할 수 있었다. 도로하부의 지중침하에서도 3D-GPR탐사를 통해 침하분포 및 심도를 파악할 수 있었고, 지반보강 후 탐사해석단면을 통해 지반상태 변화를 확인하였다.

무안군 카르스트 지역의 지하공동 탐지를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 기술 적용 (Application of Resistivity Technique for Identifying Cavities Near Surface in Karst Area, Muan-gun, South of Korea)

  • ;박삼규;송영수;김정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1권4호
    • /
    • pp.368-372
    • /
    • 2008
  • 이 연구는 카르스트 지역에서 발생하는 연약층 또는 지하 석회암 공동의 영상화를 위한 지표 전기비저항 탐사의 유용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약층 또는 공동은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도로 및 건축물의 붕괴를 야기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미 지반침하가 있었음이 보고된 바 있는 전남 무안군 영월리에 있는 한 도로를 따라 2-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여 지반 침하 현상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의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풍화된 표토층과 연약층 또는 공동 그리고 기반암이 뚜렷이 구분되어 나타났으며, 또한 여러 곳의 저비저항 이상대가 나타났는데 이는 점토로 충전된 공동으로 시추결과 확인되었다. 아울러 시추 결과와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는 매우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반 침하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전기비저항 탐사를 통한 지하영상화 작업이 매우 높은 분해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지반 침하 지역을 조사하고 이를 평가함에 있어 $2{\sim}3$차원 전기비저항탐사가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탐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주변의 재해 취약정도를 작성하였다.

도로터널공사구간의 폐갱도 정밀조사 및 터널의 안정성 평가 (Site Investigation of Abandoned Coal Mine and Stability of Road Tunnel)

  • 신희순;김중열;이병주;한공창;선우춘;송원경;신중호;김유성;박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24
    • /
    • 2001
  • Several underground cavities were found during construction of a road tunnel in 600m length . The area belong to Whasoon coalfield where extensive ground subsidences have occurred. It is necessary to find other underground cavities which might be located just near the road tunnel for safety, The field surveys and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such as surface geological survey(672m), surface reflection seismic exploration(399m), drilling test(3 NX holes), 9 laboratory tests for rocks, 3 boreholes televiewer tests, reflection seismic exploration in tunnel(2, 342m). To estimate the effects of underground cavities on the road tunnel, 3 geological section were analysed with FLAC-2D modeling. The effects of the ground reinforcement were also analysed.

  • PDF

Contact 요소를 이용한 신.구 콘크리트의 비선형 해석 (Nonlinear Analysis with contact element between old and new concrete)

  • 조선규;이종선;정우철;이종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0-1055
    • /
    • 2007
  • In the case of a rail road bridge extension work, especially single track to double track, the foundation of new substructure which supports the extended part of superstructure could be interfered by the exist foundation of an old bridge. When these two foundations are jointed to prevent such fatal effects of the structure as unequal subsidence of soil foundations, it is important to prove the structural behaviour of the joining surfaces between new foundation and old foundation.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have been studied for the solutions of the structural behaviour of the foundations. In this analysis, 'Contact Element' which allows the sliding of each adjoining member is used for the joint of the boundary surface of the old and new pier foundations. Furthermore, Material Nonlinear Behaviour Analysis also supports the accuracy of the result in this study because the foundations consist of concrete main bodies and reinforced steel bars. These detailed analyses secure the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foundations in the extension work more firmly.

  • PDF

연약점토층위 이층지반 지표면 재하시 지중응력 특성연구 (A Study on the Stress Distribution beneath Loaded Ground Surface Area of Double Strata Ground on Soft Clay Layers)

  • 임종석;이인형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23-428
    • /
    • 2005
  • If the load of constructing vehicles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acts on the road or the ground surface on the soft ground, due to the excess stresses in soils the trafficability of the vehicles influences the constructing efficiency, constructing period and so on. Stress distribution in soils is the very important element to design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settlement, safety of foundations and trafficability of constructing vehicle in civil engineering. This research represents the comparative estimation of the actual and theoretical measurement on the underground stress of outer layer for each soil after the observation of each top soil layer for its vertical and horizontal stress in (1)homogeneous sand ground (2) weak stratum with the sand soil (3) weak stratum with gravel of the soil model, and it also investigates the effect of subsidence of ground by the repeated load. The underground stress turn out to be different in the value of theoretical and actual measurement after the trial examination of model.

  • PDF

그라우팅 전후의 시간차 고정밀 중력탐사 (A Time-Lapse Microgravity for Grout Monitoring)

  • 박영수;임형래;임무택;구성본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7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6
    • /
    • 2007
  • A time-lapse microgravity survey on a newly widen road at Muan, where limestone cavities are developed, for monitoring the change of the subsurface density distribution before and after grouting. Microgravity monitoring is identified as a quick, easy and cost effective. But, it requires strict data acquisition and quality control due to the differences of conditions at measuremen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wo times, that is, October 2005 and September 2006. The data were adjusted for reducing the effects due to the different condition of each survey. The processed data acquired in 2005 and 2006 were inverted into the subsurface density distributions. They show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density structure during the lapsed time, which implies the effects of grouting.

  • PDF

지하공동의 효율적 충전을 위한 급결 충전 그라우트공법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apidly Hardening Grouting Method for the Effective Filling in the Underground Cavity)

  • 김수로;김태혁;신동춘;권현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6호
    • /
    • pp.534-544
    • /
    • 2009
  • 지표 하부 공동의 붕괴는 인간 활동의 대상인 도로 및 건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반침하를 야기할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지반침하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하공동 충전에 의한 지반보강공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으로 친환경적인 칼슘알루미네이트 광물을 지반침하보강공법에 적용하고자 급결 충전물질 및 충전시스템, 급경사 광산채굴적 충전 손실 개선에 관한 현장적용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급결 경화 충전물질은 급결 성능재료와 보조 재료로 구성된다. 개발된 재료는 급결 성능 및 수중 불분리 특성을 가지고 있어 수중공동에서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지하댐을 형성하였다. Hg, Cd, As, $Cr^{6+}$, Pb와 같은 중금속 용출시험결과, 환경적으로도 적합한 물질로 분석되었다.

매립재로서 포항지역 이암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vailability of Pohang's Mudstone as a Reclamation Material)

  • 이규환;정대석;양태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8호
    • /
    • pp.149-158
    • /
    • 2007
  • 최근 들어 포항지역에서 매립이나 도로성토를 위한 양질의 재료 취득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이암을 도로나 항만 등의 공사에서 성토재료나 매립재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암을 매립재로 활용한 예가 없으며 또한, 이암을 이용한 매립지반의 거동 특성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이암을 매립재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암의 흡수, 연화, 슬레이킹등의 거동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침하나 강도저하등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이암의 공학적 특성이 명료하지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암을 도로 기초나 항만 등의 성토나 매립재료로 사용시 그 적합성을 실내시험과 시험시공을 통해 파악코자 하였다.

지반침하로 인한 지하공동 복구재료의 현장적용성 평가 (Filed Applicability Evaluations of Restoration Material for Underground Cavities Formed by Ground Subsidence)

  • 방성택;백승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5-11
    • /
    • 2020
  • 최근 도심지에서 많이 발생되는 지반함몰은 교통흐름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재산적인 손실과 함께 인명피해도 심각하게 발생되는 등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함몰된 지반을 긴급하게 복구하여 추가 피해에 대비하여야 하는데 현재 국내의 지반 함몰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미흡하고 함몰 원인의 정확한 규명 및 재발생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함몰된 지반의 복구방법으로는 함몰된 흙을 재사용하여 되메우기를 하거나 기타 성토재료를 사용하여 되메움 한 후 도로를 포장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지반함몰을 일시적으로 방지하는 방법에 불과할 뿐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볼 수 없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보강된 지반은 되메움재의 불량 및 다짐불량 등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지반함몰이 발생될 가능성을 배제할 없다. 이 연구에서는 지반 침하로 발생된 지하공동의 복구에 활용할 수 있는 복구재료로써 개량된 준설점토의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친환경고화재(EHSM) 및 화강풍화토의 혼합비율을 변화시켜 제작한 공시체에 대한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복구재료의 환경변화에 따른 강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동결융해시험을 수행하고 각 단계별 시험이 종료되면 강도분석을 위하여 일축압축강도 시험 및 동탄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복구된 지반의 강도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여 복구된 지반의 개량효과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