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Information

검색결과 2,712건 처리시간 0.04초

방재관점에서의 도로 공간데이터베이스 설계 : 대피위험도를 중심으로 (Design of Road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for Urban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Evacuation Vulnerability)

  • 김지영;김정옥;김용일;유기윤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3-416
    • /
    • 2007
  • To construct road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it is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that an analysis of road factors and furthermore this is used to the rescue activities in case of urban disasters. When urban disasters such as earthquake or explosion cause fire and collapses people of the affected region happen to evacuate. But only to manage roads and monitor traffic volume, the road data is designed and managed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 so it is short that the design of road spatial data to prevent disasters. In this study, we tried to suggest the evaluative factors of evacuation to design database : road width, traffic volume, the fixed or movable obstacles install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hat dominate the land-use planning, the uses, materials, structures, sizes, and densities of the buildings. Thus, these could provide fundamental data to determine the disasters management planning for evacuation and rescue activities, to evaluate the riskiness, and to draw up hazard information map.

  • PDF

GIS를 이용한 도로 사면의 위험성 분석 (A Risk Analysis of Road Slopes Using GIS)

  • 김용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117-127
    • /
    • 2004
  • A risk analysis on the cutting slope of roads near Cheongju area was carried out with the data from geological map, field investigation, and laboratory test and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risk analysis method on the cutting slope of road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as developed with the data from geological map, field investigation and laboratory tests. In the GIS, road factors which are safety factor, class of road, slake index, slope-protection works, and height of slope in the cutting slopes are classified into some ranks, and their weighting factors were taken into account. This method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a road management.

Precise Vehicle Localization Using Gaussian Mixture Map Based on Road Marking

  • Kim, Kyu-Won;Jee, Gyu-I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9권1호
    • /
    • pp.23-31
    • /
    • 2020
  • It is essential to estimate the vehicle localization for an autonomous safety driving. In particular, since LIDAR provides precise scan data, many studie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vehicle localization using LIDAR and pre-generated map. The road marking always exists on the road because of provides driving information. Therefore, it is often used for map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o generate the Gaussian mixture map based on road-marking information and localization method using this map. Generally,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map stores the single Gaussian distribution for each grid. However, single resolution probability distributions map cannot express complex shapes when grid resolution is large. In addition, when grid resolution is small, map size is bigger and process time is long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oad marking. On the other hand, Gaussian mixture distribution can effectively express the road marking by several probability distributions. In this paper, we generate Gaussian mixture map and perform vehicle localization using Gaussian mixture map. Localization performance is analyzed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

도로교통안전점검차량을 이용한 도로의 자동도면화 생성 연구 (The Study on an Automated Generation Method of Road Drawings using Road Survey Vehicle)

  • 이준석;윤덕근;박재홍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91-98
    • /
    • 2014
  • PURPOSES : This study is to develop a automate road mapping system using ARASEO(Automated Road Analysis and Safety Evaluation TOol) for road management. METHODS : The road survey van named ARASEO(Automated Road Analysis and Safety Evaluation TOol) was used to generate highway drawings for Korea National Road number 37 automatically. In order to generate the highway drawings for purpose of road management, it is required to acquired the information for highway alignment, road width and road facilities such as safety barrier and road sign. Therefore the survey van acquired and analyzed the road width, median and guardrail data using rear side laser sensor of ARASEO and recognized the traffic control sign and chevron sign using foreside camera images. Also the highway alignment which is the basic information for highway drawing can be analyzed by acquisition the every 1m positional and attitude data using GPU and IMU sensor and developed algorithm. Finally, in this research the CAD based drawing software was developed to draw highway drawing using the analysis result from ARASEO. RESULTS : This study showed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surveyed road width and drawing data. To make the drawing of the road, we made the Autocad ARX program witch run in CAD menu interface. CONCLUSIONS : Using this program we can create the road center line, every 500m horizontal and vertical ground plan drawing automatically.

비디오 영상에서 사전정보 기반의 도로 추적 (Road Tracking based on Prior Information in Video Sequences)

  • 이창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9-2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실 도로 환경에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도로 영역을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이전 처리 결과로부터 미리 알려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영상에서 도로를 검출하고 추적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은 시스템의 효율을 위해 연속적인 입력 영상에서 하위 60%이내에 도로가 있다고 가정하여 관심의 대상이 되는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설정하고 이 영역에서만 도로를 검출하고 추적한다. 최초 분할은 플러드필 알고리즘(Flood-fill algorithm)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주위 영역과의 유사성을 평가한 후 병합하여 분할한다. 사전 정보로 사용되는 이전 영상에서 분할 결과에서 시드점(Seed Point)을 추출하고 이 시드점을 기준으로 현재 영상을 분할한다. 이전 영상에서 분할된 도로 영역과 현재 영상에서 분할된 결과를 변형된 자카드 계수(Jaccard coefficient)를 이용한 유사도 측정 결과에 따라 다음 영상에서 도로영역을 정제하고 추적한다. 연속적인 입력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는 잡음이 존재하는 영상에서도 도로를 추적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그래프이론을 이용한 도로표지의 혼란정도 평가 (An Extent Estimation Caused by Road Sign Using Graphic Theory)

  • 정규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57-164
    • /
    • 2012
  • 도로표지는 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운전자에게 안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설물로써, 설치 및 관리기준은 도로법 제57조 및 국토해양부장관령인 도로표지규칙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도로표지규칙에서 정하는 사항에 대해 준수하지 않은 경우와 예외사항을 과다 적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도로표지의 혼란정도를 야기하게 된다. 이를 포함하여, 도로명 안내표지, 출구중심 도로표지 등 다양한 도로표지는 운전자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것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혼란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 중 도시지역의 방향표지를 대상으로 하여 혼란정도를 유발시킬 수 있는 도로표지의 요소를 제시하고, 정보표기 한정 개수를 산출하였으며, 혼란정도 인자를 그래프 이론을 통해 모형화하였다. 또한, 그에 따른 도로표지의 혼란정도를 예측하였다. 교차로별 혼란정도의 값과 3년간 교통사고 통계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도로표지의 혼란정도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스테레오 비전 기술을 이용한 도로 표지판의 3차원 추적 (Three Dimensional Tracking of Road Signs based on Stereo Vision Technique)

  • 최창원;최성인;박순용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259-1266
    • /
    • 2014
  • Road signs provide important safety information about road and traffic conditions to drivers. Road signs include not only common traffic signs but also warning information regarding unexpected obstacles and road constructions. Therefore, accurat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road sig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related to safe driv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3-D vision technique to automatically detect and track road signs in a video sequence which is acquired from a stereo vision camera mounted on a vehicle. First, color information is used to initially detect the sign candidates. Second, the SVM (Support Vector Machine) is employed to determine true signs from the candidates. Once a road sign is detected in a video frame, it is continuously tracked from the next frame until it is disappeared. The 2-D position of a detected sign in the next frame is predicted by the 3-D motion of the vehicle. Here, the 3-D vehicle motion is acquired by using the 3-D pose information of the detected sign. Finally, the predicted 2-D position is corrected by template-matching of the scaled template of the detected sign within a window area around the predicted posi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detect and track many types of road signs successfully. Tracking comparisons with two different methods are shown.

정보계측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한 도로계획의 평가모델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Road Plan using Information Measurie Technique and GIS)

  • 나준엽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1-10
    • /
    • 2008
  • 공공시설 중 도로계획의 경우 건설과정 및 건설 후의 소음 및 오염 등의 환경 사회적 비용 및 주행성 안전성 등 요소의 평가 등을 수량화가 어려운 대표적 비용으로 들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량화가 어려운 비용 효과들을 포함하여 고려한 도로노선계획결과를 정보계측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량'이라는 통일된 단위로 표현하고, 기존 시설물과의 관계로부터의 '정보편익' 개념으로 평가하였다. 정보계측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로건설시 발생하는 비용과 직접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시설정보계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도로 주변 시설간의 편익을 고려하기 위하여 시설정보편익모형을 구성하였다. 비용과 직접효과만을 고려한 시설정보계측모형에서는 기존의 도로설계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시설정보편익모형에서는 기존의 도로계획 평가에서 고려할 수 없었던 요소들에 대한 고려가 가능하였다.

  • PDF

OpenCV를 이용한 도로표지 영상에서의 방향정보 자동인식 (Automatic Recognition of Direction Information in Road Sign Image Using OpenCV)

  • 김기홍;정규수;윤준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3-300
    • /
    • 2013
  • 도로표지는 운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서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시설물이다. 도로표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도로표지 내용에 대한 DB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작업은 거의 수동으로 진행되고 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 영상에서 방향정보를 자동으로 인식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OpenCV를 이용해 이를 구현하였으며 도로표지 영상에 적용하였다. 방향정보의 자동추출을 위해, 영상 개선, 영상 이진화, 방향지시 도형 영역 추출, 특징점 추출, 템플릿 영상정합 등의 영상처리 기법을 코딩하여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방향정보 자동 인식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비쿼터스 도로재해관리시스템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 (Development of the Fundamental Technology for Ubiquitous Road Disaster Management System)

  • 최영택;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기반 도로재해관리시스템 개발에 본 연구에의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기반기술은 무선인터넷통신모듈, 모바일모듈 및 서버모듈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개발된 기반기술은 도로재해관리 뿐만 아니라 각종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 응용솔루션개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도로재해현장에서 정보취득에 필요한 기 구축된 수치형태의 각종 DB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현장 자료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현장 자료 취득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수신한 웹기반의 서버모듈 즉, 웹기반 도로 재해관리시스템에서는 기존의 도로관련 각종 자료에 절대좌표를 이용하여 현장재해정보를 연계하여 볼 수 있어, 정확한 의사결정을 실시간으로 수립하여 현장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도로재해관리시스템의 기반기술 개발을 통하여 기존 도로재해관리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