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sand

검색결과 696건 처리시간 0.03초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장기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Long age Strength Properties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 박세인;이동화;김종수;김명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3-117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long-age strength property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ge which is used as the specified concrete strength. The W/W ratio (45%, 50%, 55%, 60%) fine aggregate of useful river sand or blended sand(river sane : sea sand=1:1) were chosen as the experimental paramete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H(it means the material segregation resistance) & suspension were increased larger, so W/C become larger, and slump flow was increased as W/C increased (except W/C=60%), air-contents were decreased as W/C became increase and all of this results are satisfied with the under of 40%. The compressive strength ( a case use only river sand as fine aggregate) is showed less than the case of blended asnd. Because the unit weight of the blended sand is more heavy than the unit weigh of the river sand. The results of the case which haven been used only river sand, and the case have been used blended sand), both case have considered W/C. So it's possible to us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ge 28 day like the case of plain concrete.

  • PDF

두만강 하류 사구지형의 특징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geomorphic process of sand dunes at the lower reach of the Duman river, Korea and China)

  • 주철;이민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9-40
    • /
    • 2012
  • 두만강 하류의 사구는 주로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겨울철 풍향과 일치하는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사구가 발달한 지역의 인근 두만강 하상에는 사질성의 사주와 하중도가 형성되어 있다. 단면기술과 입도특성분석으로 볼 때 연구지역 사구의 형성과정은 퇴적환경에 따라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회룡봉, 경신-원정 및 두만강변 사구는 두만강이 운반해온 충적물이 하상에 퇴적되고, 다시 바람에 의해 인근의 사주단, 단구면과 보다 고도가 높은 침식 구릉지 등에서 퇴적된 것이다. 둘째, 방천-노동자지역에서의 이동사구는 첫 번째 유형과 유사하게 형성되었지만, 정착 사구는 수중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사료된다.

도류제 건설 후 남대천 하구의 해안선 생성 및 변화 (Evolution and Changes of Coastal Topography due to Jetty Construction at Namdae River Mouth)

  • 김인호;이성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3B호
    • /
    • pp.315-321
    • /
    • 2008
  • 최근 해안환경적 측면 뿐 만 아니라 사용자의 측면에서 도류제나 방파제와 같은 연안구조물에 의하지 않고 연안에서의 해빈을 보존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연안에서의 표사문제의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연안에서의 표사 뿐만 아니라 배후지의 하천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사량을 포함한 종합적인 토사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해역으로 유출되는 하천 유사와 이송, 하구에서의 사주발생과 발달 그리고 하구폐색과 연안으로 유출된 유사의 효율적인 저류문제와 홍수시 외해로 유출되는 유사의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최근 강릉 남대천 하구에는 하구폐색과 하구사주의 발생에 따른 대책으로 2005년에 총연장 260 m의 도류제를 건설하였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류제 건설에 따른 남대천하구에서의 토사이동특성 및 해저지형 변동과 표사이동을 해석하기 위한 다양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남대천 하구역에서 유출되는 유사량을 혼합입경의 관점을 가정하여 1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하천에서 유출된 유사의 이동특성과 하구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하천류의 유동특성과 바람장에 의한 취송류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파동장, 해빈류 및 해저지형변동을 수립하여 본 남대천 하구인근에서의 표사이동 특성을 해석하였다.

낙동강 본류의 대표위치별 하천모래의 골재 활용성 평가 (Aggregate Utilization Estimation of River Sand according to Typical Location of Main Stream of Nakdong-River)

  • 박재임;배수호;권순오;김창덕;이승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719-3725
    • /
    • 2012
  • 최근, 건설공사의 급증으로 인한 양질의 하천모래의 고갈로, 콘크리트용 대체골재로서 바다모래, 부순모래 및 순환잔골재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미세척 바다모래는 함유된 염화물로 인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할 경우, 철근부식 유발로 구조물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부순모래는 미립분이 많고 입도조정이 어려워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낙동강 세사는 낙동강 중 하류에 대규모로 분포하고 있고, 입도를 제외하면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품질이 우수하므로 이에 관한 연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콘크리트 잔골재로서 낙동강 세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그것의 물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낙동강 본류 대표위치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이들의 절건밀도, 입도, 단위용적질량 등의 물성을 평가하였는데, 그 결과 낙동강 세사는 입도를 제외하면 잔골재로서의 물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잔골재의 종류에 따른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perties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as to Fine aggreate Kinds)

  • 박세인;신현필;이환우;김종수;김명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41-946
    • /
    • 2001
  •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fine aggregate (river sand, sea sand, crushed sand) were used and four different s/a (38%, 40%, 42%, 45%) were applied separately to this experimental for get the conclusion written below. Regardless of kinds of fine aggregate and casting-curing condition, maximum unit weight is seen at 40% of s/a and also to be seen in case of crushed sand. It's for that specific gravity of crushed sand is bigger comparatively than river sand and sea snad's one. Compressive strength is measured river sand, crushed sand, sea sand by order of size ; Regardless of variation of s/3, casting-curing condition and age. Compressive strength recorded maximum when s/a is 42% whatever sort of fine aggregate are. As the result, according to references, the optimum s/a of underwater antiwashout concrete is 40% but in this study, from compressive strength of view, the optimum s/a of underwater antiwashout concrete is 42%.

  • PDF

The diverse species of the genus Hantzschia (Bacillariophyta) in sand flat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in Korea

  • Joh, Gyeongj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245-255
    • /
    • 2014
  • To collect the diatom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Hantzschia, bottom sediments were collected from 32 sampling sites in 23 sand-flat areas in the intertidal zone and river reaches of Nakdong River estuary, Korea. The sand sediments contained a total of 19 species of genus Hantzschia, Hantzschia amphioxys (Ehrenberg) Grunow, H. amphioxys f. capitata O. Muller, H. baltica Simonsen, H. distinctepunctata (Hustedt) Hustedt, H. elegantula (Østrup) Witkowski et al., H. longiareolata Garcia-Baptista, H. marina (Donkin) Grunow, H. pseudomarina Hustedt, H. virgata (Roper) Grunow, H. virgata var. gracilis Hustedt, H. virgata var. kariana Grunow, H. virgata var. leptocephala Østrup and H. weyprechtii Grunow, including six unconfirmed species. Eleven Hantzschia species are reported as new to Korea. Hantzschia virgata, its infraspecies, and neighboring speceis showed large morphological variations within a single species or among the closely related species. Hantzschia amphioxys, H. distinctepunctata, and H. virgata var. leptocephala prefer freshwater habitats in the upper reaches of the river, while others occurred mainly in the sand flats composed of coarse sand in the intertidal area. In the estuarine sediments, the Hantzschia taxa are classified to be typical sand-attached forms.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부착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Bond Strength Properties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 김명식;김기동;윤재범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89-99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ond strength properties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The arrangement of bars (vertical bar, horizontal upper bar, horizontal lower bar), condition of casting and curing (fresh water, sea water), type of fine aggregate (river sand, blended sand(river sand : sea sand = 1:1), and proportioning strength of concrete (210, 240, 270, 300, 330kgf/$\textrm{cm}^2$)are chosen as the experimental parameters. The test results(ultimate bond stress) are compared with bond and development provisions of the ACI Building Code(ACI 318-89) and proposed equations from previous research(which was proposed by Orangun et. a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ultimate bond stress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which arranged bar on the horizontal lower, used the blend sand, and was cast and cured in the fresh water are higher that other conditions. The ultimate bond stress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 SQRT {fcu }) }}3 2. From this study, rational analytic formula for the ultimate bond stress are to be from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금강 토사에 의한 SLURRY 마멸 (Slurry Wear of Sand from the Kum River)

  • 우창기;조견식;김대업;강동명;이하성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8-801
    • /
    • 2001
  • This research is about slurry wear of SM45C and SUS304, which using standard sand and KUM river s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ass loss rates of both standard sand and KUM river sand were linearly increased as increasement of time and velocity. 2. The average diameter of sand from relatively, less wear rate and portion of larger particles. 3. Wear resistance was linear with time and velocity of liquid jet regardless of type of sand. Also it was able to evaluate with the formula, HV2/E calibrated with n, the velocity index. 4. The wear surface in liquid jet experiment was smooth. The maximum wear depth was observed at the location, 2~4mm apart from the center in the condition of 90$^{\circ}$of collision angle 6mm of nozzle diameter, and 20mm of collision distance. The sectional shape in radial appeared as 'W' shape.

  • PDF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산사.해사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Pit Sand and Sea Sand as the Fine Aggregate in Concrete)

  • 윤상대;신의근;배수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0-45
    • /
    • 1993
  • Due to the recent shortage of river sand resulting from a rapid growth of concrete construction, sea sand and pit sand are increasingly used in stead. It is , however, well noted that non-washed sea sand used in reinforced concrete causes to corrode reinforcing steel and to incur cracks in concrete, and thus eventually result in damage to concrete. Moreover, many sources of pit sand in our country are randomly used without experimental research for its applicability to concrete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activate the usage of pit sand and sea sand for concrete construction to solve the recent shortage of river sand. Followings have been experimentally investigated : 1)Physical properties of pit sand and sea sand, 2)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on the weight of pit sand passing through No.200 sieve, 3)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on the chloride content of sea sand, 4) Compressive strengths of concrete using pit sand and sea sand, respectively, 5)Corrosion propagatio in reinforcing steel on the chloride concent, of sea sand, and 6)etc.

  • PDF

한국 하천 모래톱의 지형학적 의미와 효능 - 낙동강 하곡을 사례로 -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sand bars of major river valleys in the South Korea - case study on the Nakdong river valleys -)

  • 오경섭;양재혁;조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
    • /
    • 2011
  • 모래톱이 잘 발달함은 한국하천지형의 주요 특징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한국의 기후지형 환경과 관련하여 전국에 널리 분포하는 화강암 풍화 및 풍화층에서 다량의 모래를 하곡으로 공급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심하게 굽이치는 곳이 많고 곡폭의 변화가 커서 모래 이동의 병목구간이 많을 수 밖에 없는 하곡의 배열과 형상 때문이다. 그리고 하계 집중호우로 인해 하천의 유황 변동 폭이 크다는 점도 사력퇴를 잘 발달시키는 수리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모래톱들은 수분수지 불균형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면서 우수한 수질정화필터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모래톱들은 하천 어패류의 서식 산란 공간이 되고, 내륙에 수서성, 반수서성 식생이 군락을 이룰 수 있는 터전 역할을 한다. 모래톱은 자연생태계는 물론 인간 생활에 매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