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perception

검색결과 895건 처리시간 0.025초

물류아웃소싱 서비스에서 계약서 조항과 성과 간 관계에 대한 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의 인식 비교 분석 (Evaluating the perception of logistic firms and shipp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act term and service performance in logistics outsourcing service)

  • 김진수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1호
    • /
    • pp.151-178
    • /
    • 2016
  • 본 연구는 공정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화주기업과 물류기업 간 거래상 지위로 인해 발생하는 불합리한 계약 관행을 예방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호 이익실현을 위한 관계 구축과 긍정적인 파트너쉽 구축에 도움을 주고자 물류계약의 불공정 사례의 실제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을 대상으로 물류계약서 조항의 구체화와 파트너쉽 그리고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인식조사의 결과 분석과 함께 연구자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분석을 하였다. 인식조사의 분석결과, 물류기업은 물류계약서 조항 중 비용발생조항과 위험발생조항의 구체화는 화주기업과의 파트너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식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화주기업은 비용발생 조항의 구체화는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물류기업의 인식은 선행연구에서 실증 연구한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주기업의 인식은 선행연구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와 일치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화주기업의 인식 전환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향후 표준계약서 배포를 위한 정책마련에서 필수적으로 구체화 되어야 하는 조항과 선택적으로 구체화 되어져야 할 조항에 대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코로나19 확진자 개인정보 공개의 개인적, 사회적 수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onal and Social Accepta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of COVID-19 Confirmed Patients)

  • 오주연;서우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49-61
    • /
    • 2021
  •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우리 사회는 개인정보 공개에 대해 부정적인 또는 비협조적인 태도를 가진 확진자들로 인해 코로나19의 피해가 확산되는 경험을 해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진자의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용성의 개념을 개인적 수용성과 사회적 수용성으로 구분하여 그것들의 영향요인들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594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개인정보 관리역량에 대한 신뢰가 클수록 개인정보 공개에 따르는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이 낮을수록 코로나19 확진자의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효용성을 크게 인식할수록 개인정보 공개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수용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논의는 향후 코로나 19 뿐만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재난 상황에서도 국민들의 정보공개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보다 성숙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정책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동안전지도 제작을 위한 워크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Workshop Program for Child Safety Map Making)

  • 손동필;이경환;채한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7호
    • /
    • pp.109-117
    • /
    • 2019
  • Recently, child safety map making education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way to reduce crimes against children. In Korea,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organized a child safety map making education program in 2011. The program's manual was revised in 2013 and the Ministry implemented it as a project to promote the rights of women and children. Child safety map making education aims to raise a child's understanding of their neighborhood, to have voluntary control and normal consciousness as a local inhabitant, to be aware of wrong behavior and crime, and to be part of creating a safe urban environment. However, when compared to educational programs in other major developed countries, the child safety map making education program in Korea currently does not improve a child's awareness of their surroundings. In this workshop study, we proposed and ran a new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awareness of their environment based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the existing safety map educational program. The workshop was held for 4 weeks for 48 students from 5th and 6th grade at Osan Daeho Elementary School. We analyzed this new program's effects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hildren's recognition of safe and dangerous spaces revealed that their understanding of these spaces increased by 30.4% after the workshop. The safety-related factor in the mind map key concept increased from 0.94 to 4.94, indicating that the children's perception of neighborhood risk and safety factors improved.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children's coping ability in dangerous situations showed that their understanding of how to deal with dangerous situations increased by 11.3%.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cilities they could ask for help, such as police boxes and child safety guard houses, improved by 17.9%. Third, analysis of the effects of child safety map making education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ir neighborhood, their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in the neighborhood, and their neighborhood attachment showed that these levels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neighborhood improved by 6.0% after the workshop.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과 정신건강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matization and Mental Health of Registered Nurses)

  • 주정민;구애진;김성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35-142
    • /
    • 2020
  • 연구목적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과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정신 증상 위험의 관계를 확인하여 정신신체의학 연구의 임상 근거를 창출하고, 신체화 증상의 의미에 대해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 법 서울시 내 1개 상급종합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간호사 70명에게 자가기입형 도구(Perceived Stress scale, Fatigue Severity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Beck Anxiety Inventory, Symptom Checklist-90-Revision)를 사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 중 12.9%가 신체화 증상을 경험하였고 피로, 낮은 에너지, 생리통, 허리 통증이 나타났다. 신체화 증상과 정신적 스트레스 인지의 통계적 관련성은 없었으나 불안한 느낌이나, 자신감의 감소는 신체화 증상의 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신체화 증상이 심한 집단은 우울,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신체적 피로가 높은 집단은 정신적 스트레스 인지의 통계적 관련성은 없었으나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느끼거나 통제력이 감소되는 경험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피로 수준의 증가는 불안과는 관련이 없었고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화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 증상 중 강박과 적대감이 증가하였다. 선형회귀모형에서 스트레스, 우울, 불안은 신체화 증상을 39.3%, 신체적 피로 증상을 16.1% 설명하였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 문화에서 신체화 증상의 특징으로 스트레스 인지 증상의 감소, 우울과 불안 경험, 강박 및 적대감의 동반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신체화와 정신 증상은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상호관련성이 관찰되어 향후 중재 전략 마련에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조경공사에서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에 대한 조경기술자들의 인식 - 조경시공자와 조경설계자를 대상으로 - (Landscape Engineers' Perceptions of th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in Landscape Construction - Focused on Landscape Constructors and Designers -)

  • 오창송;심지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90-100
    • /
    • 2023
  • 현재 우리나라 건설안전 정책은 설계단계에서 안전성 검토를 유도하고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었지만, 조경분야는 현황 파악조차 못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우리나라 조경공사 건설사고 현황을 살펴보았고, 둘째 조경시공자와 조경설계자의 조경공종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에 대한 인식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1)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에 접수된 조경공사의 사고는 시설종류와 관련하여 민간이 발주한 공동주택공사에서, 조경공정과 관련하여 식재공에서 절반 이상 발생하였다. (2) 조경설계자가 조경시공자보다 조경공종 안전분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그중 안전태도, 작업위험, 작업참여, 작업압박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확보하지 못하였지만, 조경설계자들은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나 구체적인 행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3) 마지막으로, 조경시공자들은 설계단계에서 안전성 검토에 대한 중요성을 타 항목보다 낮게 인식하였다.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혼합가치 지향성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Blended Value Orientation on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 유한나;정의범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213-227
    • /
    • 2022
  • 사회적 가치 창출과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가 최근 국내외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연구자들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 향상에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주요한 요인이라는 점에 주목해 다수의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사회적 기업의 성과를 기업가의 주관적 인식에 기초하여 측정하고 있어 동일방법편의의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정신이라는 기업가의 개인적 특성이 사회적 및 경제적 성과라는 특수한 이중적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실증적 증거도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변수 간의 실증 규명을 위한 성과 측정의 객관성을 높이고, 사회적·경제적 성과를 단일한 것으로 보는 특성인 혼합가치 지향성을 포함하여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재검증한다.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혼합가치 지향성이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및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SK의 사회성과인센티브(SPC)에 참여한 국내 사회적 기업의 인식조사와 객관적인 성과 자료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하위 요인인 위험감수성이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대해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혼합가치 지향성을 향상시키며, 혼합가치 지향성은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혼합가치 지향성이 성과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의 주관성 측정과 동일방법편의의 극복을 시도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Knowledge and Awareness of Colorectal Cance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t King Abdulaziz University, Jeddah, Saudi Arabia: a Survey-Based Study

  • Imran, Muhammad;Sayedalamin, Zaid;Alsulami, Salhah S;Atta, Magdi;Baig, Mukhti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5호
    • /
    • pp.2479-2483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explored the knowledge and awareness about colorectal cancer (CRC)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of one of the leading universities in Saudi Arabia, along with the mode of information access.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sent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t the King Abdulaziz University, Jeddah, Saudi Arabia, among students of different faculties. The study questionnaire, containing 28 items, was adapted from surveys identified in the relevant literature. The CRC awareness questionnaire consisted of an awareness section (early CRC signs and symptoms, and risk factors) and a knowledge se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1.0. Results: A total of 525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jority were females (63.0%) and approximately half (56.8%) were medical student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82.3%) were aware of CRC, and 68% thought that CRC is a preventable disease. Regarding colorectal cancer screening tests, only one-third of students (33%) had actual knowledge, while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77.0%) thought that there are tests which help in early detection. Only 4% of the participants had a family history of CRC.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84%) thought that CRC is a disease that can be cured. Almost 50-60% participants had good awareness level regarding risk factors, and signs and symptoms. Regarding knowledge, participant responses varied for family history (52%), age (59%), chronic infection of the colon (72%), obesity and lack of exercise (66%). More than one-third of the students had received information material regarding CRC from their curriculum followed by social media (20.4%), and nearly 40% from other sources such as TV, hospital and mass media. Female participants had significantly better awareness in a few questions regarding CRC awareness as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students (p<0.001) in overall score of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CRC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gender-wise comparison. Conclusions: Knowledge and awareness of students about CRC were not up to the mark. Medical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had better knowledge in a few areas, but the overall situation is dismal.

전자상거래시 고객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In Electronic Commerce.)

  • 조현철;심규열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7권
    • /
    • pp.261-281
    • /
    • 2001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확산으로 인해 기존의 경제활동 방법과 거래수단, 거래대상과 범위는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인터넷 상거래가 제공하는 많은 혜택 측 비용효율성, 구매편리성, 소비시간의 경제성, 다양한 제품의 검색기능성 등온 종래 의 상거래에 대한 인식과 개념에 대한 일대 변혁올 가져오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과 전망은 조사방식과 조사기관 별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국내 쇼핑몰 업체수 의 변화를 보면 빠르게 진입과 퇴출이 발생하는 불안전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 로는 시간의 흐톰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및 기업 소비자간 전자상거래 시장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만은 틀림이 없는 현상이다. 그러나 인터넷이 생활의 일부가 된 지금 인터넷은 단지 시간과 공간을 초뭘하여 전세계로 열려있다는 가능성한을 제시할 뿐, 인터넷 쇼핑몰올 운영하는데 있어서 성과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 서 본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 이용시 인터넷 통신 환경, 상품/서비스에 대한 위험, 주문과정 에서의 편의성, 보안과정상의 위힘 요인이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 안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 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토해 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상대적 크기를 살펴본 결파 편의성이 이용자의 만족에 가장 큰 영향올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을 통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들은 인터넷 의 편리함이 고객만족의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위험과 보안상의 위헝울 어떻게 제거하 느냐의 문제도 인터넷 쇼핑몰 기업측면에서 중요시해야할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자율주행자동차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on Purchase Intention for an Autonomous Driving Car -Focusing on Extended TAM-)

  • 김해연;성동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81-1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을 적용하여 자율주행자동차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자동차 운전경험이 있는 이들 가운데 일반인 117명을 대상으로 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영향과 지각된 위험은 인지된 유용성과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의 경우는 인지된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구매의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이 자각하는 운전능력과 자동차 유희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연구가설에는 포함하지 않았으나 개인이 자각하는 운전능력이 인지된 유용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주목해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했을 때 자율주행자동차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사회적 영향과 혁신성 및 지각된 위험은 중요한 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인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예비 수용자들의 인식을 미리 예측해 볼 수 있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페경기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의 지질대사 및 골밀도에 대한 효과: 지속적 요법과 순차적 요법의 비교 (Efficacy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Lipid Profil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Continuous vs. Sequential Treatment)

  • 이창연;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01-106
    • /
    • 2000
  • Menopausal women experience urogenitory and vasomotor symptoms with increased risk of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which can be reduced by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owever unopposed estrogen therapy has been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endometrial hypeiplasia or canc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effects of continuous vs. sequenti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on lipid profile, bone mineral density and menopausal symptoms of postmenopausal women and to assess how they perceive the menopause and HRT culturally.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omen in menopause longer than 6 months, normal in the mam-mogram and Papanicolaou smear, cholesterol level lower than 190 mg/dL or triglyceride level lower 4han 500 mg/dL were treated with Srogen (conjugated equine estrogen 0.625 mg tablet) and Provera (medroxyprogesterone acetate 2.5 mg tablet) for continuous treatment(CT) or Cycloprogynova (Estradiol valerate 2 mg and Norgestrel 0.5 mg complex tablet) for sequential treatment(ST). They were evaluated for lipid profile, bone mineral density, menopausal symptoms, side effects and their perception of menopause and HRT. As results, total sixty-seven patients out of ninety-four enrollees were included in final analysis (33 in continuous therapy, 34 in sequential therapy).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in total cholesterol ($15.04\pm3.17$, p=0.0001), LDL ($19.72\pm3.27$, p=0.0001), and increase in HDL ($5.89\pm1.63$, p=0.0001). Bone minora) densit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HRT ($0.02\pm0.11$, p=0.0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of lipid profile between continuous and sequential therapy: Total cholesterol, $13.12\pm4.7\;vs.\;16.91\pm4.3;\;LDL\;20.53\pm4.1\;vs.\;18.93\pm5.12:HDL\;7.15\pm2.3\;vs.\;4.67\pm2.2,\;p>0.05$. Incidences of flush reduced from $75\%\;(CT)\;to\;3.13\%\;and\;71.88\%\;(ST)\;to\;9.35\%$. The change of endometrium and breast were found 3 (CT) and 5 (ST) women, respectively. Most of women recognized that HRT is necessary $(70\%)$ for postmenopausal period but did not understand well the cardiovascular protective effect. In conclusio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lipid profile, bone mineral density and menopausal symptoms in both continuous and sequential treatments with similar effica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