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 graph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1초

지각구조 해석을 위한 수정 그래프법을 이용한 초동 및 후기 시간대 위상의 주시 추정 (Traveltime estimation of first arrivals and later phases using the modified graph method for a crustal structure analysis)

  • Kubota, Ryuji;Nishiyama, Eiichiro;Murase, Kei;Kasahara, Junzo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2권1호
    • /
    • pp.105-113
    • /
    • 2009
  • 관측된 파형의 특성들을 해석하여 굴절파와 광각으로 도달한 반사파를 분석하면 결과물로 얻어지는 지각구조 모델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균일한 격자상의 그래프 이론에 기반한 파면법은 복잡한 구조에서도 주시와 파선경로를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초동만을 이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초동뿐만 아니라 후기 시간대에 도달하는 반사파와 굴절파 및 변환된 P파와 5파의 주시와 파선경로를 계산하기 위하여 다층 모델상에서 표현되는 slowness network 노드에 기반한 수정 파면법을 이용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알고리즘을 통해 모호면의 형태와 변환된 P파와 S파의 위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후기 시간대의 Pg파, Pn파 이후에 들어오는 강한신호의 파, 모호면에서 중첩된 PmP를 분석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해양-대륙의 전이대와 해령 및 해산에 러한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차원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수치모형을 통해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초동 주시만을 해석에 사용할 경우 대륙-해양 전이대와 해령 및 해산과 같은 모델에서 획득되는 도달파들과 파선경로들의 특성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 많은 해석상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제안된 기법을 통해 효과적인 해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Knowledge and Awareness about Breast Cancer and its Early Symptoms among Medical and Non-Medical Students of Southern Punjab, Pakistan

  • Noreen, Mamoona;Murad, Sheeba;Furqan, Muhammad;Sultan, Aneesa;Bloodsworth, Pet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979-984
    • /
    • 2015
  • Breast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globally but has an even more significant impact in developing countries. Pakistan has the highest prevalence among Asian countries. A general lack of public awareness regarding the disease often results in late diagnosis and poor treatment outcomes. The literacy rate of the Southern Punjab (Pakistan) is low compared to its Northern part. It is therefore vital that university students and especially medical students develop a sound knowledge about the disease so that they can spread awareness to others who may be less educated. This study therefore considers curr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the early signs of breast cancer amongst a study group of medical and non-medical university students of the Southern Punjab, Pakistan.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analysis of the university students was carried out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assess their awareness of breast cancer from March to May 2014. A total of 566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ut of which 326 were non-medical and 240 were from a medical disciplin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Graph Pad Prism Version 5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p<0.05. The mean age of the non medical and medical participants was 23 (SD 2.1) and 22 (SD 1.3) years, respectively. Less than 35% students were aware of the early warning signs of the breast cancer development.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risk factors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non medical ones, but on the whole was insufficient. Our study indicated that knowledge regarding breast cancer was generally insufficient amongst the major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75% non-medical and 55% medical) of Southern Punjab, Pakista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formulate an awareness campaign and to organize conferences to promote breast cancer awareness among students in this region.

객체 탐지 모델을 활용한 전기 아크 위험성 예측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of Electric Arc Risk using Object Dection Model)

  • 이규빈;김승연;안동혁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1호
    • /
    • pp.38-44
    • /
    • 2020
  • 전기에너지에 대한 높은 의존도 때문에 국내에서 발생하는 화재 중 전기화재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전기화재 4건 중 3건이 전선의 단락이나 접촉 불량에 의한 전기 아크에 의해 발생했다. 전기 아크란 절연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전류의 방전 현상으로 순간적으로 상당한 열을 내뿜는다. 아크에 의한 전기 화재를 줄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 아크 위험성 예측을 목표로 한다. 아크 감지기에서 아크 데이터를 수집하고 시간순대로의 아크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프로 변환하였다. 머신 러닝의 데이터 학습에 서로 다른 시계열 데이터의 수로 변환한 그래프들을 사용하였다. 생성된 학습 모델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테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에서 예측 시 사용하는 시계열 아크 데이터의 수가 20개일 때 예측률이 86%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Carrot Intake in the Prevention of Gastric Cancer: A Meta-Analysis

  • Fallahzadeh, Hossein;Jalali, Ali;Momayyezi, Mahdieh;Bazm, Soheila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5권4호
    • /
    • pp.256-261
    • /
    • 2015
  • Purpose: Gastric cancer is the third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mortality, with the incidence and mortality being higher in men than in women. Various studies have shown that eating carrots may play a major role in the prevention of gastric cancer. We conducted a meta-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rot consumption and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searched multiple databases including PubMed, Cochrane Library, Scopus, ScienceDirect, and Persian databases like Scientific Information Database (SID) and IranMedx. The following search terms were used: stomach or gastric, neoplasm or cancer, carcinoma or tumor, and carrot.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Comprehensive Meta Analysis/2.0 software. Results: We retrieved 81 articles by searching the databases. After consider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5 articl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odds ratio (OR) obtained by fixed effects model showed that a 26% reduction in the risk of gastric cancer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carrots) OR=0.74; 95% confidence interval=0.68~0.81; P<0.0001). According to funnel grap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sibility of a publication bias does not exist in this study.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of carrots and the risk of gastric cancer.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체계 정립을 위한 위험 지표인자의 검증 (Determination of Risk Indicators for Establishing the Health Evaluation System of Old Trees)

  • 장종펑;시아티엔티엔;강호철;강태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9-60
    • /
    • 2018
  • 노거수에 대한 보호 및 관리 강화는 유적의 보존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체계정립을 위한 위험 지표인자를 검증하여 위험에 처해 있는 노거수의 보호 및 관리에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지표와 상대적 중요도를 토대로 100점을 기준으로 변환점수를 계산하여 평가점수표를 작성하였고, 평가 점수표의 합계에 따라 5등급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실증을 위해 양동마을의 노거수를 사례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실내 측정을 통해 각 지표의 실제 위험도를 평가하고, 위험등급을 산출하였다. 양동마을 내 노거수의 건강성 평가 결과는 약 70%가 C등급으로 나타나 세심한 보호 관리가 필요하다. 연구결과, 5등급 점수표에 의한 등급별 판단 기준 설정 및 건강성 평가체계 수립은 양동마을의 실제상황을 반영할 수 있어 실용성과 과학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디젤 혼합물의 함량변화에 따른 열적 특성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tent Change of Biodiesel Mixture)

  • 김주석;고재선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32-544
    • /
    • 2023
  • 연구목적: 신규로 사용되는 바이오연료를 기존 연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위험성과 물성 변화를 열분석 방법(DSC, TGA)을 사용하여 화학 화재의 원인물질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평가할 방법과 그에 따른 물질의 위험성 관련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화재 원인 감식과 감정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실험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시차주사열량계(DSC :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에 의하여 피크의 위치, 모양, 개수,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열량 변화의 정량적인 정보를 통하여 열유속 차이(Difference in heat flux)를 측정하였고, 열중량분석(TGA : Analyzer)을 시행함으로써 특정한 온도에서 분해열 등에 의해 발생한 무게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열 유속의 그래프에서 물질의 끓는점과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 특성치 또는 분해에 필요한 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바이오디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많은 피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비점이 낮은 물질들이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분석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현재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디젤의 위험성을 다양한 물리·화학적 분석기법(DSC+TGA)을 통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질의 물적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본 연구의 시험방법별 차이의 비교와 실험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고 활용한다면 향후 위험물의 물성 연구와 물질 위험성 평가 연구에 있어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진단검사에서 측도들의 효과적인 표현: 그래프를 활용한 방법 (The Effect Measures for Diagnostic Test: A Graph Approach)

  • 조태경;손창균
    • 응용통계연구
    • /
    • 제26권1호
    • /
    • pp.15-22
    • /
    • 2013
  • 임상연구나 역학조사에서 $2{\times}2$ 분할표는 요약통계를 표현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이때 $2{\times}2$ 분할표의 셀값들은 위험비, 상대위험비, 또는 승산비 등과 같은 척도를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민감도, 특이도, 예측도, 우도비와 같은 진단 측도들 간의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MS-office 액셀을 이용한 방사형 그래프를 통해 시각화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안하였다. 몇 가지 수치적 예제를 활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Pressure Changes During Layer Cupping in a Skin Model

  • Shim, Dong Wook;An, Soo Kwang;Lee, Ha Lim;Lee, Jae Yong;Lee, Byung Ryul;Yang, Gi Yo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8권2호
    • /
    • pp.159-164
    • /
    • 2021
  • Background: Cupping is widely used in Korean medicine, but there is a risk of bacterial infection if the suction pump (used for inducing negative pressure) and the patients' skin are not separat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yer cupping by comparing the pressure changes between layer cupping and conventional cupping. Methods: To evaluate pressure changes the study was designed with 3 types of conditions applied to a skin model: (1) a Dongbang cup with a manual or motor suction pump (conventional cupping); (2) layer cupping with 2 Dongbang cups; and (3) layer cupping with a cup made by 3D printing and a Dongbang cup. Results: When a manual suction pump was used (conventional cupping), the pressure did not decrease steadily, and in 1 section there was an increase in pressure. When layer cupping was used, the pressure in the lower cup (which would be directly applied to the patient's skin), decreased steadily. Conclusion: In the pressure change graph for layer cupping in this skin model, the pressure in the lower cup (which would be placed on the patient's skin) steadily decreased, and reached equilibrium. Therefore, the layer cupping model may help to reduce the risks of bacterial infection.

Comparison of the Tongue-Palate Pressure Patterns According to the Tongue Pressur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Min-Ji Jo;Soo-Min Kim;Seong-Chan Park;Hye-Jin Park;Yun-Seon Lee;Tae-Woo Kim;Ji-Seon Hong;Eui-Yeon Lee;Sung-Hoon Kim;Sun-Young Ha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0-329
    • /
    • 2023
  • Background: Oral frailty has garnered considerable interest following its identification as a risk factor for physical frailty. The Korean oral frailty diagnosis criteria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extensive research on oral frailty diagnostic items and interventions. Our study performed an in-depth analysis of the tongue-palate pressure patterns in healthy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Of the 217 older adults aged ≥60 years who visited a senior center in Wonju, 205 participants who completed tongue pressure measurement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Pressure changes over time were recorded by instructing the participants to press their tongue against the hard palate with for 7 seconds per cycl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normal and abnormal tongue pressure (NTP and ATP, respectively) groups based on whether they achieved the target tongue pressure at least once; tongue pressure pattern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Furthermore, the average time taken to achieve the standard tongue pressure value was calculated for the participants in the NTP group and used to evaluate the decrease in tongue pressure in the ATP group. Results: Among the 205 participants, 40.5% had ATP. The tongue pressure graph revealed a gentle and consistent incline that was maintained even after achieving standard tongue pressure in the NTP group. The graph was more extreme in the ATP group, and the changes in the pressure type varied across individuals; the tongue pressure was only 48.4%, 40.7%, 31.9%, and 22.6% of the NTP in the participants in their 60s, 70s, 80s, and ≥90s, respectively (p<0.05). Conclusion: Tongue pressure weakness was observed in 40.5% of the healthy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Furthermore, ATP graphs were observed in the patients with tongue pressure weakness. Thus, activities improving the oral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d systematic oral rehabilitation programs should be devised to promote normal swallowing.

수소 폭발위험범위에 대한 IEC기준과 시뮬레이션 결과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IEC Standard and Simulation Results for Hydrogen Hazardous Distance)

  • 안승효;김은희;이선희;마병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26
    • /
    • 2024
  • 수소 등 인화성 가스를 취급하는 사업장은 KS C IEC 60079-10-1 기준에 따라 취급시설 주변을 폭발위험장소로 구분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그렇지만 동 기준은 가스의 종류, 실내·외 여부, 대기조건 등의 구분없이 누출특성값을 기준으로 폭발위험범위를 산정하므로 실효성 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를 대상으로 누출특성과 실외대기 조건에서 시뮬레이션(PHAST 및 HyRAM)을 통해 폭발위험범위를 도출하고 IEC 기준의 log-log 그래프에서 비교하였으며, 각 결과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조건에서 시뮬레이션 결과가 IEC 기준보다 0.6~3.8배 이상 적게 나타났으며, 동일한 누출특성값에서 풍속 및 대기안정도에 따라 폭발위험범위가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누출특성과 폭발위험범위에 대한 선형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수소 취급 사업장 등에서 폭발위험범위 산정 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그래프와 선형회귀식을 통하여 IEC 기준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용이하게 비교 및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적용할 경우 합리적인 폭발위험장소 구분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수소 폭발 등의 위험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