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 Priority Number(RPN)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FMEA에서 시간을 고려한 기대손실모형에 기초한 위험 평가 (Risk Evaluation Based on the Time Dependent Expected Loss Model in FMEA)

  • 권혁무;홍성훈;이민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4-110
    • /
    • 2011
  • In FMEA, the risk priority number(RPN) is used for risk evaluation on each failure mode. It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ree components, i.e., severity, occurrence, and detectability of the corresponding failure mode. Each of the three components are usually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past experience and technical knowledge. But this approach is not strictly objective in evaluating risk of a given failure mode and thus provide somewhat less scientific measure of risk. Assuming a homogeneous Poisson process for occurrence of the failures and causes, we propose a more scientific approach to evaluation of risk in FMEA. To quantify severity of each failure mode, the mission period is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system. If the system faces no failure during its mission period, there are no losses. If any failure occurs during its mission period, the losses corresponding to the failure mode incurs. A longer remaining mission period is assumed to incur a larger loss. Detectability of each failure mode is then incorporated into the model assuming an exponential probability law for detection time of each failure cause. Based on the proposed model, an illustrative example and numerical analyses are provided.

식료품제조업 전기설비의 전기화재방지를 위한 위험우선순위 분석 (Risk Priority Analysis for Preventing Electrical Fires in Food Manufacturing Electrical Facilities)

  • 이승구;김두현;김성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26
    • /
    • 2024
  •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method for risk assessment analysis aimed at preventing electrical fires with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itially, we provided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electrical equipment employed in various processes within a food manufacturing company in Chungcheongbuk-do. Subsequently, we categorized the components of each machine outlined in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and determined the priority of failure for each classified component. Upon implementing the model in the frying process of the food manufacturing company, specific components, including MC, motor, mixer heater, electric wiring, and terminal block, exhibit a risk priority number (RPN) of 40 or higher. This identified an electrical issue with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environment. Consequently, we propose a methodology to identify latent failure modes that could escalate into fires or systemic issues if not promptly addressed. It is essential to note that while the FMEA presented in this study may not immediately impact food manufacturing, its applicability extends to various workplaces.

FMECA 기법을 적용한 건설현장 거푸집작업의 통합 안전위험성 평가 및 대응방안 마련 (Integrated Safety Risk Assessment and Response Preparation on Construction Site Formwork Using FMECA Method)

  • 안선주;송상훈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48
    • /
    • 2012
  • Risk Assessment to list possible safety disasters and their probability and severity is the starting point for effective safety management on construction project site. However, the safety managers in owners, construction supervisors,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still have difficulties in judging the priorities of safety activities and preparing responses to each potential safety disast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systematic method in assessing safety risk prior to commencement with the agreement of stakeholders. FMECA(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was selected as a main assessment tool and it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projects and trades. Each risk is, firstly, evaluated with occurrence probability, possible loss and impacts to projects, and detections, and then risk priority number(RPN) is calculated. Subsequently, the managers of each stakeholder discuss the types, timing, and responsibilities of responses as a group decision-making process.

FMEA를 활용한 플랜트공사 위험성평가 방안 (A Study of Methods on Risk Assessment for Plant Construction using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 김호민;우인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1-90
    • /
    • 2013
  • To meet increased demand and lead to execution of successful overseas's plant construction, A prompt System is urgently needed to carries prevention and control of hazards associated with work related tasks and activities.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efficient and reliable safety management program to identify control measures for high risk activities by choosing and conducting proper risk assessment methodology that addresses Risk Priority Number(RPN) of adverse effects.

해외건설공사 EPC/Turnkey 계약조건 핵심 리스크 세부조항 도출 - FIDIC Silver Book 2017년 개정판 기준으로 - (Deriving Key Risk Sub-Clauses for EPC/Turnkey Contract Conditions for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 Based on FIDIC Conditions of Contract for EPC/Turnkey Projects, second edition 2017 -)

  • 홍성열;제재용;서성철;박형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01-110
    • /
    • 2022
  • 최근 세계 건설시장은 2025년까지 연 평균 4.8%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해외건설 리스크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국내 건설업체들은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Turnkey 사업에 집중적으로 참여하였지만, 계약적 리스크에 대응하지 못한 결과, 2013년부터 수조원대의 해외사업 손실을 입은 경험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EPC/Turnkey의 계약적 핵심 리스크 세부조항 도출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컨설팅엔지니어링연맹(FIDIC)에서 발행한 2017년 Silver Book 계약조건을 대상으로 핵심 리스크 세부조항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제건설계약 경험이 10년 이상인 30인의 전문가를 패널로 구성하여 FIDIC Silver Book 21개 조항 170개 세부조항을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62개의 주요 리스크 세부조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기법을 활용하여 RPN(Risk Priority Number)을 산정하였으며, Critical Risk 범위에 속하는 25개의 핵심 리스크 세부조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실무관점에서는 해외건설사업에서 입찰 및 계약체결 단계에서 주의 깊게 검토해야 할 계약조항들에 대해 참조할 수 있게 해주고, 학문관점에서는 해외건설 EPC/Turnkey 사업에서 사용되는 계약분야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연구해야 할지의 방향성과 기초적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퍼지 기반 다양한 모델을 이용한 회전익 항공기 착륙장치의 위험 우선순위 평가 (Risk Analysis for the Rotorcraft Landing System Using Comparative Models Based on Fuzzy)

  • 나성현;이광은;구정모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9-57
    • /
    • 2021
  • In the case of military supplies, any potential failure and causes of failures must be considered.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failure modes of a rotorcraft landing system to identify the priority items.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is applied to the rotorcraft landing system. In general, the FMEA is us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in engineering fields. Three elements, specifically, the severity, occurrence, and detectability are used to evaluate the failure modes. The risk priority number (RPN) can b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cores or the risk levels pertaining to severity, occurrence, and detectability. In this study, different weights of the three elements are considered for the RPN assessment to implement the FMEA. Furthermore, the FMEA is implemented using a fuzzy rule base, similarity aggregation model (SAM), and grey theory model (GTM)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The same input data are used for all models to enable a fair comparison. The FMEA is applied to military supplies by considering methodological issues. In general, the fuzzy theory is based on a hypothesis regarding the likelihood of the conversion of the crisp value to the fuzzy input. Fuzzy FMEA is the basic method to obtain the fuzzy RPN. The three elements of the FMEA are used as five linguistic terms. The membership functions as triangular fuzzy sets are the simplest models defined by the three elements. In addition, a fuzzy set is described using a membership function mapping the elements to the intervals 0 and 1. The fuzzy rule base is designed to identify the failure modes according to the expert knowledge. The IF-THEN criterion of the fuzzy rule base is formulated to convert a fuzzy input into a fuzzy output. The total number of rules is 125 in the fuzzy rule base. The SAM expresses the judgment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experiences of the experts performing FMEA as weights. Implementing the SAM is of significance when operating fuzzy sets regarding the expert opinion and can confirm the concurrence of expert opinion. The GTM can perform defuzzification to obtain a crisp value from a fuzzy membership function and determine the priorities by considering the degree of relation and the form of a matrix and weights for the severity, occurrence, and detectability. The proposed models prioritize the failure modes of the rotorcraft landing system. The conventional FMEA and fuzzy rule base can set the same priorities. SAM and GTM can set different priorities with objectivity through weight setting.

선체부착생물관리와 수중제거기술 (Ship's Hull Fouling Management and In-Water Cleaning Techniques)

  • 현봉길;장풍국;신경순;강정훈;장민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85-795
    • /
    • 2018
  • 국제해사기구는 선체부착생물의 위험성을 인식해서 2011년 '선체부착생물에 의한 외래위해종 이동 저감을 위한 관리 및 제어 가이드라인'을 공표하였고, 향후 이를 강제화하기 위한 국제 협약을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강제화 될 국제협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선체부착생물관리 관련 선도국 사례를 소개하고 수중제거에 대한 환경 위해성 평가 기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선체부착생물관리 관련해서 선도국인 호주와 뉴질랜드는 수중제거 시나리오 의거해 수행한 생물 및 화학 위해성 평가를 근간으로 선체부착생물관리규제안을 마련하였다. 자국 정부의 특별한 규정이 없는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국제해사기구의 선체부착생물 규정에 따라 수중제거를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인 경우 선체부착생물에 대한 국내법은 존재하지 않고, 해양 생태계법에 의거해서 약 17종의 해양생태게교란생물만 지정해서 관리하고 있다. 선박 선체에 대한 수중제거는 외래생물 확산 및 수생 환경으로의 화학 물질 방출을 수반하므로, 생물학적 위해성평가와 화학적 위해성평가를 별개로 수행한 후 이 둘의 평가를 종합하여 수중제거 수용 여부를 판단하였다. 생물학적 위해성평가는 수중제거과정에서 외래생물 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를 기반으로 40 code의 수중제거 시나리오 작성하고 위해성우선순위(Risk Priority Number, RPN) 점수를 산정하였다. 화학적 위해성평가는 수중제거 시 용출되는 구리(Copper) 농도를 기준으로 MAMPEC(Marine Antifoulant Model to Predict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모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C(Predict Environmental Concentration) 값과 PNEC(Predict No Effect Concentration) 값을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PEC/PNEC 비의 값이 1 이상이면 화학적 위해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R/V 이어호가 부산감천항에서 수중제거를 수행한다는 가정하에 위해성평가를 시범 실시한 결과, 생물학적 위해성은 RPN이 <10,000 이어서 저위험으로 판단되었으나, PEC/PNEC 비의 값이 1 이상으로 화학적 위해성이 높아 최종적으로 수중제거가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선도국 사례를 참조해서 수중제거기술을 개발하고 또한 국내 항만 현실에 맞는 선체부착생물규제 국내법을 제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Fuzzy-FMEA를 이용한 동적위치제어 시스템의 고장유형 우선순위 도출 (Prioritizing for Failure Modes of Dynamic Positioning System Using Fuzzy-FMEA)

  • 백경동;김성신;천성표;서흥원;이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74-179
    • /
    • 2015
  • 동적 위치제어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의 위험성과 신뢰성 평가에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를 적용하고 있으나, 해양 프로젝트가 가진 특징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진다. 1)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고장 데이터의 일부는 환경의 영향으로 인한 오작동이나 단순한 센서고장으로 인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불완전하고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FMEA의 세 가지 변수인 심각도(Severity), 발생빈도(Occurrence), 검출빈도(Detection)의 평가는 전문가 지식에 근거한다. 2) 전문가들의 주관적인 판단에 전적으로 의존할 경우 위험 요소들을 정밀하게 평가하기 어렵다. 3) 위험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중요도는 고려되지 않아 위험우선순위가 명료하게 표현되지 않는다. 4) 서로 다른 고장모드에 대해 동일한 위험 우선순위 값을 가질 경우 상대적인 중요도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존의 FMEA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Fuzzy-FMEA를 제안하고, 선박/해양 프로젝트의 동적 위치제어 시스템의 FMEA 문서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DP FMEA, DP FMEA 입증 시험서(DP FMEA Proving Trials)에 나타낸 전문가 지식을 퍼지 모델로 구현하여 FMEA 위험우선순위(RPN; Risk Priority Number)에 위험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포함시켰다. 제안한 방법은 해양 프로젝트의 동적 위치제어 시스템의 기계 및 전장 장비에 적용하여 기존의 FMEA와 비교하였다.

RCM에서 상관관계 계수를 이용한 치명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ity Analysis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in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 윤덕수;정광우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1-21
    • /
    • 2017
  • Purpose: The occurrence ranks of failure modes can come from the real failure but the severity ranks of failure modes require a highly subjective point of view of users. The severity ranks have to find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values. Methods: We found the optimal values by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ilure mode effects and the criticality number like RPN (Risk Priority Number) in RCM. Result: This paper shows the result that verified whether the weighted values on each failure effect in criticality number calculation is suitable to the actual failures or not. To get the verification, it used the 5 year data and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We proposed the more suitable values. Conclusion: This correlation analysis approach can provide guidance of RCM analysis across many industries and situations.

영남대학교병원의 환자안전을 위한 정도관리의 기초자료 분석 (Basic Data Analysis of the Quality Control for Patient Safety i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 오세안;김성규;예지원;강민규;이준하;이레나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2호
    • /
    • pp.112-117
    • /
    • 2015
  • 미국의학물리학회(AAPM) TG-100 위원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가이드 라인에 준하여 환자 안전에 대한 정도관리를 수립하기 위하여 영남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환자를 치료하는 중에 발생한 오류들을 중심으로 오류 유형을 분석하여, 환자중심의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때 환자 안전을 위한 정도관리의 가이드 라인을 정립하고자 한다.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하는데 있어서 일으킬 수 있는 오류들을 분석하여 오류를 일으키는 빈도와 오류가 일어날 때 환자 에게 미치는 심각성과 오류가 일어났을 때 감지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확률을 점수로 평가하고자 한다.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 곳으로는 CT 모의치료실, 치료계획실, 치료실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CT 모의치료실에서는 고정기구 사용의 오류가 위험중요지수의 값이 60으로 가장 높았고, 모의치료 정보입력의 오류가 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치료계획실에서는 선량계산 모델 선택의 오류가 위험중요지수의 값이 168로 가장 높았고, 환자의 치료 시작일 오류가 3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치료실에서는 테이블 Bar 오류가 위험중요지수의 값이 252으로 가장 높았고, 체중변화 오류가 190을 나타내었으며, 배게 오류가 2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