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ght atrial mas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3초

우심방에 침범한 간세포암을 PET/CT로 진단한 1예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Right Atrial Invasion Detected by PET/CT)

  • 김지훈;김은실;유지원;안석진;정준오;김소연;김영중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5호
    • /
    • pp.414-418
    • /
    • 2008
  • 간암의 정맥계 침범은 흔하나 심장 침범은 드물고 예후가 불량할 뿐 아니라 급사의 위험이 있다. 본 증례처럼 간세포암이 혈관계를 통해 우심방까지 전이된 경우 노작성 호흡곤란 같은 심부전에 의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어서 간세포암의 간외 전이를 의심하기는 쉽지 않고, 원발 병소를 찾기 위해서 여러 가지 진단적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F-18 FDG PET/CT는 기능적으로 암세포의 당대사 항진을 3차원적인 입체 영상으로 국소화하기 때문에 비침습적이며 경제적으로 간세포암의 침범 및 간외전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저자들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55세 남자 환자에서 PET/CT를 통해서 간세포암과 간세포암의 우심방 침범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받았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심낭 압전을 유발한 심장혈관종 - 1예 보고 - (Cardiac Tamponade Caused by Cardiac Hemangioma -A case report -)

  • 김병표;최용선;범민선;오봉석;장원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33-236
    • /
    • 2005
  • 심장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매우 드문 양성 종양이다. 본원에서는 상복부 및 흉부 통증을 주고로 내원한 65세 여자 환자에서 시행한 전산화 단층 촬영상 심낭 압전과 함께 우심방 종괴를 발견하고 수술절제를 시행하여 조직 검사상 유두상 내피세포 증식증을 가지고 있는 혈관종을 발견하였다.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lin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of Intracardiac Leiomyoma in a Dog

  • Yoon, Hyun-Woo;Kim, Keon;Park, Jun-Young;Kim, Min-Soo;Ju, Jae-Beom;Lee, Chang-Min;Suh, Guk-Hy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279-284
    • /
    • 2021
  • A 10-year-old spayed female Yorkshire terrier dog with a history of pleural effusion and dyspnea for a week was referred to the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Radiography revealed pulmonary edema and pleural effusion. A mass infiltrating the right atrial lumen and especially the supra-tricuspid valve was identified with echocardiography. The mass was diagnosed as intracardiac neoplasia. Symptomatic treatment was prescribed to alleviate the symptoms of heart failure. Despite symptomatic treatment, the patient died a few days later. After obtaining consent from the owner, necropsy and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were performed. The result was consistent with cardiac leiomyoma, and the diagnosis was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o the authors' knowledge, this case is the first report of intracardiac leiomyoma in a dog in Korea.

선천성 다발성 판막질환 1예 보고 (Congenital Polyvalvular Disease; Report of A Case)

  • 김정원;민경석;윤태진;서동만;윤소영;김영휘;고재곤;박인숙;김규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26-629
    • /
    • 2001
  • 선천선 다발성 판막질환(Congenital Polyvalvular Disease)은 결체조직의 이상으로 인해 한 개 이상의 심장판막에 비정상적 기형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그 원인은 아직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질환은 제 18번 또는 13∼15번 삼염색체 증후군에서 자주 관찰되며, 심실중격결손증, 동맥관 개존증 등의 심장기형을 동반하기도한다. 환아는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우심방내의 종괴가 발견되었고, 출생 후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삼첨판위의 혈종 또는 점액종이 의심되어 수술을 시행하였다. 종괴는 삼천판막의 전판막첨과 중격판막첨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었고 병리학적 검사에 불규칙하게 두꺼워지고 결절화되어 있었으며, 석회화와 골화의 소견을 보였다. 태아의 산전 심초음파 검사에서 판막에 석회화 소견이 관찰될 때 선천성 다발성 판막질환도 염두에 두어야 할 의미 있는 소견이라고 생각된다. 저자들은 선천성 다발성 판막질환 1예를 경험하여 이의 임상 및 조직소견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흉부 수술에 있어 수직액와 근육보존 개흉술의 적용 (Vertical Axillary Muscle Sparing Thoracotomy in Thoracic Surgery)

  • 원태희;성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1호
    • /
    • pp.42-46
    • /
    • 1995
  • Vertical axillary muscle sparing thoracotomy is newly appeared and excellent alternative method of standard posterolateral thoracotomy.It has many advantages compared to standard posterolateral thoracotomy , less postoperative pain, well preserved thoracic muscle strength, full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girdle and attractive cosmetic results. We performed vertical axillary muscle sparing thoracotomy in 36 patients from November 1993 to July 1994. The ages of the patients ranged from 6 months to 71 years[mean 45.1 years , and the patients consisted of 20 males and 16 females.The preoperative diagnosis were as follows : lung cancer in 17 patients, tbc destroyed lung in 7, bronchiectasis in 3, bullous emphysema in 3 and the others are mediastinal tumor, bronchogenic cyst, lung abscess, empyema, esophageal diverticulum, and CCAM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 The operative procedures were as follows : lobectomy and bilobectomy in 16 patients, segmentectomy in 4, wedge resection in 3, penumonectomy in 7, and the others were open biopsy, lobectomy with diaphragm excision, sleeve right upper lobectomy, decortication, mediastinal mass excision, and esophageal diverticulectomy. We had 6 complications : postoperative bleeding in 2 cases, operative wound infection, arrrhythmia[atrial fibrillation , Horner`s syndrome, hoarseness. The subcutaneous seroma occurred in 4 cases but did not require drainage and relieved within 4 weeks spontaneously. We concluded that vertical axillary muscle sparing thoracotomy could be done in most of all thoracic surgery with safety. Comparing to standard posterolateral thoracotomy vertical axillary muscle sparing thoracotomy has many advantages such as less postoperative pain, well preserved muscle strengths and good cosmetic results.

  • PDF

종양색전이 우심실까지 침범한 Wilms 종양 1례 (A Case of Wilms Tumor with Thrombi which Invaded the Right Ventricule)

  • 엄지현;원성철;유철주;양창현;김병수;황의호;박영환;서창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90-394
    • /
    • 2002
  • Wilms 종양은 소아기에 발생하는 고형중양 중 6- 7%를 차지하며 소아에서 신장에 발생하는 고형종양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진단시 정중연령은 3-5세이고 대부분 10세 이하에서 발견된다. 무증상성 복부종괴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하대정맥을 침범하는 경우는 4-10%에서 발견되며 우심방까지 침범한 경우도 0.5- 3%로 발견되나 우심실까지 침범한 경우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2년 7개월 된 남자 환아로 내원 2개월 전부터의 간헐적 혈뇨 및 복통을 주소로 내원 하였다. 내원 당시 이학적 검사상 심잡음이 청진 되었으며 심한 복부팽만과 늑골하 종괴가 촉지 되었다. 이에 시행한 복부 초음파, 전산화 단층촬영 및 심에코상 우측 신장에서 기시하여 하대정맥을 통해 우심방과 우심실까지 침범한 종괴가 관찰되었다. 수술 전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 받았으며, 항암 화학요법 후 20일째 수술을 하여 모든 종괴를 제거 후 조직학적 소견상 Wilms 종양을 확진 받았다. 환아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 및 항암 화학 요법을 진행 중이다. 저자들은 우측 신장에서 기원하여 하대정맥을 통해 우심방 및 우심실까지 종양색전을 형성한 Wilms 종양 환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우심실에 발생하여 우심방을 침범한 원발성 비호지킨씨 림프종 -1예 보고-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in Right Ventricle with Right Atrial Invasion -Report of 1 case-)

  • 박기성;안욱수;이섭;권오춘;고무성;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76-381
    • /
    • 2004
  • 원발성 심장 림프종은 원발성 심장 종양의 1.3%를 차지하는 드문 악성 종양으로, 절외성 림프종(Extronodal Lymphoma)의 한 형태로 심장 및 심장막에 발생한다. 급격히 진행하는 심부전, 부정맥, 심낭 삼출 및 심장 압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원발성 심장 림프종의 진단은 심초음파 및 흉부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 등이 이용되며, 종양에 대한 경정맥하 조직 생검과 심낭 삼출액의 세포학적 및 면역생화학 검사로 확진할 수 있다 원발성 심장 림프종은 진단이 지연되거나, 진단 시 이미 장기 내침범으로 인한 진행된 단계로 예후가 불량하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완전한 심장 종양의 절제가 필요하며, 수술 후 생존율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전신 항암 요법 및 방사선 요법이 보강요법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우심실 유입로와 방실구에 종괴의 광범위한 침윤이 있었고, 우심방 내로 침범이 되어 있어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하였다. 종괴의 조직생검으로 확진 후 항암요법 및 방사선요법으로 증상의 개선 및 종괴의 크기 감소 소견을 보였다. 저자들은 우심실에서 발생하여 우심방을 침범한 원발성 심장 비호지킨써 림프종을 경험하였으며 그 조기 결과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원발성 심장 림프종 : 1례 보고 (Primary Cardiac Lymphoma : 1 Case Report)

  • 배준호;이종석;김형준;김민경;박용호;홍그루;박종선;신동구;김영조;심봉섭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82-86
    • /
    • 2000
  • 심장의 원발성 림프종은 아주 드문 질환이며 예후가 나빠 진단후 2-3주 내에 사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저자등은 흔치 않는 심장의 원발성 림프종을 경험하면서 심장에서 종양이 발견되었을 때 신속한 진단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또한 치료 시기가 예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림프종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PDF

상대 정맥에서 발생한 점액성 평활근육종 1예 (Myxoid Leiomyosarcoma of the Superior Vena Cava Syndrome)

  • 정기환;이승헌;김병규;공희상;김제형;박상면;신철;심재정;인광호;김한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173-177
    • /
    • 2001
  • 38세 여자가 약 45일 전부터 발생한 안면부종과 경정맥 울혈 소견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단순 흉부 사진에서 우측 상전 종격동(superoanterior mediastinum)에 연성 조직 음영(soft tissue opacities)이 있었고, 상대정맥 조영사진에서는 상대정맥 내강에 분엽을 가지는(lobulated) 종괴가 관찰되었다. 상대정맥을 절개하고 상대정맥과 내경정맥의 접합 부위로부터 우심방 입구에 걸쳐 존재하는 종괴를 절제하였다. 육안적으로 종괴는 교양(gelatinous)의 점액성(myxoid) 형태를 띠고 있었고, 현미경적, 면역조직화학적 검사결과 상대정맥의 혈관벽에서 발생한 점액성 평활큰육종(myxoid leiomyosarcoma)으로 진단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linical Results of Different Myocardial Protection Techniques in Aortic Stenosis

  • Lee, Jung Hee;Jeong, Dong Seop;Sung, Kiick;Kim, Wook Sung;Lee, Young Tak;Park, Pyo W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3호
    • /
    • pp.164-173
    • /
    • 2015
  • Background: Hypertrophied myocardium is especially vulnerable to ischemic injury.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arly and late clinical outcomes of three different methods of myocardial protection in patients with aortic stenosi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25 consecutive patients (mean age, 65{\pm}10 years; 123 males) with severe aortic stenosis who underwent aortic valve replacement. Patients were excluded if they had coronary artery disease, an ejection fraction <50%, more than mild aortic regurgitation, or endocarditi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A, which was treated with antegrade and retrograde cold blood cardioplegia; group B, which was treated with antegrade crystalloid cardioplegia using histidine-tryptophan-ketoglutarate (HTK) solution; and group C, treated with retrograde cold blood cardioplegia. Results: Group A contained 70 patients (31.1%), group B contained 74 patients (32.9%), and group C contained 81 patients (36%). The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 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ification ${\geq}III$ (p=0.035), 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levels (p=0.042), ejection fraction (p=0.035), left ventricular dimensions (p<0.001), left ventricular mass index (p<0.001), and righ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p <0.001). Differences in cardiopulmonary bypass time (p=0.532) and aortic cross-clamp time (p=0.48) among the three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postoperative recover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the use of inotropes (p=0.328), mechanical support (n=0), arrhythmias (atrial fibrillation, p=0.347;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p=0.1), and ventilator support time (p=0.162). No operative mortality occurred. Similar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ong-term outcomes. Conclusion: Although the three groups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patient characteristics, both antegrade crystalloid cardioplegia with HTK solution and retrograde cold blood cardioplegia led to early and late clinical results similar to those achieved with combined antegrade and retrograde cold blood cardiopleg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