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odococcus equi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제주지역 망아지에서 Rhodococcus equi 감염증의 병리학적 특징 (Pathologic characteristics for the Rhodococcus equi infection in foals in Jeju)

  • 송경옥;양형석;손원근;김재훈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141-149
    • /
    • 2019
  • From 1996 to 2014, 14 foals from nine farms in Jeju were diagnosed with a Rhodococcus equi infection. Clinically, most foals showed characteristic respiratory signs, including hyperthermia and dyspnea. The seasonal occurrence of R. equi infection in foals was higher in summer, such as June (eight foals; 57.1%) and July (four foals; 28.6%), than in the other seasons. The major cases of R. equi infections were observed among two-month-old (eight foals; 57.1%) and three-month-old (three foals; 21.4%) foals. Histopathologically, bronchopneumonia, abscess, and granulomatous pneumonia were the most prevalent lesions in the lungs of foals. Colonic ulcers and submucosal abscesses were found in a foal. Some foals showed granulomatous lymphadenitis and abscesses in the mesenteric and other lymph nodes. According to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10 tissue samples of foals and nine R. equi isolates, the vapA gene was detected in 11/11 (100%) foal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the anti-VapA monoclonal antibody was applied to detect the R. equi VapA antigen in the organs of foals. R. equi VapA antigens were demonstrated in most lungs and some mesenteric and hilar lymph nodes of 13 foals. Isolated virulent R. equi VapA bacteria showed high sensitivity to gentamicin, quinolones, rifampin, and vancomycin.

Rhodococcus equi에 의한 망아지 감염증 (Rhodococcus equi Infections in Foals)

  • 송현호;문자호;강태영;손원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9-174
    • /
    • 2006
  • This work described 3 infection cases caused by Rhodococcus equi in foals between 3 and 5 months of age. The disease histories were not fully taken from local veterinarians. At least 1 sick foal has been treated with cephalothins followed by penicillins during approximately 1 week, but died without effectiveness and other foals rearing with the animal have been suffering from severe pneumonia which show high fever, laboring respiration, cough and/or nasal discharge. There were many abscessations into lungs of 2 foals in postmortem examination and another 1 sample was pus collected from abscess around the shoulder, indicating the osteomyelitis. Those bacteria were grampositive coryneform and were identified as a R. equi by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primers for R. equi-specific vapA gene. The pathogens were usually resistant to penicillin, ampicillin, amoxycillin/clavulanic acid, cefazolin, clindamycin, sulfamethoxazol/trimethoprim, kanamycin, and tetracycline, while were sensitive to ciprofloxacin, norfloxacin, orfloxacin, gentamicin, erythromycin, neomycin, and vancomycin. Some more foals with respiratory symptoms in 1 horse farm were treated by orally administration with erythromycin during 2 weeks. Because the combination of erythromycin and rifampin has recommended as the treatment for R. equi infections in foals, the local equine veterinarian can choose those antibiotics for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in future. However, another antimicrobial agent may be necessary if R. equi resistant to both agents is isolated.

Rhodococcus equi pneumonia in foals in Gyeonggi-do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solates from lesions and environment

  • Kim, Sue-Jung;Yook, Sim-Yong;Hwang, Jun-Suk;You, Myung-Jo;Jun, Moo-Hyu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39-143
    • /
    • 2008
  • We report here two cases of Rhodococcus (R.) equi-causing pneumonia of Throughbred foals in Gyeonggi-do in 2006. R. equi was isolated from the lung lesions of the dead foals, and from the feces and soils on the farms where the clinical cases of R. equi infection occurred. The isolates were characterized by biochemical properties,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vapA gene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In drug susceptibility test, erythromycin, gentamycin, vancomycin, and rifampin were found to be the most susceptible for all isol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 equi pneumonia may be endemic in the horse-breeding farms in inland Korea and the farm environment may be widely contaminated with virulent R. equi.

병원성 세균에 대한 탱자즙의 항균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Poncirus trifoliata Juic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이영근;차인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54-560
    • /
    • 2001
  •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하여 탱자즙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탱자즙은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Coryne-bacterium zerosis, Listeria monocytobenes, Micrococcus luteus, Rhodococcus equi 등의 그림양성세균 6종,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Vibrio alginolytics, Vibrio chloerae, Vibrio parahameolyticus, Vibrio vulnificus, Yersinia enterocolitica 등의 그람음성세균 7종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Bacillus subtilis, Coryne-bacterium zerosis, Listeria monocytobenes, Micrococcus luteus, Rhodococcus equi,Staphylococcus epidermidis, Citrobacter freundil및 Pseudomonas aeruginosa 등의 세균들에 대한 탱자즙의 최소억제농도는 2.5%였으며, Vibrio cholerae, Vibrio parahemoly-ticus, Vibrio vulnificus 및 Yersinia entero-colitica 등의 세균들에 대한 탱자즙의 최소 억제 농도는 1.25%이었다. 또한 최고 121$^{\circ}C$에서 15분간 각각 열처리한 탱자즙의 항균성은 열처리하지 않은 탱자즙의 항균성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어 열에 대하여 매우 안정하였다.

  • PDF

Production of 3-Hydroxypropionic Acid from Acrylic Acid by Newly Isolated Rhodococcus erythropolis LG12

  • Lee, Sang-Hyun;Park, Si-Jae;Park, Oh-Jin;Cho, Jun-Hyeong;Rhee, Joo-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5호
    • /
    • pp.474-481
    • /
    • 2009
  • A novel microorganism, designated as LG12, was isolated from soil based on its ability to use acrylic acid as the sole carbon source. An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of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classification by 16S rRNA homology showed that the LG12 strain belongs to Rhodococcus erythropolis. R. erythropolis LG12 was able to metabolize a high concentration of acrylic acid (up to 40 g/l). In addition, R. erythropolis LG12 exhibited the highest acrylic acid-degrading activity among the tested microorganisms, including R. rhodochrous, R. equi, R. rubber, Candida rugosa, and Bacillus cereus. The effect of the culture conditions of R. erythropo/is LG12 on the production of 3-hydroxypropionic acid (3HP) from acrylic acid was also examined. To enhance the production of 3HP, acrylic acid-assimilating activity was induced by adding 1 mM acrylic acid to the culture medium when the cell density reached an $OD_{600}$ of 5. Further cultivation of R. erythropo/is LG 12 with 40 g/l of acrylic acid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17.5 g/l of 3HP with a molar conversion yield of 44% and productivity of 0.22 g/l/h at $30^{\circ}C$ after 72 h.

근권에서 분리한 세균의 IAA 생합성 경로와 IAA 생성능과의 관계 (Interactions between Biosynthetic Pathway and Productivity of IAA in Some Rhizobacteria)

  • 김운진;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7
    • /
    • 2012
  • 대표적인 식물호르몬인 indole-acetic acid (IAA)를 생성하는 근권세균에서 IAA 생합성 경로와 생성량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IAA 생성능이 크게 다른 4개 균주를 선발하고 동정하였다. 특정 경로를 이용한 IAA 생합성능의 조사를 위해 주요 전구물질을 첨가하여 IAA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Tryptophan 의존적 경로에 의한 총 IAA 생성량은 Acinetobacter guillouiae SW5가 1.66 mg/ml로 가장 높았으며, indole acetamide (IAM)를 배지에 첨가했을 때 amidase의 활성은 분리균주 중 Rhodococcus equi SW9이 가장 높았다. IAA 생합성을 위한 또 다른 두 가지 경로의 전구물질인 indole acetonitrile (IAN)을 첨가하였을 때 IAA 생합성은 A. guillouiae SW5가 가장 높았으며, 이 때 nitrilase 보다는 nitrile hydratase의 활성이 높았다. 그러나 두 경로 중 IAN을 직접 IAA로 전환시키는 nitrilase의 활성은 Bacillus thuringiensis SW17이 균주들 중 가장 높았다. B. thuringiensis SW17은 4균주 중 IAA생합성능이 가장 낮았으며 tryptophan을 이용하여 생합성하는 IAA 중 상당량을 IAM을 거치는 경로를 통해 생성한다. Lysinibacillus fusiformis SW13은 IAA 생합성에 관여하는 nitrile 전환경로들을 비교적 고르게 이용하여 IAA를 생성하였다. Tryptophan 비의존적 경로를 통한 IAA 생합성은 A. guillouiae SW5에서만 소량 관찰되었다.

돈사 악취 저감을 위한 바이오필터 개발 (Development of Biofilter for Reducing Offensive Odor from Pig House)

  • 이승주;임송수;장동일;장홍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6-390
    • /
    • 2005
  • 국내에서 구입이 용이한 부숙수피와 펄라이트를 부피비 7:3으로 혼합하여 혼합충전재에 암모니아 산화균 Rhodococcus equi A3와 황 산화균 Alcaligenes sp. S5-5.2를 접종한 후, 개발한 양압식 상향류 방식의 바이오필터에 혼합충전재를 충전하여 돈사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에 대한 악취가스 제거성능을 실험을 실시하였다. 혼합충전재에 미생물을 접종한 후 72시간동안 순치하였을 때의 미생물 생균수와 2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을 때의 미생물 생균수가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한 바이오필터가 미생물의 생육조건을 유지하는데 성공했다고 판단된다. 또한 암모니아 가스의 유입농도는 평균 $22.8{\pm}5.2mgL^{-1}$이었고, 배출농도는 평균 $2.1{\pm}0.3mgL^{-1}$, 제거율은 90.8%이었다. 흐리고 황화수소의 유입농도는 평균 $2.7{\pm}1.2mgL^{-1}$이었고, 배출농도는 $0.5{\pm}0.2mgL^{-1}$, 제거율은 81.5%로 비교적 높았다. 이와 같이 부숙수피와 펄라이트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충전재를 충전한 바이오필터가 악취가스 제거율이 비교적 높고 가격이 저렴한 것을 고려해 볼 때, 기존의 다른 충전재을 이용한 바이오필터보다 개발한 바이오필터가 양돈가에서 이용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천년초 줄기의 항균, 항산화 및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Opuntia humifusa Stems)

  • 정복미;신미옥;김형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0-25
    • /
    • 2012
  • 본 연구는 천년초 줄기를 이용하여 항균, 항산화, 항암 등 천년초의 생리활성 효과를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년초 줄기의 추출물중 gram 양성균인 4가지 균주(Rhodococcus equi, Staphylococcus aureus, Clostridium perfringens, Bacillus cereus)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난 것은 메탄올과 핵산층이었으며, 4가지 균주 중 Bacillus cereus를 제외한 3종에 대해서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천년 초 줄기의 peroxynitrite($ONOO^-$) 제거능 측정결과 핵산층을 제외한 메탄올층, 부탄올층, 수층의 항산화 활성은 천년초 줄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가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 줄기 추출물의 각 용매별 DPPH 유리기 소거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능도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며, 부탄올>메탄올>수층>핵산층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 줄기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서 피부암 세포의 경우 $50\sim100{\mu}g/mL$의 농도에서 메탄올층과 핵산층이 수층과 부탄올층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간암세포인 HepG2의 경우 추출물 $100{\mu}g/mL$의 농도를 기준으로 메탄올층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핵산층>부탄올층>수층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장암세포인 HT-29 역시 메탄올층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핵산층>수층>부탄올층 순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세포인 MCF-7은 메탄올층>핵산층>수층>부탄올층 순으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천년초줄기의 항균, 항산화, 항암 효과가 높게 나타나 줄기를 활용한 항균제품이나 여러 가지 가공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부숙수피-펄라이트 혼합충전재의 돈사악취 제거 효과 (Effect of Biofilter Made of Composted Pine Tree Bark and Perils on Reducing Odor from Pig House)

  • 이승주;장동일;장홍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8-123
    • /
    • 2006
  • 국내에서 구입이 용이한 단일충전재(부숙수피, 펄라이트)와 혼합충전재(부숙수피와 펄라이트의 부피비 7:3)에 암모니아 산화균 Rhodococcus equi A3와 황 산화균 Alcaligenes sp. S5-5.2를 접종한 후, 양압식 상향류식의 lab-scale 바이오필터에 각각의 충전재를 충전하여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에 대한 악취가스 제거 성능을 평가 한 결과, 혼합충전재가 단일 충전재에 비하여 악취제거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암모니아의 경우 $180.0{\pm}20.0mg\;L^{-1}$ 농도로 유입되는 상황에서 $70.0{\pm}0.8mg\;L^{-1}$로 배출되어 제거율이 96.1%이었으며, 그리고 황화수소의 경우 $11.0{\pm}5.0mg\;L^{-1}$ 농도로 유입되는 상황에서 $1.0{\pm}0.4mg\;L^{-1}$로 배출되어 제거율이 91.1%이었다. 또한 이때의 미생물 생균수는 실험기간 동안 접종 초기 미생물 생균수와 거의 같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부숙수피와 펄라이트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충전재의 악취제거 성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것을 고려해 볼 때, 혼합충전재가 기존의 다른 충전재보다 대규모 축산농가에서 현실적으로 이용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