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me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35초

토양 물리적특성이 도라지 근경부패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on Rhizome Rot Incidence of Platycodon grangiflorus)

  • 이영한;최용조;박상렬;김민근;조수정;윤한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4-31
    • /
    • 2000
  • 도라지 재배지 32개 농가의 토양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고 근경부패병 발병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병율과 유효토심은 Y = -0.747X + 88.19($R^2=0.394^{***}$), 토양경도는 Y = 4.36X + 8.93($R^2=0.201^*$), 용적밀도는 Y = 104.7X - 80.99($R^2=0.295^{**}$), 점토함량과는 Y = 1.24X + 14.14($R^2=0.196^*$), 토양공극과 Y= -3.l1X + 215.9($R^2=0.220^*$), 미사함량과는 Y = -0.75X + 67.85($R^2=0.178^*$)의 상관을 나타냈다. 수량은 토심과 Y = 0.263X + 0.971($R^2=0.105^*$), 경도는 Y = -1.712X + 30.60($R^2=0.109^*$), 자갈함량은 Y= -0.9172X + 45.74($R^2=0.113^*$), 점토함량은 Y = -0.688X+32.74($R^2=0.158^*$), 공극률은 Y = 1.974X -93.19($R^2=0.231^*$), 미사함량 Y = 53.05X - 108.65($R^2=0.232^{**}$)의 상관이 있었다. 위의 결과 다년생 도라지 재배적지는 유효토심 1m 이상, 토양경도는 $5kg\;cm^{-2}$ 이하, 용적밀도는 $1.0Mg\;m^{-3}$ 정도, 공극율은 58~63%, 수분함량은 13~17%, 점토함량은 5~10%, 미사함량은 38~64%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성은 미사질양토가 가장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의 분포특성과 개체군의 위협요인 및 지속가능성 평가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the Population Sustainability, Factors Related to Vulnerability for a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 김영철;채현희;안원경;이규송;남기흠;곽명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03-320
    • /
    • 2019
  • 식물은 다양한 생물적 무생물적 환경요인과 상호작용한다. 한 가지 종이 소유하는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가 요구된다. 특별히 어떤 종이 멸종의 위협에 직면해 있는지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한두 가지의 정보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한다. 북방계식물로 우리나라가 분포의 남방한계에 해당하는 층층둥굴레는 2015년 12월까지도 멸종위협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최근 분포범위가 비교적 넓고 다수의 개체군이 보고되었음에도 개체군의 낮은 유전적 다양성으로 인해 취약하다고 평가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분포현황을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포지의 식생환경, 개체군의 구조, 식물계절학, 토양환경, 자가불화합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분포지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재의 위협요인을 평가하였다. 분포지는 일부 산지의 사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은 하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미사가 퇴적되는 공간에 위치하였다. 대부분은 안정적인 개체군 구조를 나타내었고 재정착하는 유묘가 존재하였다. 지상으로의 줄기 출현은 토양 중에 위치한 근경의 깊이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특히 유묘와 어린 개체는 토양 중에 얕게 근경이 위치하였다. 종자의 결실은 화분매개곤충의 방문과 수분의 성공이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각각의 분포지에서 관찰된 주요한 위협요인으로는 경작지의 확대, 건물의 신축, 제방과 도로의 건설이 있었다. 관찰된 위협요인에도 불구하고 넓은 분포범위, 270만 개체 이상의 전체 개체 수 및 재정착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는 개체군의 존재에 따라 급격한 감소와 절멸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세척처리에 따른 수삼 표면의 미생물 제어효과 (Reduction of Microbial Populations on the Surface of Fresh Ginseng by Various Washing Treatments)

  • 김희수;김은정;최정희;홍석인;정문철;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05-409
    • /
    • 2010
  • 현재 대부분의 수삼은 흙이 묻은 상태로 유통되고 있는데 소비자의 편이성을 고려하여 수삼을 세척한 후 포장한 상태로 유통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삼의 세척처리 방법에 따른 표면세척효과 및 미생물 감균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확 직후 수삼의 부위별 생균수는 5.85~6.63 log CFU/ea범위로 뇌두 부위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지근과 주근 순이었다. 부위별 곰팡이 수는 3.67~5.12 log CFU/ea범위로 뇌두 부위가 많았으며 주근과 지근은 거의 유사한 수준이었다. 수삼표면을 상압살수, 고압살수 및 솔질 처리를 하였던 바 고압살수처리에 의해 세척도가 증가하고, 표면 미생물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나 그 효과는 솔질처리의 경우보다는 낮았다. 세척한 수삼의 표면 미생물 수를 더 낮추기 위해 부가적으로 에탄올용액,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 과산화수소용액, 전해산화수, 오존수 및 중온수를 각각 처리하였던 바 전해산화수 처리 시 생균수와 곰팡이 수가 세척한 수삼에 비해 각각 0.79 CFU/ea, 0.51 log CFU/ea 정도 감소하여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서는 우수하였으나 처리구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한국잔디의 재배기간 중 생육과 무기성분 함량 변화 (Growth and Contents of Inorganic Nutrient during Cultivation of Zoysiagrass)

  • 배은지;이광수;박용배;이상명;양근모;허무룡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82-87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잔디의 재배기간 동안 생육 및 무기성분 축적량을 조사하여 한국잔디의 재배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한국잔디의 경우 다른 작물과 달리 시비와 잔디깎기 등과 같은 관리에 따라 생장 및 무기양분 축적에 차이가 있었다. 잔디깎기로 인해 부위별로 무기양분이 손실되는 양에 비해 축적되는 양이 적었다. 무기양분 축적 차이는 있었으나 K, Ca, Mg은 N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무기양분의 축적 순서는 N > K > P > Ca > Mg 이었다. 이와 같은 한국잔디의 무기양분 축적 및 흡수특성은 재배의 기초로서 시비량의 결정이나 토양관리 면에서 각 무기양분에 대한 요구성과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국잔디의 생육 및 밀도율 향상에 따른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생육시기별 무기양분 축적 파악을 통해 생육시기에 맞추어서 효율적으로 양분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그에 따른 기초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삼 신품종의 뿌리부위별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패턴비교 (Comparison of Ginsenoside Contents and Pattern Similarity Between Root Parts of New Cultivar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안인옥;이성식;이장호;이미자;조병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15-18
    • /
    • 2008
  • 인삼의 부위별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과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진세노사이드 단위함량과 총함량은 고풍이 각각 18.9 mg/g, 596 mg/g으로 가장 높았고 연풍, 금풍, 선풍이 뒤를 이었으며, 천풍은 각각 8.0 mg/g, 209.5 mg/g으로 고풍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부위별로 보면 뇌두의 진세노사이드 단위함량과 총함량은 연풍이 가장 높았으며, 동체와 지근 및 세근에서는 고풍이 높았다. 뿌리와 각 부위의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은 지근과 뇌두가 각기 0.95, 0.94로 높았으며 동체와 세근은 각기 0.78, 0.80으로 다소 낮았다. 지근에서 품종별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을 보면 천풍, 연풍, 고풍, 금풍이 각기 0.98, 0.98, 0.96, 0.98로 아주 높았으며, 선풍은 0.87로 다소 낮았다. 뿌리와 각 부 위의 진세노사이드 상관계수는 지근에서 0.843으로 가장 높았으며 동체, 세근, 뇌두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단위함량과 총 함량의 상관계수는 0.93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삽주의 어린순 채취(採取)회수 및 질소분시(窒素分施)가 생육(生育)과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Sprouts Cutting Times and Nitrogen Split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 장계현;안동춘;김동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41-246
    • /
    • 1996
  • 자생(自生) 상태(狀態)로 채취(採取) 이용되거나 수입(輸入)되어 사용되는 창출(蒼朮), 백출(白朮)의 기원식물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의 효과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여 생약(生藥)의 수입(輸入)대체 기술(技術)을 개발하고자 산채용 삽주싹을 무채취(無採取), 1회(回) 채취(採取), 2회(回) 채취(採取)후 질소질 비료를 전양기복(全量基服), 50-30-20%, 40-30-30% 분시(分施) 처리(處理)하여 채험(採驗)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생육(草長生育)은 어린싹을 채취(採取)함에 따라 철저히 억제되었으나 삽주 생육(生育)에는 1회 채취시(採取時)가 적절할 것으로 보였다. 2.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생육후기 질소 분시율이 많을수록 무채취 및 1회 채취에서는 증가하였으나 2회 채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어린싹 수양(收量)은 1회(回) 채취시(採取時) 평균(平均) $269{\sim}288kg/10a$ 수준이었으며, 2회(回) 채취시(採取時)는 싹의 수양(收量)이 적고 거칠어 이용성이 떨어졌다. 4. 근경(根莖) 수양(收量)은 무채취(無埰取)(전양기비(全量基肥)) 대비 어린싹 2회(回) 채취시(採取時)는 7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1회(回) 채취(採取) 및 질소(窒素), 50-30-20%로 분시(分施)한 처리(處理) 수양(收量)은 100% (471kg/10a) 증수되었다. 5. 삽주는 5월말${\sim}$6월초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이 완료되고 $6{\sim}7$월경 잠아로부터 신초가 재형성되어지므로 5월상 - 하순경에 절단자극에 의해 일찍 신초를 형성시키는 것이 근경수량(根莖收量)의 증대에 효과적인 기술로 사료되었다.

  • PDF

토성에 따른 삼백초 생육특성과 유효성분 함량 (Growth Characteristics and Available Componen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in Different Soil Texture)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윤태;김홍식;정승근;홍성수;황방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3-147
    • /
    • 2006
  • 삼백초(三白草) 재배에 있어서 토성에 따른 생육과 유효성분을 분석하여 안정적인 재배법을 확립하고 고품질 삼백초를 생산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삼백초의 절수와 엽수, 분지수는 토성 간 차이가 없었으며, 주당 줄기와 잎의 무게는 사양토가 가장 많고, 양토, 식양토, 사토의 순으로 무거웠다. 직경 5mm이하 뿌리는 토성 간차이가 없었으나, $5.1{\sim}10.9\;mm$의 굵기는 사양토, 양토 그리고 식양토에서 $437{\sim}465\;g$로 차이가 없었고, 11 mm이상은 식양토가 많았다. 건물율은 $19.1{\sim}20.8%$로 차이가 없었다. 나. 잎의 quercetin-glycoside 함량은 양토와 사양토에서 $219.3{\sim}222.4\;mg/100\;g$로 가장 높았으며, quercitrin>rutin>isoquercitrin>hyperin의 순으로 높았다. 줄기는 사토와 사양토가 각각 14.8 mg/100 g과 12.4 mg/100 g로 가장 많았으며, quercetin-glycoside 중 rutin이 가장 높았다. 다. 뿌리의 lignans 함량은 식양토, 양토, 사앙토, 사토의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으며, lignans 관련 물질 중 manassatin B가 가장 많았다.

멀칭 방법이 삽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ffected by Mulching Methods)

  • 박정민;강진호;정은호;송근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6-230
    • /
    • 2004
  • 재배 생력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멀칭 방법이 삽주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여 최적 멀칭방법을 확립하고자 무멀칭, 볏짚, 투명비닐, 흑색비닐, 이들 비닐과 왕겨를 혼용한 멀칭이 삽주의 어린싹, 초기 및 후기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삽주의 어린싹 무게는 투명 비닐을 이용한 멀칭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어린싹과 관련된 형질중에서는 엽수, 어린싹의 길이는 볏짚을 이용한 멀칭에서 가장 작았다. 2. 생장초기에는 볏짚을 이용한 멀칭시 엽수, 근수, 경수, 엽폭, 지상부 및 근경의 생체중이 가장 적었던 반면, 왕겨와 흑색비닐 혼합멀칭시 뿌리 관련 형질인 근수, 근경중 및 근중이 가장 많았다. 3. 생장후기에는 지온이 낮았던 생장초기의 멀칭효과가 고온기를 경과하면서 그 효과가 사라져 생장 및 형태적 형질에서는 멀칭처리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4. 단위면적당 수량과 상품 수량은 볏짚 단독멀칭과 왕겨와 흑색비닐의 혼합멀칭 에서 가장 높았다.

산후 우울증 치료에 대한 중의학의 최근 임상연구 동향 (A Review Study on the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김문정;이종남;홍진만;임정화;성우용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9-190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P.P.D) in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in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from 2004 to 2013. Search key words were "产后抑郁症", "Postpartum Depression", and we selected 27 studies except for non-clinical studies, insufficient number of studies, unrelated studies and tests on animals. Results: We selected 27 articles with following results: 1) One study of Jadad Quality Assessment Scale score showed 3 points, 4 studies showed 2 points and 22 studies showed less than 1 point. Overall,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low. 2) DSM - IV was frequently used as a diagnostic criteria and HAMD was mostly used as evaluation criteria. Diagnostic criteria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the same in HAMD and EPDS. 3) In TCM, there are various ways, such as herbal medicine, acupuncture, electro acupuncture, auricular acupuncture and/or massage to treat the postpartum depression. 4) The roots of Bupleurum falcatum Linn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Angelica gigas Nakai and Paeonia lactiflora Pall, the rhizome of Atractylodis macrocephala Koidz, the semen of Zizyphus jujuba Mill, the radix of Curcuma aromatica Salisb, the sclerotium of Poria cocos Wolf and the rhizomas of Cyperus rotundus L and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re mainly used in the herbal medicine. BaekHoi (GV20) and Yindang (Ex-HN3) are mainly used in acupuncture points. 5) Most of the studies showed effective results. Some of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s which were cured by western medicine. Other results were bett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Conclusions: Research on postpartum depressio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CM and all studies showed effective results in the study group patients. Therefore, with this study, we hope to activate more clinical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patient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꿩고비(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기내 포자체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부위와 배지구성물질 (Effect of explant parts and medium components on in vitro regeneration in Osmunda cinnamomea var. forkiensis)

  • 권혁준;신소림;이철희;김수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48-453
    • /
    • 2017
  • 본 연구는 꿩고비 포자체의 기내증식을 위한 배양재료 및 배지 구성물질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포자체의 유묘를 부위별로 나누어 활성탄 0.1%를 첨가한 1/2MS 배지에 다져서 배양한 결과, 근경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우수하였다. 곱게 다진 근경을 농도를 달리한 MS 배지에 배양한 결과, 1/8MS 배지에서 포자체 형성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2MS 배지에서는 배양한 절편이 모두 괴사하였다. 상기의 연구를 토대로 1/8MS 배지에 sucrose와 $NaH_2PO_4$의 농도를 조절하여 배양한 결과 sucrose 2%, $NaH_2PO_4\;50mg{\cdot}L^{-1}$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활성탄 0.1%를 포함한 변형 1/8MS 배지(sucrose 2%, $NaH_2PO_4\;50mg{\cdot}L^{-1}$, agar 0.8%, pH 5.8)에서 포자체 재생이 가장 왕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