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erberation Time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8초

동해 해역에서 해저면 잔향음 및 통계적 특징 (Ocean bottom reverberation and its statistical characteristics in the East Sea)

  • 정영철;이근화;성우제;김성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2-9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5년 8월, 동해 동남방 해역에서 수행된 해양 잔향음 빔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잔향음 데이터는 이동하는 연구선에 의해 예인된 LFM (Linear Frequency Modulation) 음원과 삼중선 배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신호처리 과정을 거친 이후 해저지형, 음원/수신기 수심, 음속구조에 따른 잔향음 준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추가로 해저 잔향음의 확률적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셀 평균화 알고리즘이 적용된 정규화 데이터가 활용되었고, 모멘트 추정기법을 통해 형상 모수를 추정하여 해저 산란체의 확률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모고로프 스미르노프 검정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레일레이 분포와 K 분포 확률에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해저 지형에 따른 잔향음의 거리종속 특성과 음원/수신기 수심에 따른 시간 지연 및 세기 변화를 확인하였고, 잔향음에서 레일레이 확률분포와 유사한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A Novel Approach for Blind Estimation of Reverberation Time using Gamma Distribution Model

  • Hamza, Amad;Jan, Tariqullah;Jehangir, Asiya;Shah, Waqar;Zafar, Haseeb;Asif, M.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529-536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unsupervised algorithm to estimate the reverberation time (RT) directly from the reverberant speech signal. For estimation process we us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which is a very well-known and state of the art method for estimation in the field of signal processing. All existing RT estimation methods are based on the decay rate distribution. The decay rate can be obtained either from the energy envelop decay curve analysis of noise source when it is switch off or from decay curve of impulse response of an enclosure. The analysis of a pre-existing method of reverberation time estimation is the foundation of the proposed method. In one of the state of the art method, the reverberation decay is modeled as a Laplacian distribution. In this paper, the proposed method models the reverberation decay as a Gamma distribution along with the unification of an effective technique for spotting free decay in reverberant speech.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technique is then used to estimate the RT from the free decays. The method was motivated by our observation that the RT of a reverberant signal when falls in specific range, then the decay rate of the signal follows Gamma distribution. Experiments are carried out on different reverberant speech signal to measure the accuracy of the suggested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better and the accuracy is high in comparison to the state of the art method.

원통형 구조 전자파 잔향실 내 모드 및 필드 분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ield & Mode Distributions in a Cylindrical Reverberation Chamber)

  • 김정훈;이중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31-43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전자파 장해 및 복사내성 측정에 사용되는 준전자파 무반사실의 대용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전자파 잔향실 중에서 원통형 구조 전자파 잔향실의 전자기장 특성과 모드 분포를 연구하여 원통형 구조 전자파 잔향실의 모드 수 계산법을 제시하였으며, 이것을 사용하여 체적이 동일한 원통형 전자파 잔향실의 모드수를 반지름과 높이 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체적이 동일한 직사각형, 직각 이등변 삼각형, 원통형의 전자파 잔향실의 필드 균일도를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를 이용하여 비교 해석하였다.

소형잔향실을 이용한 고속철도 차량 구조재의 투과손실 연구 (A Study to Estimate Transmission Loss of HST using a Small Scale Reverberation Chamber)

  • 김태민;김정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9-23
    • /
    • 2011
  • 고속철도 차량의 고속화, 경량화와 더불어 승객의 실내 소음을 줄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속철도 차량의 실내 소음을 줄이는 방법으로 차량 구조물의 차음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중요시 되고 있으나 투과손실 연구는 많은 경제적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형 잔향실을 이용하여 고속철도 차량의 투과손실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였다. 연구 결과 소형 잔향실을 이용한 차음성능 연구가 대형 잔향공간을 이용한 투과손실 결과 대비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중첩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에 기반한 지속파 능동 소나의 잔향 신호 제거 기법 (Reverberation suppression algorithm for continuous-wave active sonar system based on overlapping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 이석진;임준석;정명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3-27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지속파 능동 소나의 수신된 신호에서 잔향 신호를 제거하는 후처리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하며,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작은 도플러효과가 존재하여 목표물로부터 반사된 핑 신호가 잔향신호와 잘 구분이 되지 않는 경우를 목표로 하여 고안되었다. 본 알고리즘은 중첩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에 기반하고 있으며, 방사될 핑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후, 수신된 신호의 시간-주파수 영역 특성을 이용하여 잔향 신호를 제거하고 핑 신호를 복원한다. 알고리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다양한 진향 신호 에너지 환경에서 6 dB 가량의 신호대잔향비 성능 향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NT법을 이용한 실내 잔향곡선의 초기감쇠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 Shorten of Early Decay Time in the Reverberation Curve Using MINT)

  • 차경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7-4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실내 잔향곡선의 초기감쇠시간을 복수 채널을 사용하여 단축시켰다. 실내에서 수음된 음성신호는 MINT(Multiple - input / output INverse Theorem)에 기초하여 풀밴드와 서브밴드로 역필터링하였으며, 복수 채널의 적응필터는 LMS(least Mean Square)와 NLMS(Normalized 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잔향곡선에서 -20 dB까지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2개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였을 때 풀밴드 NLMS에서 약 1/3로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실제 음장의 전달함수를 사용한 주관평가에서는 80%의 청취자가 MINT에 의해 초기감쇠시간이 단축된 음성의 명료도가 향상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전자파 확산방식을 이용한 잔향실 내부의 필드 분포 해석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Analysis on Reverberation Chamber using Electromagnetic Diffusion Method)

  • 이광순;이중근;정삼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839-848
    • /
    • 2000
  • 본 논문은 전자파 장해 및 복사내성 측정에 사용되는 전자파 무반사실의 대용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전자파 잔향실의 전자기장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체적이 동일한 직사각형 및 삼각형 구조의 잔향실 내부 필드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Shroeder diffuser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방법을 사용하여 잔향실 내부의 필드 특성을 조사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두 가지 형태의 잔향실 내부에서 필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험공간 내의 75% 샘플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직사각형 잔향실의 경우 최대 $\pm$3dB, 삼각형 잔향실의 경우 최대 $\pm$4.4dB 내의 tolerance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직사각형 잔향실의 경우 편파에 대해서도 독립적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Reverberation Mapping of Nearby AGN with Medium-band and LSGT

  • Kim, Joonho;Im, Myungshin;Choi, Changsu;Hwang, Sungyong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34.2-34.2
    • /
    • 2020
  • Reverberation mapping is one of the best way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mechanism of broad-line regions around central supermassive black holes of active galactic nuclei (AGNs). It is usually used to estimate the masses of supermassive black holes. Although spectroscopic reverberation mapping has used to study dozens of AGN, spectroscopic monitoring campaign of large sample is expansive. Here, we present results of photometric reverberation mapping with medium-band photometry. We monitored five nearby AGN which were already studied with H-alpha emission line. Observation has been performed for ~3 months with ~3 days cadence using three medium-band filters installed in LSGT (Lee Sang Gak Telescope; 0.43m). We found 0.01-0.08 magnitude variations from differential photometry. Also time-lags between continuum light-curves and H-alpha emission line light-curves are found using JAVELIN software. The result shows that our study and previous studies are consistent within uncertainty range. In the near future, medium-band photometric reverberation mapping seems useful to study large AGN samples. We will present preliminary result of following study that report new time lag measurement of six AGNs in the similar way.

  • PDF

빔공간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에 기초한 잔향에서의 지속파 능동 소나 표적 탐지 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arget detection method of the continuous-wave active sonar in reverberation based on beamspace-domain multichannel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 이석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89-49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잔향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낮은 도플러 주파수를 가지는 지속파 능동 소나의 반사음이 수신될 때, 빔공간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을 이용하여 이를 탐지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속파 능동 소나에서 수신기가 이동하는 경우 도플러 효과로 인하여 잔향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며, 이 경우 낮은 도플러 주파수를 가지는 표적 반사음은 잔향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본 논문에서 고안한 알고리즘은 빔공간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을 이용하여 수신음의 다채널 스펙트로그램을 주파수 기저, 시간 기저, 빔형성기 이득으로 분석한 후, 적절한 기저를 선택하여 반사음의 주파수, 시간, 그리고 방위를 추정한다. 해당 알고리즘의 동작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호대잔향음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고안한 알고리즘이 주파수, 시간, 그리고 방위를 추정할 수 있으나 낮은 신호대잔향비 환경에서 성능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향후 기저 선택 알고리즘을 수정함으로써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서라운드 오디오 시스템을 위한 가상음원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인공잔향기 (Artificial reverberation algorithm to control distance of phantom sound source for surround audio system)

  • 심환;서정훈;성굉모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47-450
    • /
    • 2005
  • Multi-channel artificial reverberation algorithm to control perceived direction and distance is described in this paper. In conventional algorithms using IIR filters, reverberation time is the only parameter to be controlled. Moreover, since the convolution-based conventional algorithms apply only same impulse responses, but not considering sound localization, it was not realistic enough. The new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utilizes early reflections segmented according to the azimuth from which direct sound comes and controls perceived direction by panning the direct sound, and controls perceived distance by adjusting Energy Decay Curve (EDC) of reverberation and gain of the direct sound. In addition, the algorithm enhances Listener Envelopment(LEV) to make late reverberation incoherent among chann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