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s Circulation System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6초

물질흐름지표를 이용한 한국(韓國)의 지속가능한 자원관리(資源管理) 평가 연구(硏究) (Evaluation for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In Korea using Material Flow Indicators)

  • 김유정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6호
    • /
    • pp.43-49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원생산성(및 원재료 생산성), 물질순환이용율, 디커플링팩터 등의 3가지 지표를 산정하는 것을 통해 국내 경제활동과 자원소비간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 탈물질화 정도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자원생산성은 2000년 1.32백만원/톤에서 2007년 1.61백만원/톤으로 22% 증가하였으며 2000년~2007년간 자원생산성 연평균증가율은 2.88%로 나타났다. 원재료물질투입량은 국내물질소비량(DMC)의 약 73%~76%를 차지하고 있으며, 원재료생산성은 2007년 2.11백만원/톤으로, 2000~2007년간의 연평균증가율은 3%로 나타났다. 배출된 폐기물은 재활용 및 에너지화를 통해 경제계로 순환되는데 국내 물질순환이용율은 2000년 10.9%에서 2007년 15.6%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5.3%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전년대비 증가율의 변화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경제활동과 자원소비량 간의 디커플링이 발생하여 탈물질화로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원순환형(資源循環型) 사회(社會) 구축(構築)을 위한 고품질(高品質) 순환골재(循環骨材) 생산(生産) 공정(工程) 개발(開發) 연구(硏究) (Development of High quality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from Waste Concrete for Resource Circulation System)

  • 김관호;조희찬;안지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3호
    • /
    • pp.27-35
    • /
    • 2009
  • 부존자원의 대량소비로 인해 자원고갈 문제와 이에 따라 발생하는 폐기물처리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현재의 사회구조를 자원소비형에서 자인순환형으로 변화하기 위할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 발생 폐기물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건설폐기물에 관심이 급증하고 있지만 종합적인 처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의 가장 많은 단일 물질인 폐콘크리트의 자원순환을 위한 고품질 순환골재 생산 공정 연구를 진행하였다. 굵은 골재, 잔골재, 시멘트 등이 수화물의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폐콘크리트를 가열전처리 방법과 Autogenous mill을 이용한 단체분리를 통해 고품질의 콘크리트용 순환 굵은 골재를 회수하였으며, 파분쇄 후 생산된 폐콘크리트 미분은 sink/float 분리를 통한 비중분리 특성을 파악한 후 간섭침강분리를 통해 정제과정을 거쳐 고품질의 콘크리트용 순환 잔골재를 생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체 건설폐기물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폐콘크리트를 고품질 순환골재로 재활용 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처리 공정을 개발하였다.

건축형 LID 시스템에서 Planter Box를 활용한 저류 및 유출저감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storage and runoff reduction characteristics using planter box in architectural LID system)

  • 김병성;김재문;백종석;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3호
    • /
    • pp.219-226
    • /
    • 2019
  •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수재해 문제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방안인 저영향개발(Low-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에 관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LID 기법은 도시 내의 우수유출수를 저감시켜 다양한 수재해 문제를 친환경적으로 제어하고, 도시 개발 이전의 물순환 체계로 회복시키는 기술이다. 하지만 LID 기법에 관한 정량적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류형 LID 기술인 식생화분(Planter Box)의 Curve Number (CN)값을 산정하여, 물순환(침투, 유출, 월류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Planter Box의 물순환 분석에 관한 강우강도 시나리오(60.4 mm/hr, 83.1 mm/hr, 97.4 mm/hr, 108.2 mm/hr)는 부산시 확률강우강도표(2010)를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건물화분3(BPB-3)과 거리화분3(SPB-3)에서 우수저류율이 각각 43.5%~52.9%, 33.4%~39.0%로 나타났다. 또한 BPB-3에서 CN값은 평균 83이 산출되었고, Horton 침투능 곡선식 적용에 따른 우수유출효과는 17%~96%로 나타났다.

파키스탄 밀-옥수수 재배시스템의 기후변화를 반영한 필요수량 산정 (Projecting the climatic influences on the water requirements of wheat-rice cropping system in Pakistan)

  • 미르자 주네드 아흐메드;최경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6-486
    • /
    • 2018
  • During the post green revolution era, wheat and rice were the main crops of concern to cater the food security issues of Pakistan. The use of semi dwarf high yielding varieties along with extensive use of fertilizers and surface and ground water lead to substantial increase in crop production. However, the higher crop productivity came at the cost of over exploitation of the precious land and water resources, which ultimately has resulted in the dwindling production rates, loss of soil fertility, a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terioration of both surface and ground water bodies. Recently, during the past two decades, severe climate changes are further pushing the Pakistan's wheat-rice system towards its limits. This necessitates a careful analysis of the current crop water requirements and water footprints (both green and blue) to project the future trends under the most likely climate change phenomenon. This was done by using the FAO developed CROPWAT model v 8.0, coupled with the statistically-downscaled climate projections from the 8 Global Circulation Models (GCMs), for the two future time slices, 2030s (2021-2050) and 2060s (2051-2080), under the two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s): 4.5 and 8.5. The wheat-rice production system of Punjab, Pakistan was considered as a case study in exploration of how the changing climate might influence the crop water requirements and water footprints of the two major crops. Under the worst, most likely future scenario of temperature rise and rainfall reduction, the crop water requirements and water footprints, especially blue, increased, owing to the elevated irrigation demands originating from the accelerated evapotranspiration rates. A probable increase in rainfall as envisaged by some GCMs may partly alleviate the adverse impacts of the temperature rise but the higher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e predicated rainfall patterns is worth considering before reaching a final conclusion. The total water footprints were continuously increasing implying that future climate would profoundly influence the crop evapotranspiration demands. The results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the irrigation water availability in order to sustain and improve the wheat-rice production system of Punjab, Pakistan.

  • PDF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by Multiplex PCR Method

  • 허문석;김재환;박선희;우근조;김혜용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1150-1156
    • /
    • 2004
  • The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labeling system on raw materials has been in Korea since March 2001, an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derived foods since July 2001. Therefore, we designed a multiplex PCR method to ascertain the validity of the labeling system and to monitor the status of circulation for genetically modified maize (GM Maize). Five lines of GM Maize (GA21, TC1507, Mon810, NK603, and Bt176) were used, and specific primer pairs were designed to detect each line. Using this method, the different lines of GM Maize were monitored from raw products and processed foods in Korean market. Some of the maize processed foods and raw materials were shown to contain more than one foreign gene. This method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detecting five different GM Maize in a single reaction.

조달물류에서 환경친화적 활동이 조달물류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vironment-conscious Procurement Logistics Activity and Logistics Strategy on Logistics Performance)

  • 박석하;이성호;김제숭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1-82
    • /
    • 2007
  •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esources circul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nd an environment-conscious activities are required at the same time. These activities should be also implemented in logistics area. Especially, green procurement activities in inbound logistics is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early phase of an environment-conscious activities. In this paper, we are to suggest the directio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effects, and cause of influences of environmental procurement logistics activities on logistics performance by environmental logistics strategy and by the size of enterprises, and by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manufacturing enterprises with concurrent reviews of literature and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meaning of this study would be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rs of environment-conscious procurement logistics activities on logistics performance different from existing logistics studies.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정책방향 고찰 (Review of Policy Direction and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 이명진;이정호;전성우;홍현정
    • 환경정책연구
    • /
    • 제9권2호
    • /
    • pp.157-18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지역의 미래 시기별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에 대한 정책적 사항을 제안하였다. 연구지역은 낙동강 본류를 포함하는 경상북도 칠곡군, 구미시 일부 및 대구시 북구 일부이며, 최종 연구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시기별 강우량, 함양률,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함양량 및 함양률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불명확한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미래 기후변화 예측 결과를 반영한 연구지역 내 지하수 함양률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산정하고, 기존 산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향후 기후변화를 고려한 국내 지하수 수자원의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연계모델의 고도화 방안 및 현장조사가 추가된다면 보다 정량적으로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수자원으로 이용이 증가될 지하수의 전반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체제 구축을 위한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 PDF

순환 패션 시스템을 위한 테크놀로지제이션의 전략적 특성 (Strategic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zation for Circular Fashion System)

  • 김미경;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1039-1057
    • /
    • 2022
  • The fashion system has been criticized for relying on a linear economy to reduce short-term costs and increase profits. Meanwhile, the circular economy strives to expand the value chain through a closed loop for companies, society, and the environment by separating consumption from resources.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strategic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ical measures that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are trying to innovate into a sustainable fashion system on the basis of the circular economy concept. Thus, we conducted case studies by dividing the value chain of the fashion system into design, production, and consumption to identify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circular fashion system from a technologization perspective that incorporates technological values. First, design appeared to strengthen emotional durability, design and process with circulation in mind, and fashion product digitalization. Second, production manifested itself as material development for the new fiber economy, improvement of non-environmental processes, and customization of demand-driven, responsive production. Third, consumption was the spread of the environmental consumption culture through the sharing economy platform, the realization of a virtual wearing experience to prevent rapid disposal, 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sustainable consumption.

지속 가능한 자원관리를 위한 자원 전과정에서의 효율적 자원이용 촉진 (Promoting Resources Efficiency in the Life-cycle of Resource for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 이일석;강홍윤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2호
    • /
    • pp.69-78
    • /
    • 2015
  • 자원수급의 불확실성이 점차 고조되고 있는 글로벌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효율적인 자원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자원관리 선진국들은 국가차원에서의 지속가능한 자원관리를 유도 및 지원하기 위해 자원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법제도 마련 및 산업구조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한편, 국내의 경우 자원수급과 관련하여 국제환경에 매우 민감한 산업구조를 나타냄에 따라 국가 주도의 자원효율성의 획기적인 제고 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자원 전과정에서의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단계별 추구해야 할 방향과 구체적 실천방안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 전과정을 크게 생산계와 순환계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단계별 국내 자원관리의 현황 및 문제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성 및 구체적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재제조품의 온실가스배출 저감효과 산정 표준화를 위한 핵심 요소 도출 (Key Elements for Standardizing the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Induced by Remanufactured Products)

  • 김남석;배국표;노재학;강홍윤;황용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3권2호
    • /
    • pp.62-72
    • /
    • 2024
  •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자 지난 2015년 파리협정에서 지구 온도상승을 2℃보다 아래로 유지하고 나아가 1.5℃ 아래로 억제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구 온도는 계속 상승 중에 있다. 실질적으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전략으로 선진국들은 순환경제 실현을 제시하고 있으며, 세부 이행 방법으로는 재사용, 재제조, 재활용, 에너지 회수 등이 있다. 그중 재제조는 다른 자원순환 방법보다도 고부가가치 및 탄소중립 달성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재제조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제조에 의한 온실가스배출 감축효과 산정에 관한 2020년 이후의 최근 연구동향과 온실가스를 포함한 환경영향 평가 국제 표준 및 환경성적표지제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재제조품의 온실가스배출 저감효과 산정 표준화를 위한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