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 Collaboration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31초

Customized Resource Collaboration System based on Ontology and User Model in Resource Sharing Environments

  • Park, Jo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07-114
    • /
    • 2018
  • Recently, various wearable personal devices such as a smart watch have been developed and these personal devices are being miniaturized. The user desires to receive new services from personal devices as well as services that have been received from personal computers, anytime and anywhere. However, miniaturization of devices involves constraints on resources such as limited input and output and insufficient power. In order to solve these resource constraints, this paper proposes a resource collaboration system which provides a service by composing sharable resources in the resource sharing environment like IoT. the paper also propose a method to infer and recommend user-customized resources among various sharable resources. For this purpose, the paper defines an ontology for resource inference. This paper also classifies users behavior types based on a user model and then uses them for resource recommendation. The paper implements the proposed method as a prototype system on a personal device with limited resources developed for resource collaboration and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evaluating user satisfaction.

중소기업의 기술협력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A Study on the Effect of Technology Collabora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From the Views of Resource-based Theory)

  • 봉강호;박재민;김재영
    • 기술혁신연구
    • /
    • 제26권3호
    • /
    • pp.98-128
    • /
    • 2018
  • 본 연구는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협력 성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당 이론적 관점에서는 기술협력의 동기가 기술적 자원의 보완성이 강조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의 기업군을 기술수준에 따라 하이테크(high technology), 미드테크(medium technology), 로우테크(low technology) 등 세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기술협력 파트너를 기술적 자원 및 역량을 기준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협력관계에 따른 혁신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수준별 그리고 협력 파트너에 따라 기술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이테크 중소기업의 경우 대학과의 협력에서 긍정적으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음에 반해 미드테크의 경우 대학과 대기업과의 협력, 로우테크의 대학과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과의 협력에서도 유의한 성과를 보였다. 비록 기술 수준별로 기술협력의 유의한 성과가 선호체계를 가진다는 흥미로운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이 단년도 횡단면 자료에 근거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해석 될 필요가 있다.

지속가능한 패션산업활성화를 위한 리디자인 협업 사례분석 (A Case Study on Re:Design Collaboration for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Revitalization)

  • 김민지;이규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4호
    • /
    • pp.136-153
    • /
    • 2022
  • The fashion industry is considered hazardous and a threatened to the environment. Due the negative perception, the industry should focus on sustainability as a social role. Therefore, several redesign fashion collaborations mainly focusing on renewing abandoned resources are already in place.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3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Redesign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companies, Redesign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 heterogeneous industries, and Redesign collaboration between the fashion industry & non-profit organizations. Those 3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using 4 criteria. First, to establish and maximize the sustainable brand image and to be the best examples in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organization endeavors to collaborate with various industries, institutions, and designers. Second is the expansion of the customer network through the spread of value consumption. Third is the creation of new values through a resource circulation structure. This means that the resource circulation structure system helps the partners to minimize on wastage. Fourth is the spread of de-boundary lines and the possibility of brand growth.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industries, the boundaries of materials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started to blur, thus expanding the continuous brand growth potential. The study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redesign collaboration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cases. Further, the study looks forward to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s processed by redesign fashion collaborations in future research.

MBTI-based Recommendation for Resource Collaboration System in IoT Environment

  • Park, Jo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5-43
    • /
    • 2017
  • In IoT(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ers want to receive customized service by users' personal device such as smart watch and pendant. To fulfill this requirement, the mobile device should support a lot of functions. However, the miniaturization of mobile devices is another requirement and has limitation such as tiny display. limited I/O, and less powerful processors. To solve this limitation problem and provide customized service to users, this paper proposes a collaboration system for sharing various computing resources. The paper also proposes the method for reasoning and recommending suitable resources to compose the user-requested service in small device with limited power on expected time. For this goal, our system adopts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to analyzes user's behavior pattern and recommends personalized resourc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zation. The evaluation in this paper shows that our approach not only reduces recommendation time but also increases user satisfaction with the result of recommendation.

로봇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협업 프레임워크 (The Collaboration Framework for Robot Application)

  • 이창묵;권오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9-891
    • /
    • 2009
  • 로봇 어플리케이션의 활용도는 사회 전반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로봇들의 컴퓨팅 자원 차이로 인해 한 로봇에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이 주변장치와의 자원 공유를 통해 자원의 제약을 극복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프레임워크는 협업에 요구되는 공통 구성 요소들을 정의한다. 또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로봇과 다양한 장치의 예시를 통해 프레임워크의 동작 흐름을 보인다.

  • PDF

차세대분야 특화계획에 의한 산학협력 및 인력양성 -지능형 로봇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a 'Specialized Plan for Next Generation' Program -The field of Intelligent Robot)

  • 이상호;유승남;경종수;한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126-2133
    • /
    • 2009
  • 세계적으로 로봇산업이 거대시장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많은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로봇산업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대한민국에서도 정부의 전략적 주도하에 다양한 분야에서의 로봇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개발 프로그램들은 산학협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기업의 애로기술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적인 지원 및 교육을 추구하는 인력양성 및 산학협력 확산 연계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산학협동 프로그램의 잠정적인 성과에 대해 논하였다. 우선 차세대 특성화 계획에 포함된 각각의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로봇 개발과 관련한 인력양성의 성과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지속적이고 바람직한 발전을 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웹데브 기반의 스마트폰 협업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WebDAV-based Smartphone Collaborative Application)

  • 이홍창;김보현;이명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80-690
    • /
    • 2011
  • 협업 어플리케이션은 원거리의 사용자들이 비동기적인 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상의 작업 공간을 이용하여 협업서비스와 환경을 지원한다. 일반적인 협업 어플리케이션은 데스크톱 기반의 개인용 컴퓨터를 바탕으로 사용자들 간 자원 공유, 비동기 통신 등의 협업 기능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개인용 컴퓨터 기반의 실행 환경은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유연한 협업 상황을 지원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웹데브 기반으로 협업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다양한 작업장을 이용한 자원 공유, 그룹 통신과 같은 효과적인 협업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협업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터치스크린/터치슬라이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환경에서 높은 사용자 접근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협업 서버의 응답을 손쉽게 분석하도록 정의된 협업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웹데브 기반의 협업 라이브러리를 개발하여 스마트폰 협업 어플리케이션이 협업 서버와 효과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스마트 단말기 상의 기능적 지원을 위한 협업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f Collaboration Service Model for Supporting Functional Resources in Smart Device)

  • 송수미;윤용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5호
    • /
    • pp.161-170
    • /
    • 2015
  • 스마트 단말기가 확산되면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 또는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스마트 환경이 연구되고 있다. 스마트 환경에서 다수의 단말기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필요성이 요구된다. 즉, 스마트 환경은 단말기 간의 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 협업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사양 단말기의 재사용성을 높여 단말기 효율성 증대와 개인의 스마트 공간 구현에 도움이 되고자 데이터 콘텐츠 자원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기능 및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기능적 지원까지 가능한 새로운 단말기 협업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스마트 단말기 협업 서비스라고 정의하였으며, 전체적인 서비스 모델 구성을 설계하였다. 제안한 새로운 단말기 협업 서비스 모델을 증명하기 위하여 연락처 교환 및 카메라 기능 지원이 가능한 스마트 협업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단말기 협업 서비스 모델이 등장할 것을 기대하며, 이러한 서비스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용하지 않았던 단말기까지 재사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고, 개인 스마트 공간 구성에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상황인지 기반 디바이스 협업 시스템 (A Context-Based Device Collaboration System in Ubiquitous Environments)

  • 박원익;박종현;김영국;강지훈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3호
    • /
    • pp.86-96
    • /
    • 2008
  • 유비쿼터스 환경은 보이지 않는 수많은 장치들과 소프트웨어들이 서로 연결되어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사용자와 서비스간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리소스가 제한적인 모바일 단말기의 특성상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지 기반의 실시간 디바이스 협업 시스템을 개발하여 주변의 다양한 디바이스 리소스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제한적인 리소스 문제를 해결하는 상환인지 기반의 디바이스 협업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특징은 변화하는 사용자의 선호도 및 리소스 정보를 동적으로 재구성하여 상황에 맞는 맞춤형 디바이스 리소스의 공유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Vendor's Opportunism in the Collaboration between Buyer and Vendor

  • Hwang, Sunil;Suh, Eung-Kyo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5호
    • /
    • pp.53-63
    • /
    • 2017
  • Purpose - The main featur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of the vendor's opportunism on the collaboration context between buyer and vendor from the buyer's viewpoint with resource dependence theory. A number of studies on opportunism have focused on opportunistic definitions and its theoretical studies. Other research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overnance in ways that reduce opportunism. We think that this research could be filled with the lack of previous stud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order to accomplish research purpose, four hypotheses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framework of resource dependence theory and previous studies. And we have used 599 survey data jointly collected by Korea Productivity Center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o verify these hypothesis, we have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3.0. Results - The vendor 's opportunism decreases as mutual trust with buyer becomes higher. However, as the degree of dependence of buyers on vendor resources increases, vendor's opportunism increases. And monitoring vendor's capacity has a moderating effect with buyer resource dependency to vendor's opportunism.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 there are two options to decrease vendor's opportunism. Increasing mutual trust or decrease dependence on vendor's resources. Also, monitoring suppler's capacity could be effective when vendor's resource dependence is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