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istant Cultivar

Search Result 37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athotype Classification of Plasmodiophora brassicae Isolates Using Clubroot-Resistant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 Kim, Hun;Jo, Eun Ju;Choi, Yong Ho;Jang, Kyoung Soo;Choi, Gyung J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5호
    • /
    • pp.423-430
    • /
    • 2016
  • Clubroot diseas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i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in Brassica crops worldwide. In this study, the pathotypes of 12 Korean P. brassicae field isolates were determined using various Chinese cabbage including 22 commercial cultivars from Korea, China, and Japan, and 15 inbred lines. All P. brassicae isolates exhibited the typical clubroot disease on non-clubroot resistant cultivar, indicating that the isolates were highly pathogenic. According to the reactions on the Williams' hosts, the 12 field isolates were initially classified into five races. However, when these isolates were inoculated onto clubroot-resistant (CR)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several isolates led to different disease responses even though the isolates have been assigned to the same race by the Williams' host responses. Based on the pathogenicity results, the 12 field isolates were re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pathotype 1 (GN1, GN2, GS, JS, and HS), 2 (DJ and KS), 3 (HN1, PC, and YC), and 4 (HN2 and SS). In addition, the CR cultivars from Korea, China, and Japan exhibited distinguishable disease responses to the P. brassicae isolates, suggesting that the 22 cultivars used in this study, including the non-CR cultivars, a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host groups based on their disease resistance. Combining these findings, the four differential hosts of Chinese cabbage and four pathotype groups of P. brassicae might provide an efficient screening system for resistant cultivars and a new foundation of breeding strategies for CR Chinese cabbage.

In Vitro Wheat Immature Spike Culture Screening Identified Fusarium Head Blight Resistance in Wheat Spike Cultured Derived Variants and in the Progeny of Their Crosses with an Elite Cultivar

  • Huang, Chen;Gangola, Manu P.;Kutcher, H. Randy;Hucl, Pierre;Ganeshan, Seedhabadee;Chibbar, Ravindra 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6호
    • /
    • pp.558-569
    • /
    • 2020
  • Fusarium head blight (FHB) is a devastating fungal disease of wheat (Triticum aestivum L.). The lack of genetic resources with stable FHB resistance combined with a reliable and rapid screening method to evaluate FHB resistance is a major limitation to the development of FHB resistant wheat germplasm. The present study utilized an immature wheat spike culture method to screen wheat spike culture derived variants (SCDV) for FHB resistance. Mycotoxin concentrations determined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correlated significantly (P < 0.01) with FHB severity and disease progression during in vitro spike culture. Selected SCDV lines assessed for FHB resistance in a Fusarium field disease nursery in Carman, Manitoba, Canada in 2016 showed significant (P < 0.01) correlation of disease severity to the in vitro spike culture screening method. Selected resistant SCDV lines were also crossed with an elite cv. CDC Hughes and the progeny of F2 and BC1F2 were screened by high resolution melt curve (HRM) analyses for the wheat UDP-glucosyl transferase gene (TaUGT-3B)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to identify resistant (T-allele) and susceptible (G-allele) markers. The progeny from the crosses were also screened for FHB severity using the immature spike culture method and identified resistant progeny grouped according to the HRM genotyping data. The results demonstrate a reliable approach using the immature spike culture to screen for FHB resistance in progeny of crosses in early stage of breeding programs.

수도 내병 내충 내냉성품종 육성에 관한 연구 IV. 흰등멸구에 대한 저항성 품종의 묘령별ㆍ얼자별 약충생존율 변이 (Studies on the Breeding of Rice Cultivar Resistant to Disease, Insects and Cold Weather IV. Variations of Nymphal Survival Rate of Whitebacked Planthopper According to Seedling Ages and Tillers within a Plant in Resistant Rice Cultivars)

  • 허문회;신경옥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119
    • /
    • 1986
  • 수도에서 흰둥멸구 저항성 유전자 Wb ph 1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N22와 Wb ph 2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ARC 10239에서 묘령별ㆍ얼자별로 흰등멸구 약충생존율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N 22와 ARC10239는 다 같이 묘령에 따라 약충생존율에 차이가 있었으며 그 경향은 품종에 따라 달랐다. \circled1 N 22는 7일 묘부터 30일 묘까지 약충생존율이 매우 높고, 40일 묘에서 급격히 낮아지며, 생육후기에 다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2 ARC 10239는 7 일 묘에서 약충생존을이 매우낮고, 그 후 점차 높아지다가 40일 묘에서 다시 낮아져 생육후기까지 아주 낮은 경향을 보였다. 2) N22와 ARC10239는 다 같이 얼자간에 약충생존율의 차이가 있었고, 주간의 약충생존율이 낮은 묘령에서 얼자간 약충생존율의 차이가 적었으며, 얼자보다는 주간의 약충생존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 PDF

Fine Mapping of Zenith Derived Rice Stripe Virus Resistance Gene, Stv-b

  • Sais-Beul Lee;Jun-Hyun Cho;Nkulu Rolly Kabange;Sumin Jo;Ji-Yoon Lee;Yeongho Kwon;Ju-Won Kang;Dongjin Shin;Jong-Hee Lee;You-Cheon Song;Jong-Min Ko;Dong-Soo Par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63-63
    • /
    • 2020
  • Rice stripe virus (RSV) disease is one of the major constraints in rice production, transmitted by the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Laodelphax striatellus). Upon RSV infection, plants develop typical symptoms, which include chlorosis and weakness of newly emerged leaves, white and yellow spots, stripe on leaves, and necrotic and wilting leaves, resulting in plant growth inhibition, oxidative damage that may culminate in programmed cell death (PCD) and plant death in severe epidemics. Although RSV-resistant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Stv-a, Stv-b, and Stv-bi, were mapped using various resistant varieties, one RSV-resistant gene, OsSOT1, has been identified so far. In this study, we used the rice cultivar Zenith, known to carry Stv-b, to investigate novel RSV-genes through fine mapping. Therefore, we crossed Zenith (Donor parent, RSV resistant) with Ilpum (Recurrent parent, RSV susceptible) to fine-map using a BC2F2 population of 2100 plants. Chromosome segment introgression lines that were heterozygous at a different region were selected, two types of heterozygous lines showed an heterozygous genotype between Sid2 and Sid75 to Indel9 and RM6680. Interestingly, we identified qSTV11Z region harboring Stv-b, covering about 171-kb region between the InDel markers Sid75 and Indel8. The localization of qSTV11Z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hat could be used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determination of genetic resources in rice breeding.

  • PDF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집적 고품질 중만생 벼 '신진백'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s Pyramided in Mid-Late Maturing Rice Cultivar 'Sinjinbaek' with High Grain Quality)

  • 박현수;김기영;백만기;조영찬;김보경;남정권;신운철;김우재;고종철;김정주;정종민;정지웅;이건미;박슬기;이창민;김춘송;서정필;이점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63-276
    • /
    • 2019
  • '신진백'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벼흰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원을 다양화하고 저항성 유전자 집적을 통해 저항성이 향상된 고품질 중만생 벼 품종을 개발하고자 육성되었다.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Xa3와 xa5를 가지고 있는 '익산493호'(품종명 '진백')를 모본으로 하고 최고품질 품종이면서 Xa3를 보유하고 있는 '호품'과 야생벼 O. longistaminata에서 유래한 저항성 유전자 Xa21를 자포니카 우량계통 '수원345호' 유전배경으로 도입한 근동질 계통 'HR24670-9-2-1'간 F1을 부본으로 삼원교배하여 육성되었다. 계통육성과정 중 벼흰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생물검정과 분자표지를 활용한 저항성 유전자 도입여부 확인을 통해 저항성 유전자가 집적된 계통을 선발하여 생산력 검정시험과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을 거쳐 개발되었다. '신진백'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 8월 19일로 '남평'에 비해 4일 늦은 중만생종으로 간장이 70 cm로 '남평'보다 6 cm 작은 단간 내도복 품종이다. '신진백'은 우리나라 최초로 Xa21 저항성 유전자가 도입되었으며, 세 개의 저항성 유전자 Xa3, xa5, Xa21이 집적된 실용적인 재배품종으로 병원성이 강한 K3a 균계를 포함하여 우리나라 벼흰잎마름병균에 광범위 고도 저항성을 반응을 나타냈다. 또한 도열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도 강한 복합 내병성으로 친환경 재배 적성을 갖추고 있다. '신진백'은 '남평'과 비슷한 수량성을 나타냈다. '신진백'은 쌀의 외관품위가 좋고 밥맛이 양호하며 도정 특성이 우수하여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품종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였다. '신진백'은 새로운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Xa21를 열악형질 수반없이 재배품종으로 도입하였으며 세 개의 저항성 유전자를 집적함으로써 벼흰잎마름병균에 광범위 고도 저항성을 확보한 복합 내병성 품종으로 벼흰잎마름병 발병상습지 재배에 적합하며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향상을 위한 육종사업에 활용되고 있다(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7273호; 2018. 6. 25.).

벼 중생 내병 다수성 신품종 "눈보라" (A New Medium Maturity Glutinuous Rice Variety "Nunbora" with High Yield and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 하기용;고재권;김기영;남정권;고종철;김보경;백만기;정진일;백소현;김정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44-347
    • /
    • 2008
  • "눈보라" 품종은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에서 2006년도에 육성한 내병 다수성 찰벼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중부평야 및 호남평야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1일로 신선찰보다 2일 정도 늦은 중생종이다. 2. 찰벼로 쌀알은 백도가 높고 도정율은 신선찰벼와 비슷하며 알카리 붕괴도가 높아 호화가 잘되는 편이다. 3. 도열병 및 흰잎마름병 레이스 $K_1{\sim}K_3$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 줄무늬 잎마름병 멸구 및 매미충류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4. 유묘 내냉성은 강하며 신선찰벼보다 출수지연일수는 길지만 임실율은 약간 높은 편이다. 5. 쌀 수량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5.34 MT/ha로 신선찰벼보다 4% 증수되었으나 이모작 재배 및 만식재배에서는 남평벼보다 8 9%감수되었다. 6. "눈보라"는 중부이남 평야지 및 북부중산간지, 충남이남 평야지 1모작답에 알맞은 품종이다.

비병원성 Pseudomonas solanacearum 접종에 의한 담배내 항균물질생성과 Peroxidase 및 Polyphenoloxidase의 변화 (Produc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 and Changes in Peroxidase nd Polyphenoloxidase Activities in Tobacco Plants Inoculated with Avirulent Isolate of Pseudomonas solanacearum)

  • 이영근;민태기;박원모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03-209
    • /
    • 1987
  • Pseudomonas solanacearum의 병원성균주 및 비병원성균주를 담배의 뿌리에 접종하여 그 잎과 줄기, 뿌리에서 P. solanacearum과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물질을 분리하였다. 담배즙액을 TLC plate에 발전시킨 결과 비병원성균주에 접종된 담배에서는 $R_f$ 0.6 부근에서, 병운성균주에 접종된 담배에서는 $R_f$ 0.9 부근에서 각각 항균물질을 분리할 수 있았다. 그러나 고압살균된 담배즙액배지에 병원성균주 및 비병원성균주를 3일간 배양한 배양여액에서는 항균물질의 생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비병원성균주 및 병원성균주에 접종된 담배잎에서는 무처리 담배에 비하여 peroxidase와 polyph-enoloxidase의 활성이 높았으나, 그 줄기와 뿌리에서는 효소활성의 차이가 없었다. 비병원성균주와 병원성균주로 처리된 담배 사이, 감수성품종인 BY4와 저항성품종 NC82 사이에도 두 효소의 활성과 동위효소형태의 차이가 없었다.

  • PDF

브로콜리 유기재배를 위한 검은썩음병 저항성 품종 선발 (Resistant Cultivar Screening to Black Rot for Organic Cultivation of Broccoli)

  • 전지영;윤철수;용영록;정은경;이상준;장연;이재은;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36-40
    • /
    • 2009
  • 본 연구는 꽃 양배추의 유기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원예적 특성이 우수하면서 검은썩음병에 저항성인 꽃양배추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2006년 강원도 고랭지인 평창군 도암면과 강릉시 왕산면에서 조중생종 11개 품종과 중만생종 2개 품종의 원예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두 포장 모두에서 에브리부로, 탐스런, 녹제, 필그림이 우수하였다. 검은썩음병에 대한 품종간 저항성 반응은 품종에 따라서 두 포장에서 다르게 나타나 두 포장에 병원균의 race 분포가 다른 것으로 생각된다. 두 포장 모두에서 중생종인 에브리부로와 중만생종인 녹국은 검를썩음병에 대하여 저항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품종은 원예적 특성도 우수하였으므로 강원도 고랭지 유기재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Stem Disorder and the Accumulation of Vegetative Storage Protein in Soybean

  • Zhang, Jiuning;Katsube-Tanaka, Tomoyuki;Shiraiwa, Tatsuhik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22
    • /
    • 2019
  • Green stem disorder (GSD)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characterized by delayed senescence of stems with normal pod ripening and seed maturation (Hobbs, 2006). GSD complicates harvesting of soybeans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difficulty in cutting the affected plants. There is also the potential for moisture in the stems to be scattered on the seed, reducing the grade and storability of the seed. Not only the cause of GSD is yet unknown, but also GSD cannot be evaluated until maturity, therefore the method to evaluate GSD in early growth stage with high sensitivity is necessary.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vegetative storage protein (VSP) accumulates and the syndrome of GSD appears in soybean after depod treatment (Fischer, 1999). Soybean VSP is a storage protein which is abundant in young sink leaves and degraded during seed fill (Wittenbach, 1982). Hence, we have established a system to quantify VSP of high sensitivity by using standard protein made by genetically transformed E. coli and specific antibody against VSP, and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VSP and GSD, by depod experiment and drought/excess wet experiments. The result of depod experiment with the cultivar 'Yukihomare' was the same with the previous studies, VSP accumulated much more than control and the syndrome of GSD appeared in soybean in depod treatment. Drought and excess wet had different impact on GSD. Excess wet caused GSD of the cultivar 'Tachinagaha (GSD susceptible)', while drought caused a little syndrome of GSD in the cultivar 'Touhoku 129 (GSD resistant)'. The accumulation of VSP differed between the two cultivars over time. In conclusion, the accumulation of VSP came along with the emergence of GSD. Different cultivars showed different response to drought and excess we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dynamics of VSP will be elucidated in detail,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early diagnosis technology for green stem disorder and the elucidation of mechanism of soybean GSD.

  • PDF

다수성 사계성 딸기 '열하' 육성 (Characteristics of the New Ever-bearing Strawberry 'Yeolha' for High Yield)

  • 이종남;김혜진;김기덕;유동림;서종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5호
    • /
    • pp.739-743
    • /
    • 2014
  • '열하'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에서 2013년도 육성한 사계성 딸기 신품종이다. '열하(Yeolha)'는 '고하(Goha)'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엘시뇨(Elsinyo)' 품종을 부본으로 2008년 교배하여, 고온장일조건에서 과실이 크고, 화방이 연속적으로 출현되는 우수한 사계성 개체를 선발한 것이다. 고랭지의 여름재배 작형에서 2010-2013년 생산력 검정, 특성검정을 거쳐 '새봉 5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12년에는 2지역 적응성시험을 거쳐 '열하'로 명명하였다. '열하'의 초형은 반개장형이며, 엽형은 타원형이며, 초세가 강한 편이다. 과실모양은 원추형이며, 과색은 붉은 색이다. '열하'의 당도는 8.6%로 '플라멩고'의 8.0%보다 0.6% 더 높다. 그러나 경도는 '플라멩고'보다 낮았다. '열하'의 평균과중은 12.1g으로 사계성 품종 중에서 중간크기에 속하는 편이고, 상품수량은 $28,133kg{\cdot}ha^{-1}$으로 '플라멩고' 품종보다 117% 더 많았다. 병해저항성은 시듦병에 저항성이다. '열하'는 고온장일조건에서도 화방이 연속으로 출뢰하여 다수확용으로 적당한 사계성딸기 품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