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Pesticide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7초

과일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농약의 잔류성과 분포 (Residue characteristics of hexaconazole and chlorothalonil in several fruits)

  • 이희동;경기성;권혜영;임양빈;김진배;박승순;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11
    • /
    • 2004
  • 농약의 특성 및 과일별 농약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복숭아, 포도 및 배 등 과수를 시험작물로 하여 침투성 살균제인 hexaconazole 2% SC와 비침투성 살균제인 chlorothalonil 53% SC를 혼용 희석하여 시험과수의 지상부에 1회 살포한 후 2시간, 3, 7, 14, 21일 째에 과일을 시료로 채취하였고, 시험기간 중 과일의 증체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경시적으로 농약 잔류량과 과육 및 과피 중 잔류농약의 분포비율을 조사하였다. 과일의 증체량은 털이 있는 복숭아는 약제 살포 21일 후에 약 57%, 털이 없는 천도복숭아는 약 40% 증가되었고, 포도와 배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농약살포 직후와 대비한 21일 후의 잔류량을 비교한 결과 hexaconazole의 경우 복숭아에서는 13%, 포도에서는 24%, 배에서는 36% 농약이 잔류하였고, chlorothalonil의 경우에는 각각 11%, 27% 및 44%의 농약이 잔류하였다. 과일의 과피와 과육 등 부위별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과육에서는 모든 시험구에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Recent Trend of Residual Pesticides in Korean Feed

  • Jeong, Jin Young;Kim, Minseok;Baek, Youl-Chang;Song, Jaeyong;Lee, Seul;Kim, Ki Hyun;Ji, Sang Yun;Lee, Hyun-Jeong;Oh, Young Kyun;Lee, Sung Dae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6-164
    • /
    • 2018
  • Pesticide application in agriculture provides significant benefits such as protection from disease, prevention of harmful insects, and increased crop yields. However, accurate toxicological tests and risk assessments are necessary because of many related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pesticide use. In this review, we discuss and analyze residual pesticides contained in livestock feed in Korea. A pesticide residue tolerance standard for livestock feed has not been precisely established; so, risk assessments are required to ensure safety. Standards and approaches for animal criteria and appropriate methods for evaluating residual pesticides are discussed and analyzed based on technology related to animal product safety in Korea. The safety of livestock feed containing pesticides is assessed to establish maximum residue limits relative to pesticides.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in milk, muscle, brain, and fat was performed with a livestock residue test and safety evaluation of the detected pesticide was performed. Efficacy of organic solvent extraction and clean-up of feed was verified, and suit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examined to establish if they are effective, rapid, and safe. This review discussed extensively how pesticide residue tolerance in livestock feed and hazard evaluation may be applied in future studies.

잔류농약, 무기물 분석에 의한 유기농 채소의 판별: 유기농 채소의 잔류농약 함량 (Content of Pesticide Contaminants Content in Organic Vegetables)

  • 김형열;이근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7-62
    • /
    • 2004
  • 강원도 홍천 유기농 재배단지 내에서 재배한 5종의 농산물 즉, 케일, 신선초, 셀러리, 상추 및 파와 가락동 시장에서 구입한 일반재배 야채를 시료로 하여 잔류농약의 성분함량을 측정하였다. 5종의 야채에서 잔류농약 성분 함량을 측정해본 결과, 일반재배 야채의 경우는 각각 93.5, 57.7, 112.4, 76.5, 65.2 ppm이 잔류하여 규격기준 대비 75.35, 70.68, 78.49, 70.49%의 잔류율을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유기농 야채의 경우는 각각 36.4, 21.0, 42.9, 29.1, 25.1 ppm이 잔류하여 전체적으로 규격기준의 30% 이하 잔류율을 나타내었고, 일반재배 야채의 38.93, 36.40, 38.17, 38.04, 38.50% 수준에 달하는 농약성분이 잔류하여 일반재배 야채 대비 40% 이하의 농약성분만이 함유되어 있었다.

한국산 강활(羌活)의 잔류농약에 대한 연구 (Studies on Pesticide Residues in Ostrici Radix)

  • 나승영;김홍준;최고야;정승일;주영승;오서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7-41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residual pesticide in herbal medicine of Osterici Radix which are purchased on Kwangju(Hanyaksarang). Methods : In order to analyze many pesticides in Osterici Radix, simultaneous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by GC-ECD/NFD was used. Results : But the amount of residual pesticide in Osterici Radix, simultaneous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by GC-ECD/NFD was used.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sterici Radix in current has safety. In future, it i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furnished the basis to succeeding studies and it is needed to extensive comparative study for the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PDF

시중 유통 과채류 중의 잔류농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ual Pesticides in Commercial Fruits & Vegetables)

  • 김영국;임태곤;박상수;허남칠;홍석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63-771
    • /
    • 2000
  • 1999년도 2월부터 9월까지 광주 시내 백화점 및 마트 등지에서 유통되고 있는 과채류 12종, 총 289건에 대한 88종 농약의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289건의 과채류중 21.1%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고, 5.2%가 잔류 농약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부적합율이 높았던 과채류는 깻잎, 상추, 시금치, 치커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채류에 사용빈도가 높았던 농약은 프로시미돈, 엔도설판, 빈클로졸린, 클로로피리포스, 싸이퍼메쓰린, 피리미포스메칠, 펜발러레이트, 페나리몰, 모노크로토포스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약성분은 프로시미돈, 빈클로졸린, 엔도설판, 피리미포스메칠, 페나리몰, 모노크로토포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깻잎, 상추, 시금치, 딸기 및 방울토마토 등과 같은 과채류에서 안전성에 문제가 되는 프로시미돈 및 빈클로졸린 농약 등의 제거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8가지 세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들 세정 방법을 비교한 결과 초음파 세정법이 프로시미돈 및 빈클로졸린 농약의 제거에 가장 효과적 이었다.

  • PDF

골프장의 농약 사용실태 및 잔류량 조사 (Status of Usage and Residue of Pesticide at Golf Courses in Kangwon-do)

  • 우승순;방명렬;윤경애;박정희;김영진;박상균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20
    • /
    • 1997
  • 1992년부터 1996년 까지 5년간 강원도에서 운영중인 18홀 이상 3개 골프장에 대하여 농약 사용실태와 농약 잔류량 등을 조사하였다 농약 잔류량은 3개 골프장의 토양, 잔디, 유출수등 총 186개 시료에 대하여 유기염소제 4종과 유기인제 12종을 GC-ECD와 GC-NPD를 이용해 분석 하였다. 각 골프장의 연 평균 농약 사용량은 1,635.6kg 이었고, 단위 면적당 농약 사용량은 그린 33g/$\textrm{m}^2$, 페어웨이 3g/$\textrm{m}^2$ 였다. 골프장 잔디에 사용 할 수 없는 미고시 농약은 186개 시료중 24개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검출율은 12.9% 였다. 토양에서 검출된 농약의 평균 잔류농도는 캡탄 0.208ppm, 퓨다코닐 0.031ppm 이었다. 미고시 농약의 연도별 검출율은 92년 이래 매년 감소추세에 있으며 96년에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행 미고시 농약 위주의 조사 방법은 고시농약중 많이 사용하는 농약을 검사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하며, 유출수에 대한 허용기준도 설정되어야 한다.

  • PDF

국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평가-2013년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for Circulated Agricultural Commodities in Korea-2013)

  • 김재영;이상목;이한진;장문익;강남숙;김남선;김희정;조윤제;정지윤;김미경;이규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235-242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파악하고, 위해평가 등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후 정부차원에서의 식품 위생/안전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료 수거는 인구 백만 이상의 전국 9개 지역(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창원 및 수원)을 선정한 후, 다소비 식품 중 대표적인 농산물 15품목(쌀, 감자, 대두, 사과, 배, 오렌지, 복숭아, 딸기, 바나나, 수박, 토마토, 오이, 애호박, 깻잎 및 무)을 선별하여 총 232건의 농산물을 수거하였다. 대상 농약은 단성분 분석으로 가능한 생장조정제 3종(dichlorprop, ethychlozate 및 6-benzylaminopurine) 및 다종다성분 분석 농약 280종, 총 283종을 선정하여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 농약들은 모니터링에 앞서 분석법을 개선하고 분석검체를 대표할 수 있는 농산물에 적용하여 국제적 기준인 CODEX 분석법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분석법 검증을 수행한 후, 잔류농약 모니터링 분석법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모니터링에서 검출된 잔류농약을 대상으로 1일 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 대비 1일 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 값으로 위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수거된 농산물 총 232건 중 163건(70.3%)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69건(29.7%)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 중 2건은 MRL을 초과하여 0.9%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었다. MRL을 초과한 잔류농약은 깻잎에서 검출된 chlorpyrifos와 복숭아에서 검출된 picoxystrobin이었으며, 부적합으로 나타난 chlorpyrifos 및 picoxystrobin을 포함한 검출 농약 33종에 대해 위해평가를 수행한 결과, ADI 대비 EDI는 0.00087~0.902%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검출된 모든 농약은 위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됐으며, 유통되는 농산물은 잔류농약 측면에서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Persistence and Degradation Pattern of Acequinocyl and Its Metabolite, Hydroxyl-Acequinocyl and Fenpyroximate in Butterburs (Petasites japonicus Max.)

  • Leesun Kim;Geun-Hyoung Choi;Hyun Ho Noh;Hee-Dong Lee;Hak-won Lee;Kee Sung Kyung;Jin-Ho Ro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3-103
    • /
    • 2023
  • Persistence and degradation patterns of acequinocyl and its metabolite, hydroxyl-acequinocyl (acequinocyl-OH) and fenpyroximate in butterburs (Petasites japonicus Max.) were investigated after pesticide application. Butterburs, one of the minor crops in South Korea, was planted in two plots (plot A for double and plot B for single application) in a greenhouse. Butterburs samples were also planted in a separate plot without pesticide treatment, as the control. A commercial pesticide containing acequinocyl and fenpyroximate was applied to the foliage of butterburs at hourly intervals after dilution. Recoveries of acequinocyl and acequinocyl-OH were 78.6-84.7% and 83.7-95.5%,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the two compounds were less than 5%. The method limit of quantification was 0.01 mg/kg. The total (Ʃ) acequinocyl residues in butterburs reduced by 96.0% at 14 days and 75.9% at 7 days, in plot A and B, respectively, after final pesticide applications. The biological half-life (DT50) of Ʃ acequinocyl and fenpyroximate, calculated using the dissipation rate, was 3.0 days and 4.0 days, respectively. These data were used to set up maximum residue and safe standard levels when the pesticides are applied to control pests during butterbur cultivation. Risk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 acceptable daily intake was 7.74% for Ʃ acequinocyl and 0.16% for Ʃ fenpyroximate. The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of Ʃ acequinocyl and fenpyroximate was 26.3% and 35.8%,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concentrations of Ʃ acequinocyl and fenpyroximate in butterburs pose no significant health risks to Koreans.

고추중 잔류농약의 경감에 미치는 감광작용의 효과 (Effect of Photosensitization on the Diminution of Pesticide Residues on Red Pepper)

  • 이재구;권정욱;안기창;박주형;이준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6-121
    • /
    • 2000
  • 재배중인 고추표면의 농약잔류물을 인위적으로 경감시키기 위하여 몇몇 감광제 (photosensitizer, P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살균제 dithianon, triflumizole 및 triforine을 고추에 4회 살포한 후 선발된 감광제를 1회 살포하고, 감광제 살포 후 0, 1, 3, 7, 15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그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회수율은 $76.6{\sim}78.3%$인 dithianon 외에는 $90.7{\sim}98.5%$로서 양호하였다. Dithianon의 경우, PS-1 (10 ppm) 살포 후 1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76%이었다. Triflumizole의 경우, PS-4 (50 ppm) 살포 후 1일에 잔류량은 대조구의 48%이었다. Triforine의 경우, PS-3 (100 ppm) 살포 후 1일에 잔류량은 대조구의 55%이었다. 이들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감광제의 작용은 농약의 종류 및 농약이 잔류해 있는 매체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강원도산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Survey on the Contents of Residual Pesticide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on Kangweon-Do)

  • 심태흠;이태준;김기철;유미정;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9-156
    • /
    • 1992
  • '90년 '91년 2개년에 걸쳐 강원도내에서 생산 또는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35종에 대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보건위생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염소제 및 유기인제 등을 ECD와 NPD가 부착된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농산물 157건 중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76건으로서 48.4%이었고, 이중 2종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24건으로서 15.3%를 점하고 있다. 특히 Captan은 대산 농산물 81건 중 43건에서 검출되어 검출률이 53.1%이었다. 2. Endrin , Captafol. Parathion , Fenitrothion , Fenthion 및 EPN은 전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각 농약의 잔류량은 DDT가 ND-0.138 ppm, BHC가 ND-0.142 ppm, Aldrin 및 Dieldrin이 ND-0.010 ppm, CAptan이 ND-1.067 ppm, Diazinon이 ND-0.060 ppm, malathion이 ND-0.075 ppm, Phenthoate가 ND-0.009 ppm, DDVP가 ND-0.040 ppm이었다. 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1건도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