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Nitrite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1초

들깻잎 분말 첨가가 돈육소시지의 표면색깔, 아질산 잔류량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erilla Leaf Powder on the Surface Color, Residual Nitrite and Shelf Life of Pork Sausage)

  • 정인철;김영길;문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54-660
    • /
    • 2002
  • 본 연구는 들깻잎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 및 I 등급 원료육에 들깻잎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 4 종류의 돈육소시지를 제조하였다. 돈육소시지의 L*값은 제조직후가 가장 높았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게 나타났다. B 등급 돈육소시지의 a*값은 저장 8주 째에 가장 낮았고, 들깻잎을 첨가한 B 등급 돈육소시지는 저장 4주 째에 가장 높았으며, E 등급 및 들깻잎을 첨가한 E 등급 돈육소시지는 저장 중 현저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a*값이 낮았으며, b*값은 들깻잎을 첨가한 돈육소시지가 높았다. 들깻잎을 첨가한 돈육소시지의 아질산 잔류량은 저장 2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첨가하지 않은 것은 4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여서 들깻잎의 첨가가 아질산 잔류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B 등급 및 들깻잎을 첨가한 B 등급 돈육소시지의 pH는 4주까지 감소하다가 6주부터 증가하였다. VNN 함량은 저장초기 6.7~8.4mg%이던 것이 저장 중 증가하여 8주 째에는 16.1~19.5mg%를 나타내었다. 돈육소시지의 TBARS는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저장 중 더 낮았다. 총균수는 모든 돈육소시지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았다.

쑥 첨가방법이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항산화, 총미생물수 및 아질산염 소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Method of Mugwort on Antioxidant Effect, Total Plate Counts, and Residual Nitrite Content of Emulsified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 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2-128
    • /
    • 2011
  • 제조 방법을 다르게 처리한 쑥을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총 미생물수, 아질산염잔존량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쑥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쑥 분말 첨가구는 T1, 쑥 즙 첨가구는 T2,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3, 쑥 중탕 추출물 첨가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 2, 3 및 4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와 T4는 유의성이 없었고, T1과 T2 및 T3는 저장기간 동안 다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쑥 즙과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쑥의 첨가는 지방산화를지연시켰고,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3에서 TBARS값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p<005).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는 T3가 유의적으로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3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값과 CIE $b^*$값은 감소하였고 CIE $a^*$값은 증가하였으며, 처리구간에는 CIE $L^*$값과 CIE $a^*$값은 쑥 첨가구에서 낮았고, CIE $b^*$값은 대조구와 T1에서 높은 결과로 쑥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결론적으로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잔존량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조 방법이 다른 솔잎 추출물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항산화 및 아질산염 잔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ine Needle Extracts in Different Forms on the Antioxidant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of Emulsified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 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4-80
    • /
    • 2011
  • 유화형 소시지에 제조 방법을 다르게 추출한 솔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총 미생물수, 육색 및 아질산염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솔잎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솔잎즙 첨가구는 T1,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2, 솔잎중탕 추출물 첨가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0, 20 및 30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감소하였다(p<0.05). TBARS와 총미생물수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솔잎 즙과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솔잎의 첨가는 지방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켰고,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2에서 TBARS 값과 미생물수는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p<005).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 값과 $a^*$ 값 및 $b^*$ 값은 감소하였고, 처리구간에는 CIE $L^*$ 값과 $a^*$ 값은 T1과 T2에서 낮았고, $b^*$ 값은 T1과 T2에서 높은 결과로 솔잎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아질산염 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2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 잔존량 감소에 효과가 가장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분자량이 다른 키토산과 아질산염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아질산염잔존량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 and Nitrite Addition on the Residual Nitrite Contents and Self-life of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 박웅렬;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9-276
    • /
    • 2010
  • 유화형 소시지에 분자량이 다른 키토산과 아질산염을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육색, TBARS, 총 미생물수 및 아질산염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키토산과 아질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50kDa 키토산 0.5% 첨가구는 T1, 200 kDa 키토산 0.5% 첨가구는 T2, 아질산염 150 ppm 첨가구는 T3, 50 kDa 키토산 0.5%와 아질산염 150 ppm 첨가구는 T4, 200 kDa 키토산 0.5%와 아질산염 150 ppm 첨가구를 T5 등 6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0, 20 및 30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나 대조구와 T2에서만 유의성이 있었다. 키토산과 아질산염 혼합 첨가구에서 낮았으며 T5에서 가장 낮았다(p<0.05).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값과 $a^*$값은 감소하였고, CIE $b^*$값은 변화가 없으며 처리구간에 있어서 저장 30일에 $a^*$값만 T5에서 높았다.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키토산과 아질산염을 첨가한 유화형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키토산과 아질산염이 지방산화를 지연시켰고, 200 kDa 키토산과 아질산염 첨가구의 TBARS값은 낮은 경향이었다(p<005).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 T5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5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많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키토산과 아질산염 혼합 첨가구는 산화 및 미생물 성장 억제 효과와 아질산염잔존량을 감소 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the Addition of Schisandra chinensis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usage

  • Jin, S.K.;Park, J.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2호
    • /
    • pp.1753-1761
    • /
    • 2013
  • The individual and interactive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powder (SCP) and sodium nitrite additions on color, pH, water holding capacity, residual nitrite,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olatile basic nitrogen, texture properties, fatty acids, amino acids and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pork sausages were investigated after 20 d of storage at $4^{\circ}C$. The powders (0, 0.5 and 1.0%) were added to sausages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nitrite (0 and 100 ppm). SCP added-sausages showed lower $L^*$ (lightness) and W (whiteness) values, and higher $b^*$ (yellowness) values than sausage containing no nitrite, and exhibited the highest $a^*$ values at a 0.5% addition (p<0.05). Residual nitrite and TBARS valu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as the addition levels of SCP increased (p<0.05). As the addition of SCP increased, the sausage showed gradually decreased brittle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hile adhesiveness increased. Polyunsaturated fatty acid, n-6 and n-6/n-3 fatty acid ratio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ausages containing SCP (p<0.05). The addition of SCP to sausag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the ammonia content (by 0.5% SCP) and aromatic amino acid concentrations (by 1.0% SCP) (p<0.05). Inclusion of SCP in sausage meat resulted in a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lavor, springi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p<0.05). As expected, the observed changes in $a^*$, W, pH, shear force, texture property, TBARS, fatty acid, amino acid and sensory score of sausages, depended on the rate of addition of nitrite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P addition is not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the sensory evaluation of sausages, but may beneficially affect TBARS, nitrite scavenging activity, fatty acid and amino acid content in pork sausages.

Volatile compounds and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stırma produced with different nitrate levels

  • Akkose, Ahmet;Unal, Nazen;Yalinkilic, Baris;Kaban, Guzin;Kaya, Mukerre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168-1174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nitrate levels (150, 300, 450, and 600 ppm $KNO_3$) on the volatile compounds and some other properties of pastırma. Methods: Pastırma samples were produced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 and analyses of volatile compounds,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s an indicator of lipid oxidation, non-protein nitrogenous matter content as an indicator of proteolysis, color and residual nitrite were carried out on the final product. The profile of volatile compounds of pastırma samples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using a solid phase microextraction. Results: Nitrate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H value (p<0.05) and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TBARS value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rmined in terms of $a_w$ value, non-protein nitrogenous substance content, color and residual nitrite between pastırma groups produced by using different nitrate levels. Nitrate level had a significant (p<0.05) or a very significant (p<0.01) effect on some volatile compounds. It was determined that the amounts and counts of volatile compounds were lower in the 450 and especially 600 ppm nitrate levels than 150 and 300 ppm nitrate levels (p<0.05). While the use of 600 ppm nitrate did not cause an increase in residual nitrite levels, the use of 150 ppm nitrate did not negatively affect the color of pastırma. However, the levels of volatile compounds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level of nitrate. Conclusion: The use of 600 ppm nitrate is not a risk in terms of residual nitrite in pastırma produced under controlled condition, however, this level is not suitable due to decrease in the amount of volatile compounds.

Effect of Substituted Conjugated Linoleic Acid for Fat on Meat Qualities, Lipid Oxidation and Residual Nitrite Content in Emulsion-type Sausage

  • Hah, K.H.;Yang, H.S.;Hur, S.J.;Moon, S.S.;Ha, Y.L.;Park, G.B.;Joo, Seon-Te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5호
    • /
    • pp.744-750
    • /
    • 2006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bstitute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for fat on qualities, lipid oxidation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in emulsion-type sausage (ETS) after different periods of storage. The control sausage contained 20% fat, however, the substituted CLA for fat sausages contained 17.5% fat+2.5% CLA, 15% fat+5% CLA, 12.5% fat+7.5% CLA and 10% fat+10% CLA, respectively. CL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by substitution of CLA sources for fat, and storage did not affect the CLA concentration. TBA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storage time in all treatments (p<0.05). Significantly higher $L^*$ values were observed in the 10% CLA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during storage. Moreover, $a^*$ values in CLA treatment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Again, $b^*$ valu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LA treatments than those of the control during storage.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nitrite in ETS was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s during storage and the result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control >2.5% CLA>5% CLA and 7.5% CLA>10% CLA. Overall acceptability of CLA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e control during storage,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verall acceptability between the treatments after 28 days of storage.

치자 추출물이 돈육 패티의 아질산염 잔류량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Residual Nitrite Content and Storage Properties of Pork Patties Added with Gardenia Fructus Extract)

  • 전미란;최성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41-747
    • /
    • 2011
  • 예로부터 옷감의 염료 및 식용색소로 사용되어 온 치자는 혈당 저하, 항 종양, 항 혈전, 혈관신생 억제, 항산화, 항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치자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이나 육제품에의 이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자의 아질산염 대체 효과와 항균활성 등 기능성을 살펴보아 치자의 다양한 생리 기능성이 부여된 건강 지향적 육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아질산염(50, 100, 150 ppm)과 치자 추출물(0, 0.25, 0.5%)의 첨가량에 따른 돈육 패티의 물리 화학적 품질특성을 평가하고 아질산염 잔류량과 저장성을 살펴보았다. 패티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치자 추출물의 첨가에 따라 명도(CIE $L^*$)와 적색도(CIE $a^*$)가 감소되는 반면 황색도(CIE $b^*$)가 증가하였다. 돈육 패티를 가열한 결과 치자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control 군에서는 아질산 첨가량이 많을수록 가열감량이 작았으나, 치자 추출물 첨가에 의한 가열감량의 변화는 명확히 관찰되지 않았다. $4^{\circ}C$에서 6주간 저장 후 패티의 pH, TBARS 및 VBN을 살펴본 결과 치자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낮은 경향이었으나, TBARS와 VBN은 변화가 없었다. 돈육 패티의 아질산염 잔류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치자 추출물 첨가량이 많을수록 잔류량이 낮았다. 저장 중 미생물 오염을 살펴본 결과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일반세균은 치자 추출물 첨가에 따라 감소하여 항균 작용을 위한 아질산염 사용의 대체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돈육 패티 제조 시 치자 추출물의 첨가는 아질산염 잔류량을 감소시킴과 함께 저장시 항균성을 증가시켜 건강 향상 기능성 천연 소재로서 치자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육가공품에 사용되는 아질산염의 사용기준, 대사, 섭취량과 안전성에 대한 조사 연구 (Studies on the Regulation for Use, Metabolism, Intake, and Safety of Sodium Nitrite in Meat Products)

  • 이근택;강종옥;김천제;이무하;이성기;이주연;이주운;조수현;주선태;진구복;최성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3-120
    • /
    • 2005
  • During the 1970s, concern arose that cured meats contained high levels of residual nitrite and preformed nitrosamines. Therefore, the search for alternatives and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use of nitrite have been still continued, however no complete alternative for nitrite has yet been identified. Recently, it was publicized in Korea that nitrite-containing meat products would be detrimental to health, about which consumers have been seriously concerned.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form the consumer of the safety status of nitrite and thereby to lead proper consumption of meat products. For assessing the safety of nitrite, data regarding the regulation for use, metabolism in human body, and dietary intake amounts of nitrit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mean intake level of nitrite for Korean per capita was recently reported to be not more than 1% of ADI set by JECFA. On the contrary, a calculation indicated that the daily nitrite intake per capita from saliva by ingestion of vegetables in Korea would be about 300-fold higher than that from cured meats. In consideration of the low consumption amount of meat products per capita of Korean, that is, at least one fifth, compared to European and American, there is no particular reason to concern about the impairment of health by nitrite intake from meat products for Korean. However, any effort for the reduction of residual nitrite content in cured meats should be given with an idea to minimize the intake of nitrite even from the minor source.

쑥과 솔잎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on Shelf-life in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 김영직;황보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61-467
    • /
    • 2011
  • 쑥과 솔잎 분말을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여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첨가한 후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아질산염잔존량, 총 미생물수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쑥과 솔잎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쑥 물 추출물첨가구는 T1,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2, 솔잎 물 추출물 첨가구를 T3,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보다 쑥과 솔잎 추출물 첨가구에서 다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쑥과 솔잎의 첨가는 지방산화를 지연시켰고, 특히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4에서 TBARS 값은 다소 낮았다(p<005).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고, 쑥 보다는 솔잎 첨가구가,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일과 10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는 대조구보다 쑥과 솔잎 추출물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 값과 $b^*$ 값은 감소하였고, CIE $a^*$ 값은 증가하였다. 처리구간 CIE $L^*$값은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 첨가구에서 낮아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솔잎 분말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잔존량 감소에 효과적인 첨가방법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