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Coding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8초

변환 영역 Wyner-Ziv 잔차 신호 부호화를 위한 적응적 양자화 (Adaptive Quantization for Transform Domain Wyner-Ziv Residual Coding of Video)

  • 조현명;심혁재;전병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4호
    • /
    • pp.98-106
    • /
    • 2011
  • Wyner-Ziv 부호화에서의 시간예측은 원본 영상을 알 수 없는 Wyner-Ziv 복호화기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축성능 저하를 피할 수 없었다. 이를 해결할 방안으로 Wyner-Ziv 부호화기의 가장 큰 장점인 부호화기의 경량화를 유지하면서도 최소한의 시간예측을 부호화기에서 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이 Wyner-Ziv 잔차 신호 부호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키 프레임과 부호화 하는 Wyner-Ziv 프레임간의 단순한 차로 만들어진 잔차 신호를 분산비디오 부호화 하는 것이다. 하지만, 화소 영역에서 이잔차 신호 부호화 기술을 적용할 경우 기존의 화소영역 Wyner-Ziv 부호화보다는 성능이 개선되지만, 변환영역 Wyner-Ziv 부호화 기술과는 유사한 성능에 그쳤다. 이에 변환영역 WZ 잔차 신호 부호화 기술개발의 시도가 있었으나, 기존의 변환영역 WZ 부호화가 사용하는 양자화와의 호환성 문제로 성능 저하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고정적인 양자화 행렬과 양자화 레벨을 WZ 프레임의 잔차 신호에 따라 적응적으로 바꿀 수 있는 양자화를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Wyner-Ziv 프레임만 고려하였을 때, 4개의 영상에서 평균 약 22%의 BDBR 이득과 약 1.2dB의 BDPSNR 이득을 보인다.

시간적 상관도를 활용한 변환 영역 잔차 신호 Wyner-Ziv 부호화 (Transform-domain Wyner-Ziv Residual Coding using Temporal Correlation)

  • 조현명;은현;심혁재;전병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40-151
    • /
    • 2012
  • Wyner-Ziv 부호화 방법에서는 키 픽처 부호화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복잡도가 낮은 H.264/AVC 인트라 부호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인트라 부호화와 달리 인터 부호화는 율 왜곡 성능은 매우 좋으나, 움직임 예측 및 보상과 같은 복잡한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저복잡도 부호화를 지향하는 분산 비디오 부호화에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제로 모션 부호화 방법은 시간적 상관도를 활용하면서도 높은 복잡도를 갖는 움직임 예측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Wyner-Ziv 부호화에 사용하고 있는 키 픽처 부호화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히, 변환 영역 Wyner-Ziv 잔차 신호 부호화 기술은 시간적 중복성을 WZ 픽처에만 활용하기 때문에, 제로 모션 부호화 방법으로 키 픽처를 부호화하는 경우 키 픽처와 WZ 픽처 모두 시간적 상관도를 활용하여 율 왜곡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제로 모션 키 픽처 부호화를 적용한 Wyner-Ziv 부호화의 경우, 인트라 키 픽처 부호화를 사용한 기존의 Wyner-Ziv 부호화 대비 평균적으로 약 9%의 복잡도가 증가되었지만, 움직임이 적은 정적인 영상에서 최대 54% 비트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변환 영역 Wyner-Ziv 잔차 신호 부호화 기술에 제안한 제로 모션 키 픽처 부호화를 적용할 경우, 인트라 키 픽처 부호화를 사용한 기존의 Wyner-Ziv 부호화의 율 왜곡 성능과 비교하여 최대 70%의 비트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Shuffled Discrete Sine Transform in Inter-Prediction Coding

  • Choi, Jun-woo;Kim, Nam-Uk;Lim, Sung-Chang;Kang, Jungwon;Kim, Hui Yong;Lee, Yung-Lyul
    • ETRI Journal
    • /
    • 제39권5호
    • /
    • pp.672-682
    • /
    • 2017
  • Video compression exploits statistical, spatial, and temporal redundancy, as well as transform and quantization. In particular, the transform in a frequency domain plays a major role in energy compaction of spatial domain data into frequency domain data. The high efficient video coding standard uses the type-II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II) and type-VII discrete sine transform (DST-VII) to improve the coding efficiency of residual data. However, the DST-VII is applied only to the Intra $4{\times}4$ residual block because it yields relatively small gains in the larger block than in the $4{\times}4$ block. In this study, after rearranging the data of the residual block, we apply the DST-VII to the inter-residual block to achieve coding gain. The rearrangement of the residual block data is similar to the arrangement of the basis vector with a the lowest frequency component of the DST-VII.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luma-chroma (Cb+Cr) BD rates by approximately 0.23% to 0.22%, 0.44% to 0.58%, and 0.46% to 0.65% for the random access, low delay B, and low delay P configurations, respectively.

제 2차 잔차 변환을 이용한 HEVC 무손실 인트라 코딩 (Secondary Residual Transform for Lossless Intra Coding in HEVC)

  • 곽재희;이영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34-741
    • /
    • 2012
  • 차세대 영상압축 표준인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 적용되는 새로운 인트라 코딩 기법은 잔차 변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HEVC는 공간상의 중복성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향의 공간 예측 방식을 하도록 만들어졌으며, 이를 위해 부호화 하려는 블록의 주변 화소들을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HEVC 표준에서의 새로운 무손실 인트라 코딩 방식은, 공간적 예측을 위해 화소 단위 DPCM (Difference Pulse Code Modulation)을 수행하면서도 잔차 변환과, 잔차 변환의 결과로 얻어지는 잔차 신호에 대해 잔차 변환을 재차 시행하는 제 2차 잔차 변환을 사용하여 블록 단위 처리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결과에서 보여지는 대로, 새로운 무손실 인트라 코딩 방식은 기존의 HEVC 표준과 비교하였을때 비트레이트를 평균 약 6.45%정도 감소시킨다.

MPEG-4 MAC(Multiple Auxiliary Component) 기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부호화 (Stereoscopic Video Coding Using MPEG-4 Multiple Auxiliary Component)

  • 조숙희;윤국진;안충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70
    • /
    • 2003
  • We propose stereoscopic video coding method using the syntax of MAC(Multiple auxiliary component) that was added to the MPEC-4 visual version 2 in order to describe the transparency of the video object. We also define the novel MAC's semantics in MPEG-4 that should support the proposed coding method.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coding method and the proposed coding method is the addition of the residual texture coding. The proposed coding method assigns disparity map and residual texture to 3 components of MAC: one component for disparity map and the rest 2 components fer the luminance and chrominance data of the residual texture,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in terms of PSNR by computer simulations.

  • PDF

H.264 기반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에서 부호화 효율을 고려한 잔여신호 예측에 관한 연구 (Adaptive Residual Prediction for coding efficiency on H.264 Based Scalable Video Coding)

  • 박성호;오형석;김원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89-191
    • /
    • 2005
  • In the scalable extension of H.264/AVC, the codec is based on a layered approach to enable spatial scalability. In each layer, the basic concepts of motion compensated prediction and intra prediction are employed as in standard H.264/AVC. Additionally inter-layer prediction algorithm between successive spatial layers is applied to remove redundancy. In the inter-layer prediction, as the prediction we can use the signal that is the upsampled signal of the lower resolution layer. In this case, coding efficiency can be variable as the kinds of interpolation filter.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approach to select the interpolation filter for residual signal in order to optimal prediction.

  • PDF

분할기반 잉여신호의 CVQ 영상 부호화 (Segmention-Based Residual Image Coding Using Classified Vectior Quantizer)

  • 김남철;김종우;홍원학;석민수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0B권1호
    • /
    • pp.63-71
    • /
    • 1993
  • An efficient RVQ image coding method is proposed using the segmentation-based coding and CVQ techniques. In the proposed method the residual image, the difference between an original image and the synthesized one obtained from the segmentation-based coding, is first dividel into $\times$4 subblocks. They are then individually coded in the spatial domain using a simple CVQ.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better quality of the reconstructed images in both PSNR and subjective test over the basic VQ and SMVQ.

  • PDF

H.264 동영상 표준 부호화 방식의 성능 향상을 위한 잔여신호 필터 (Residual Filter to Improve Performance of H.264 Video Coding Standard)

  • 송원선;홍민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1C호
    • /
    • pp.1066-107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H.264 동영상 표준 부호화 방식을 이용한 압축 동영상의 성능 향상을 위한 잔여신호 필터에 대해 제안한다. 영상 획득 과정에서 발생된 첨가 노이즈에 의해 훼손된 동영상은 고주파 성분의 존재로 인하여 시각적으로 불편한 현상과 압축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제안된 필터 과정에서는 국부 통계적 특성과 양자화 매개변수 및 주어진 양자화 스텝 사이즈를 이용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시각적인 효과와 압축 효율을 높이고자 했다. 또한 노이즈에 대한 매개변수를 H.264 동영상 표준 부호화 방식의 변환과 양자화 과정을 통해 잔여신호 필터의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실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스크린 콘텐츠 비디오의 압축을 위한 인접 화소의 가중 합을 이용한 적응적 Residual DPCM 기법 (Adaptive Residual DPCM using Weighted Linear Combination of Adjacent Residues in Screen Content Video Coding)

  • 강제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782-785
    • /
    • 2015
  • 그래픽스 등 컴퓨터로 합성한 영상을 일컫는 스크린 콘텐츠 비디오의 경우는 색대비가 높은 그래픽 요소로 인하여 예측 후에도 잔차 신호의 공간적 연관성이 여전히 높게 나타나므로 현 샘플의 가장 인접한 화소를 이용하는 residual differential pulse-code modulation (RDPCM) 기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잔차 신호의 주위 인접 화소의 가중 합으로 보다 정확한 예측의 RDPCM을 수행하는 부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각 가중 계수는 현재 잔차 신호의 인접 영역에서 왜곡 값에 L1 정규화를 포함한 비용함수를 최소화 하여 추정한다. 제안 기법은 스크린 콘텐츠 동영상 압축 참조 코덱 대비 약 3.1%의 부호화 성능 향상을 보인다.

Disparity-Compensated Stereoscopic Video Coding Using the MAC in MPEG-4

  • Cho, Suk-Hee;Yun, Kug-Jin;Ahn, Chung-Hyun;Lee, Soo-In
    • ETRI Journal
    • /
    • 제27권3호
    • /
    • pp.326-329
    • /
    • 2005
  • The MPEG-4 multiple auxiliary component (MAC) is a good mechanism to achieve one-stream stereoscopic video coding. However, there is no syntax or semantics for the residual texture data of the disparity-compensated image in the current MAC. Therefore, we propose a novel disparity-compensated coding method using the MAC for stereoscopic video. We also define a novel MAC semantics in MPEG-4 so as to support the proposed coding algorithm.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and proposed coding methods using the MAC is the addition of the residual texture cod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