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idual Aluminum

Search Result 17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조리시 가열에 따른 수돗물 중 염소소독부산물의 농도 변화와 인체 섭취 노출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the Tap Water Chlorination By-Products by Heating during Cooking, and Human Ingestion Exposure)

  • 김희갑;이수형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4권1_2호
    • /
    • pp.35-43
    • /
    • 1999
  • A number of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are formed as a result of the addition of chlorine into the public water supply and some of them have been suggested to cause adverse health effects on humans. However, the estimation of human ingestion exposure to each DBP has been performed simply by multiplying the concentration of a chemical in the cold tap water by the volume of water consumed during a given period of time. However, a questionnaire concerning water consumptions administered to sixty people residing in Chunchon showed that the volume of tap water consumed accounted for approximately 70% of the total volume of water consumed and that of heated water represented approximately 94% of tap water ingested. Heating durations for water-containing foods (e. g., soups and pot stews) and heated beverages (e. g., barley tea) were grouped into 10, 20, 30, and 35 minutes. Based on these time frames, an aluminum pot containing one liter of tap water was heated for the above respective time periods using a gas range to determine the variations of the concentrations of individual DBPs by heating. The pH and total residual chlorin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heating. Collected water samples were carried to the laboratory and analyzed for eight DBPs and total organic carbon. Chloroform, bromodichloromethane, chloral hydrate, 1, 2-dichloro-2-propanone, 1, 1, 1-trichloropropanone, and dichloroacetonitrile were not detected following heating for 10 minutes and longer. The concentration of dichloroacetic acid (DCAA) was elevated with heating duration, resulting in the averages of 2.0, 3.1, 4.7, and 12 times the initial concentration, respectively, for 10, 20, 30, and 35 minute heating periods.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 of trichloroacetic acid (TCAA) decreased with heating duration, with 0.65, 0.40, 0.34, and 0.19 times lower than the initial concentr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ngestion exposure to DCAA increases with heating duration but that ingestion exposure to TCAA decreases. In addition, while the amount of DCAA was elevated at the initial time periods (10 or 20 minutes) and then slowly decreased, that of TCAA was rapidly decreased. In conclusion, water-heating processes during cooking influence the concentrations of individual DBPs in the tap water, with lower levels for volatile DBPs and TCAA, and higher levels for DCAA. Therefore, concentration change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estimation of human ingestion exposure to DBPs.

  • PDF

밭 토양에서 패화석비료 시용에 따른 유효인산의 증대 (Increased Available Phosphate by Shell Meal Fertilizer Application in Upland Soil)

  • 이창훈;이주영;하병연;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2-57
    • /
    • 2005
  • 굴껍질을 주원료로 하는 패화석비료가 토양개량제로서 배추의 생육 및 수량을 증진시키고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택통 (Fine silty, Typic Endoaquepts)의 밭 토양에 굴패화석비료를 0, 4, 8, 12, and $16Mg\;ha^{-1}$ 처리하여 봄배추를 재배하는 과정 중 패화석비료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유효인산함량은 일정하게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효인산 함량의 증가는 1차적으로 패화석비료내 포함된 인산 ($1.5g\;P_2O_5\;kg^{-1}$)의 직접투입이 토양 내 전 인산을 증가시키고 유효인산을 증진시킨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알카리성 제재인 패화석비료가 pH 5.8의 공시토양의 pH를 중성범위로 높이면서 간접적으로 유효인산함량을 증진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 패화석비료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수용성 인산과 Ca-P 함량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Al-P와 Fe-P의 비율을 크게 감소되었다. 결과적으로 패화석비료는 토양내 유효인산함량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이렇게 많아진 유효인산을 이용하여 인산시비량을 저감하고 나아가 인산유출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규질 이암으로부터 Na-A형 제올라이트 수열합성 반응기구에 대한 연구 (Hydrothermal Mechanism of Na-A Type Zeolite from Natural Siliceous Mudstone)

  • 배인국;장영남;채수천;김병곤;류경원;이성기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3-229
    • /
    • 2007
  • 포항부근에 널리 분포하는 제3기 퇴적암인 규질이암(siliceous mudstone)으로부터 $Na_2O/SiO_2 =0.6,\;SiO_2/Al_2O_3 = 2.0,\;H_2O/Na_2O=119$ 몰 비의 수열조건에서 반응시간($10{\sim}70$시간)을 변화시켜 Na-A형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는 반응기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조건에서의 합성상은 X-선회절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적외선 분광분석, 열분석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규질이암으로부터 Na-A형 제올라이트의 단계별 반응기구는 초기에 규산 소다와 알루민산 소다의 반응에 의해 Na-A형 제올라이트가 1차적인 핵생성이 이루어진 후, 반응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잔여 알루민산 소다와 용해된 규질이암의 반응에 의해 Na-A형 제올라이트의 결정이 성장하였고 또한 하이드록시 소달라이트가 생성되었다. 그리고 반응 시간이 50시간의 장시간이 되면 Na-A형 제올라이트로부터 용해되면서 빠져나온 성분은 하이드록시 소달라이트와 반응에 의해 새로운 상인 Na-P형 제올라이트가 생성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수영장 활동공간 내 유해인자 노출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Exposure Distribution to Hazard Factors in Indoor Swimming Pool Activity Areas in Gwangju)

  • 이윤국;김난희;최영섭;김선정;박주현;강유미;배석진;서계원;김종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0-158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is design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BPs (disinfection by-products) in pool water and in air and to estimate the carcinogenic potential through the evaluation of inhalation exposure. Methods: The subjects were six indoor swimming pools with many users in Gwangju. Samples of pool water and indoor air were taken every one month from August 2018 to August 2019 and analyzed for eight swimming pool standards. Three-liter air samples were collected and the VOCs were analyzed using GC/MS directly connected to thermal desorption. Results: pH was 6.8-7.5 and the concentration of free residual chlorine in pool water was 0.40-0.96 ?/ℓ. Physicochemical test items such as KMnO4 consumption and heavy metal items such as Aluminum met existing pool hygiene standards. No VOC materials were detected except for the DBPs. The concentration of THMs in the pool water was 11.05-41.77 ㎍/L and the THMs mainly consist of Chloroform (63-97%) and BDCM (3-31%). The concentration of indoor air THMs is 13.24-32.48 ㎍/㎥ and consists of Chloroform. The results of carcinogenic assessment of chloroform in the indoor swimming pool via inhalation exposure were 2.0 to 6.4 times higher than the 'acceptable risk level' suggested by the US EPA.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 of THMs in the pool water is 11.05-41.77 ㎍/L, most of which is chloroform.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indoor air THMs is 13.24-32.48 ㎍/㎥. The result of carcinogenic assessment of chloroform was 2.0 to 6.4 times higher than the 'acceptable risk level' suggested by the US EPA.

Two Cases of Diagnosis and Removal of Endobronchial Hamartoma by Cryotherapy via Flexible Bronchoscopy

  • Sim, Jae Kyeom;Choi, Jong Hyun;Oh, Jee Youn;Cho, Jae Young;Moon, Eul Sun;Min, Hye Sook;Lee, Byung Hyun;Park, Min Seon;Hur, Gyu Young;Lee, Sung Yong;Shim, Jae Jeong;Kang, Kyung Ho;Min, Kyung Ho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3호
    • /
    • pp.141-145
    • /
    • 2014
  • Although endobronchial hamartoma is a rare benign tumor, most patients with endobronchial hamartoma have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obstructive pneumonia, hemoptysis, cough, or dyspnea due to bronchial obstruction. It can cause irreversible post-obstructive pulmonary destruction, thus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s very important. Recently, there have been cases of neodymium-doped yttrium aluminum garnet (Nd:YAG) laser and electrocautery procedures for bronchoscopic treatment of malignant or benign central airway obstruction with comparable therapeutic efficacy and few complications. Bronchoscopic cryotherapy is a newly developed technique for management of central airway obstruction. Moreover, it provides diagnostic methods with improving diagnostic yield and safety. We report two cases of endobronchial hamartoma, each diagnosed and definitively treated with bronchoscopic techniques. Endobronchial biopsy and removal was successfully performed by cryotherapy via flexible bronchoscopy without notable complications. Follow-up bronchoscopic examinations excluded residual or recurrent disease.

Hybrid MBE Growth of Crack-Free GaN Layers on Si (110) Substrates

  • 박철현;오재응;노영균;이상태;김문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83-184
    • /
    • 2013
  • Two main MBE growth techniques have been used: plasma-assisted MBE (PA-MBE), which utilizes a rf plasma to supply active nitrogen, and ammonia MBE, in which nitrogen is supplied by pyrolysis of NH3 on the sample surface during growth. PA-MBE is typically performed under metal-rich growth conditions, which results in the formation of gallium droplets on the sample surface and a narrow range of conditions for optimal growth. In contrast, high-quality GaN films can be grown by ammonia MBE under an excess nitrogen flux, which in principle should result in improved device uniformity due to the elimination of droplets and wider range of stable growth conditions. A drawback of ammonia MBE, on the other hand, is a serious memory effect of NH3 condensed on the cryo-panels and the vicinity of heaters, which ruins the control of critical growth stages, i.e. the native oxide desorption and the surface reconstruction, and the accurate control of V/III ratio, especially in the initial stage of seed layer growth.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that the reliable and reproducible growth of GaN on Si (110) substrates is successfully achieved by combining two MBE growth technologies using rf plasma and ammonia and setting a proper growth protocol. Samples were grown in a MBE system equipped with both a nitrogen rf plasma source (SVT) and an ammonia source. The ammonia gas purity was >99.9999% and further purified by using a getter filter. The custom-made injector designed to focus the ammonia flux onto the substrate was used for the gas delivery, while aluminum and gallium were provided via conventional effusion cells. The growth sequence to minimize the residual ammonia and subsequent memory effects is the following: (1) Native oxides are desorbed at $750^{\circ}C$ (Fig. (a) for [$1^-10$] and [001] azimuth) (2) 40 nm thick AlN is first grown using nitrogen rf plasma source at $900^{\circ}C$ nder the optimized condition to maintain the layer by layer growth of AlN buffer layer and slightly Al-rich condition. (Fig. (b)) (3) After switching to ammonia source, GaN growth is initiated with different V/III ratio and temperature conditions. A streaky RHEED pattern with an appearance of a weak ($2{\times}2$) reconstruction characteristic of Ga-polarity is observed all along the growth of subsequent GaN layer under optimized conditions. (Fig. (c)) The structural properties as well as dislocation densities as a function of growth conditions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x-ray rocking curve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s a function of buffer and GaN layer growth conditions as well as the growth sequence will be also discussed. Figure: (a) RHEED pattern after oxide desorption (b) after 40 nm thick AlN growth using nitrogen rf plasma source and (c) after 600 nm thick GaN growth using ammonia source for (upper) [110] and (lower) [001] azimuth.

  • PDF

Al-Si-Cu 알루미늄 주조 합금의 열간 균열 민감성에 미치는 Cu 함량의 영향 (Effect of Cu content on Hot Tearing Susceptibility in Al-Si-Cu Aluminum Casting Alloy)

  • 오승환;친밧 문크대거;김헌주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19-433
    • /
    • 2021
  • Al-Si-Cu 합금은 구리 첨가에 따른 석출경화로 경도와 강도가 현저하게 강한 합금을 생성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구리를 첨가하면 Al-Si-Cu 합금의 응고 범위가 확장되고 합금은 응고 중에 발생하는 가장 흔하고 심각한 파단 현상 중 하나 열간 균열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합금의 열간 균열 특성에 대한 기존의 평가 방법은 이 특성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상대적이고 정성적인 분석 방법입니다. 이 연구에서 Al-Si-Cu 주조 합금의 열간 균열 특성에 대한 더 신뢰할 수있는 정량 데이터를 얻기 위해 Instone et. al 이 개발 한 장치를 부분적으로 수정되었습니다. Cu 원소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Al-Si-Cu 계 합금에서 4 가지 수준의 Cu 함량을 (0.5, 1.0, 3.0, 5.0) wt. %로 설정하고 각 합금에 대해 열간 균열 특성을 평가했습니다. Cu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간 균열 강도는 (2.26, 1.53, 1.18, 1.04) MPa)로 감소했습니다. 열간 균열이 발생하는 시점, Cu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액 공존 범위가 증가하여 동일 온도에서 해당 고상율 및 응고 속도가 감소하였다. 파단면의 형태는 수상 돌기에서 잔류 액상으로 덮인 수상 돌기로 바뀌었고, 열간 균열 발생 인근에서 CuAl2 상이 관찰되었다.

Alum 슬러지를 이용한 AlPO4-계 다공성 물질의 합성 (Synthesis of AlPO4-type Mesoporous Materials Using Alum Sludge)

  • 강광철;김용호;김진만;이철호;이석우
    • 공업화학
    • /
    • 제22권2호
    • /
    • pp.173-17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정수장의 alum 슬러지로부터 $AlPO_4$-계 다공성 물질의 합성과정을 규명하고자 가정용 세제, 휴믹산, 아미노산 등과 같은 유기물질을 틀로 사용하여 $Al(OH)_3$과 인산으로부터 $AlPO_4$-계 다공성 물질을 합성하였으며, $600^{\circ}C$의 공기 중에서 소성을 통하여 틀로 사용한 유기물질을 제거하였다. X-선 회절 분석 결과 합성된 물질은 $AlPO_4$-계 다공성 물질의 특징적인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물질의 형태적인 특성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27}Al$ MAS NMR 분석을 통하여 $Al^{3+}$ 이온 주변의 화학적 배위환경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소성 전 물질에는 4배위와 6배위된 $Al^{3+}$ 이온이 함께 존재하지만, 소성 후 물질에서 $Al^{3+}$ 이온은 모두 4배위 환경에 존재하였다. 합성된 고체 내부에 형성된 기공은 BET 비표면적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합성된 물질의 응용으로 공기 중 유해 포름알데히드 제거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포름알데히드 분자가 물질에 존재하는 기공 표면에 흡착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alum 슬러지로부터 얻어진 $AlPO_4$-계 다공성 재료를 유해 기체의 흡착 및 제거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경상지역 제철유적의 산지추정 연구: 암석기재학 및 지화학적 접근 (A Provenance Study of Iron Archaeological Sites in the Gyeongsang Province: Petrographic and Geochemical Approaches)

  • 조재국;김서진; 한지선;김수경;신동복;곽병문;홍주현;유병용;임진아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4호
    • /
    • pp.475-499
    • /
    • 2023
  • 경상지역 제철유적의 원료산지 추정을 위해 제철시료와 주요 철광상 철광석을 대상으로 암석기재학 및 지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지역에서 발굴된 제철유적 시료는 제련공정 단계에 따라 원료철광석, 괴련철, 괴련철슬래그, 선철, 선철슬래그, 단조박편, 단야철, 철정 및 화살촉으로 분류되었고 각각 상이한 구성광물과 조직을 보였다. 또한 슬래그를 구성하는 규산염광물에서의 알루미늄 및 칼슘 등의 주원소 성분의 농집과 제철유물에서 니켈 및 구리 등의 미량원소 함량이 높은 것은 원료철광석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잠재적인 제철원료의 산지추정인자로 여겨진다. 특히 제철유적 시료의 납-스트론튬 동위원소비는 크게 1) 원료철광석과 유사한 조성을 보이는 경우, 2) 스트론튬 동위원소비가 부화된 경우, 그리고 3) 납-스트론튬 동위원소비 모두 부화된 경우로 구별되며 이러한 동위원소비 특성은 고온의 제련공정 과정에서 첨가된 특정 조재제와의 혼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첨가물이 제련과정에 미치는 잠재적인 기여 측면에서 경상지역 제철유적의 산지추정 해석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LED 조명 모듈에 장착된 패키지/PCB의 분리 및 특성 (Disassembly of the Package/PCB on Wasted LED Light and their Characterizations)

  • 김승현;친빅하;손태훈;이재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2권6호
    • /
    • pp.3-9
    • /
    • 2023
  • LED 조명 모듈의 재활용을 위해 LED 패키지-PCB로 분리하고 선별하기 위한 분리장치를 제작하였고, 제작된 장비를 이용하여 부품분리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분리된 LED 모듈과 패키지로부터 접착성분을 수거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리장비 제작을 위해 LED 패키지-PCB 분리 기초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분리에 필요한 최적조건으로 250 ℃이상의 온도조건, 20분 이상의 체류시간이 필요하다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분리장비를 이용한 LED 패키지-PCB 분리실험은 온도 변화(150, 200, 250 ℃), 체류시간(5, 10, 20분)의 조건변화에 따른 분리율을 확인하였으며 최적 분리 조건을 도출하였다. 또한 시료의 기판의 종류(알루미늄, 유리섬유) 및 접착물질의 두께(0.25~0.30, 0.30~0.35 mm)별 분리 효율을 확인하였다. 최적조건으로 반응 온도 250 ℃, 체류시간 20분에서 기판의 종류엔 상관없이 접착물질의 두께 0.25~0.30mm에서 97.5% 분리를 확인하였다. 분리된 LED 패키지와 PCB로부터 잔류 접착물질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Sn이 95% 이상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5% 미만의 Cu, Ag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