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검색결과 762건 처리시간 0.03초

전원지역의 녹지구조 현황과 기능개선 방안 - 강원도 양구를 대상으로 - (Structural Conditions of Greenspace in a Rural Region and Strategies for its Functional Improvement - In the Case of Yanggu, Gangwon Province -)

  • 조현길;안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3-502
    • /
    • 2006
  • 본 연구는 전원지 역 인 양구군을 대상으로 녹지 면적 및 식생구조 중심의 녹지구조를 정량 분석하고, 녹지에 대한 주민태도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녹지기능을 증진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목피도는 공원이 약 29%로서 녹지공간 유형 중 가장높았고, 상업지 정원이 가장 낮아 3%에 불과하였다. 양구 전원지역의 수목식재는 개발밀도가 높은 도시의 경우보다 더 빈약하였다. 교목의 흉고직경분포는 20cm 미만의 점유비가 전체의 91%로서 도시지 역과 유사하게 유목 및 성장과정의 수목들이 우점하였다. 식재수종들의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상위권 10개 수종 중4개 수종은 도시에서도 상위 10위권 내인 주요 도시경관수종들이었으며, 일부 우점종만 도시지 역과 상이하였다. 한편, 주거지 및 상업지 정원에선 우점종 대부분이 유실수로서 주로 실용적 수종을 식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면적의 점유비는 공원 약 69%, 주거지 정원 39%, 공공용지 정원 37%, 가로 24%, 상업지 정원 15%등이었다. 향후 수목을 식재할 수 있는 잠재식재공간은 가로가 37%로서 현 수목피도를 약 6배, 주거지와 상업지 정원이 각각 19%,7%로서 현 수목피도를 2배이상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와 식재기법, 설문조사분석결과에 근거한 녹지확충 및 기능 개선책은 가로 구간별 테마 창출, 다층구조 조성, 정원 나지에 수목식재 및 건물 주변 에너지 절약적 식재 추진 등으로 요약된다.

1인가구 분포 및 밀집지역 유형 분석 : 부산광역시 사례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Highly Density Area Pattern of One-Person Household : Pusan Metropolitan's Case)

  • 최열;신종훈;박원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655-662
    • /
    • 2012
  • 최근 우리나라의 인구 가구구조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점차 대도시에서는 1인 가구의 변화양상이 뚜렷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시 1인가구 분포 특성 및 밀집지역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엇보다 ArcGis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서는 군집분석 중 와드(Ward)연결법을 통해 유형별 밀집지역을 분류해보고 이어서 그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역세권형을 살펴보면 주로 도심지인 서면과 남포동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형은 향후 1인가구를 위한 주거계획에서 중요시되어야 하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지구중심지형을 살펴보면 주로 지하철역과 인접하여 있으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거시설과 환경을 갖추고 있다. 셋째, 대학인접지형을 살펴보면 주로 대학생을 비롯하여 젊은 직장인이 원룸 빌라 등에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은 소규모의 근린생활시설이 분포되어 있으며 월세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넷째, 공장인접지형을 살펴보면 각종 공장이 밀집된 지역으로 내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역세권과는 거리가 있는 지역이다. 마지막으로 기숙사형을 살펴보면 도심지와는 거리가 있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곳이다. 주로 가족과 떨어져 있는 학생과 직장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편익시설의 부족과 교통접근성이 떨어져 불편을 겪고 있는 지역이다.

우리나라 저수지의 용도에 따른 호안 식물상 차이 (Difference in Shoreline Flora According to the Usage of Reservoirs in Korea)

  • 조현석;조강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9-347
    • /
    • 2015
  • 저수지의 이용목적에 따라서 수력발전용, 농업용수용, 생활 공업용수용 및 홍수조절용으로 구분한 우리나라 35개 저수지의 호안에서 출현하는 관속식물 종류와 지형, 수문, 물 및 토양 환경을 조사하여 이용목적에 따른 호안 환경과 식물상 특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호안의 식물상은 저수지의 용도에 따라서 종수, 종류 및 식물종 특성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단계별 변수선택법 결과에 의하면 저수지 호안의 출현종수는 중앙수위에서 범람빈도가 높고 호안의 연평균노출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주좌표분석과 집괴분석의 결과에서 저수지 호안의 식물상은 이용목적에 따라서 크게 3가지 유형, 홍수조절용과 생활 공업용수용, 농업용 및 발전용 저수지로 구분이 되었다. 식물상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 요인은 연간 수위변동폭, 중앙수위 연범람빈도, LQI 지수 및 연평균노출기간이었다.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수질이 중영양으로 유지되는 발전용 저수지에서는 종풍부도가 높고 침수식물종을 비롯한 수생식물종이 풍부한 연안대가 발달하였다. 수위변동이 심하고 수질이 빈영양 혹은 중영양인 홍수조절용과 생활 공업용수용 저수지 식물상은 수위변동역에서 단명의 교란지식물이 분포하였다. 수위변동이 중간 정도이고 중영양 또는 부영양인 농업용 저수지에서는 부엽식물과 부유식물과 같은 수면을 덮는 식물종이 특징적으로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수지 호안의 식물상 특성은 이용목적에 따라서 수위변동, 수질 등의 환경요인이 차이가 나타나고 이에 따라서 식물상의 구조와 종풍부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낙후 원도심 거주환경의 물리적 기능적 만족도와 심리적 정서적 만족도의 거주기간에 대한 영향력 비교 분석 - 성남시 수정구 수진1동 구역을 대상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Influences for Living Periods between Physical Function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Emotional Satisfaction in a Ghetto Area - Focused on Sujin1 dong in Sungnam City -)

  • 안동준;박성용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7호
    • /
    • pp.31-37
    • /
    • 2018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influences for living periods between physical function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emotional satisfaction in a ghetto area. The research site is 'Sujin1 dong' in Sungnam city which is one of the oldest residential areas in the c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urban contexts for the research site, surveys are conducted to gather the data which are treated by several statistical techniqu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tatistical process,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In the ghetto urban area, (1)-The higher the psychological emotional satisfaction, the longer the living period, (2)-The longer the residence period, the lower the physical and functional satisfaction, (3)-The two satisfactions ten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living period. (4)-The psychological emotional satisfaction is more related with living period than the physical and functional satisfaction is.

AHP분석을 이용한 도시재생사업의 발전에 대한 정책적 대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icy Alternatives to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Using AHP Analysis)

  • 정삼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6_3호
    • /
    • pp.1303-1313
    • /
    • 2022
  • Modern cities need to revitalize the downtown area, which is declining due to population decline, economic recession, and deterio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ally, socially, and physically by introducing and creating new functions. In addition, the hollowing out of the existing city center is getting wors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outskirts of the city. Therefore, the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is the core task of modern cities. This study analyzed based on a basic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rough this, the problems of domestic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problem factors and major improvement plan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analyzed from the expert's point of view us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problems derived to present the policy alternativ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classified into problems related to goal achievement, problems related to the business itself, and problems related to project results. It was subdivided into sub-categories.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factors and major improvements from the expert's point of view by us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 for the problem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the AHP analysis results and experts' opinions, fiv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presented.

사회복지시설의 민간자원 동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후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ocial Welfare Centers and Facilities' Resource Mobilization)

  • 김미숙;김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5-40
    • /
    • 2005
  •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은 자원의 결핍으로 클라이언트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재정적인 한계에 직면한 상황이다. 그 근본적인 이유는 정부지원금의 부족에도 기인하지만 시설이 지역사회의 풍부한 민간자원을 개발하는 기술이 부족한 탓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후원에 초점을 두어 시설의 자원동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시설들이 효과적으로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사회복지시설의 후원업무를 담당하거나 관여를 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시설은 이용시설 3유형(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시설과 생활시설 6유형(아동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여성시설, 정신요양시설, 부랑인시설)시설이었다. 총 1,510개소의 대상 중 조사에 응한 시설은 이용시설 293개소, 생활시설 632개소로 설문응답률은 62%에 이른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자원동원실태로써 후원자수(결연후원자와 시설후원자의 합), 후원액(결연후원액과 시설후원액의 합), 후원물품 현금환가액을 설정하였고, 이용시설과 생활시설에서 각각 세 모델을 구성하였다. 독립변수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참고로 하여 자원동원에 영향을 주는 세 유형인 지역환경요인, 조직요인, 후원개발요인을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보았던 후원개발요인은 많은 모델에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후원자수, 후원액, 후원물품(이용시설 제외) 모델에서 모두 6변수로 구성된 자원개발요인은 최소한 1개의 변수는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후원개발을 위해 후원을 위한 전담부서나 직원을 두며, 후원자 관리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시설, 그리고 후원자 모집 및 관리를 하는 시설이 그렇지 않은 시설보다 자원동원결과가 더 긍정적이었다. 특히 후원자관리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 사용은 생활시설 모델에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생활시설의 후원자수 모델에서는 소재지(대도시)가 유의하였고, 후원액 모델에서는 생활시설의 경우 시설유형(여성시설), 운영기간, 직원 수가 유의하였다. 후원물품 모델에서는 이용시설의 경우 지역 생활환경(중상층), 생활시설의 경우 시설유형(노인, 아동, 정신요양시설), 운영기간이 유의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시설이 자원을 활발하게 동원하기 위해서는 후원개발을 위한 조직이나 인력을 배치해야 하고, 후원자 관리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 및 후원자 모집 및 관리 프로그램을 활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 PDF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환경 영향 및 시공간적 입지 특성변화 분석 (Temporal-spatial Analysis of Environmental Impact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for Industrial Complex Projectsin South Korea)

  • 최현진;박지현;박종윤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5호
    • /
    • pp.317-327
    • /
    • 2021
  • 산업단지는 국내 경제성장에 큰 역할을 담당해왔으나, 대단위 면적 개발사업 및 제조업 관련 산업시설의 집적지로서 조성 및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환경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2019년간 이루어진 국내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산업단지 개발 동향 및 입지 특성의 변화, 산업단지 개발로 야기되는 환경 영향을 파악하였다. 특히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산림 훼손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산업단지와 도심지역과의 인접 정도 및 노출 인구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도출하여 이를 통한 입지 특성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대상 기간 내 국내 산업단지의 개발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으며, 주요 개발지역은 경기, 경남 및 경북, 충남 및 충북으로 확인되었다. 산업단지 개발로 인한 평균 산림 훼손 면적은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단지의 영향권 내 주거시설 및 민감계층 이용시설 분포현황과 노출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국내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토대로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입지 특성변화를 정량적·시계열적으로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fluence of Community Vegetable Gardens on the Settlement in Residential District and Community Spirit of Local Residents from Perspective of Urban Regeneration

  • Hong, In-Kyoung;Yun, Hyung-Kwon;Jung, Young-Bin;Lee, Sang-Mi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9-148
    • /
    • 2020
  • Urban problems raised by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urban areas have caused residents to migrate to other regions while causing other problems such as deteriorated infrastructure, traffic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in existing urban areas. As an alternative to improve this phenomenon, urban regeneration has emerged, and under the assumption that creating community vegetable gardens is effective in revitalizing cities considering their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vegetable gardens in Jungnosong-dong, Wansan-gu, Jeonju-si, Jeollabuk-do, Korea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component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settlement, and community spirit of the two groups comprised of 30 and 35 persons who did not and did participate in gardening respectively.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changes in community spirit after participating in gardening. As a componen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gardening and fence management were found to be important for both the groups, and they seemed to have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residence because they wanted to continue to live in their neighborhood. Overall, the satisfaction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gardening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level than those who did not. Based on the changes in community spirit after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perception in all the components, indicating that the garde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community spirit. As such, the spaces called vegetable gardens are not only for doing physical activities but also as shared conversation topics, and through the activities in the gardens, changes in th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can be brought about through the formation of social networks and natural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y encourage resi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through activities such as planting.

요인 및 군집분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사고 잠재적 피해에 대한 도시 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Th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Urban Types for Potential Damage from Hazardous Chemical Accidents Using Factor and Cluster Analysis)

  • 이승훈;유영은;김규리;백종인;김호현;반영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26-734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damage from hazardous chemical accidents in 229 administrative units in South Korea by reflecting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reas where chemical accidents can occur. Methods: A number of indicators were selected through preceding studies.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selected indicators to derive factors, and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factor scor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229 administrative units were divided into three clust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each cluster had its own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 first cluster, "areas at risk of accident occurrence and spread of damage" was a type with a high potential for accident damage and a high density of hazardous facilities. The second cluster, "Urban infrastructure damage hazard areas" appeared to be a cluster with high urba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Finally, the third cluster 'Urban and environmental damage hazard areas' appeared to be a cluster with an excellent natural environment. This study went further from the qualitative discussion related to existing chemical accidents to identify and respond to accident damage by reflecting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Distinct from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auses of accidents and the response system, it is meaningful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affected areas by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accident damage in reflection of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생활권 개념의 변화에 따른 주거지 계획의 시기별 특성 변화 - 국내 신도시 및 신시가지 계획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Trand of the Multi-family Housing Theory by Planning Community Units - Focused on the new town planning in Korea -)

  • 이종화;구자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79-88
    • /
    • 2009
  • A planned access method on constantly-changing-community unit plan changes and develops based on the periodical situation and also plan theory. In this research, it is to present the link between the theory of complex city change and the plan factor of it, and to show how Korean residential complex plan has changed as time passed and how new concept of city plan came up and by applying new methods how can this affect our real world and the past plan. In the phase of analysis, it analyzed the flow of 'community unit plan' and its theory and investigated the factor of compositional space and built a analysis frame. The factors of community unit plan are space structure, size and shape of block, population, distribution of facilities and movement system. It chose the place that can represent the flow of community unit plan trand and that indicates the obvious development leading to Jamsil (1975), Gwa Chun (1980), Mok Dong (1983), Sang Ge (1985), Ilsan (1989), Dong tan (2001) and Eun Jung (2003) total of 7 places. And to compare a similar size of the city, it selected a small community unit. Based on the result of theoretical study and prior research, it can be said that the space composition style has change from a whole complete complex area to a linked-cross over community unit and the access of urban level was on set. Also, a pedestrian walking area was secured and the dense of building structure and pleasant environment wanting need was in balance. For facility plans, the usage of facility and functional change brought change of type, size and disposition. The walking area for pedestrian became a huge matter. Therefore, market, education, public facilities and green system collaborated to co-build a whole community unit and activated the walking environment. Also, public transportation, environment friendly city organization was b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