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Agenda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26초

Archivaria 리뷰를 통한 국외 기록관리학 연구의 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 Management in North America through the Review of Archivaria)

  • 박희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9-125
    • /
    • 2014
  • 본 연구는 기록관리학 전문학술지인 "Archivaria" 학회지에 발간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북미를 중심으로한 국외 기록관리학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간 "Archivaria" 학술지에 실린 7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량분석을 통해 연구자별 분포, 주제영역별 키워드 분포를 조사하였다. 내용분석을 통해서는 연구논문의 핵심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학의 주요 주제영역에 대한 국외 기록관리학 연구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아태지역 식품안전관리 협력과 역량강화를 위한 APEC의 활동 (The Activities of APEC to Reinforce the Cooperation and the Competence of Food Safety Management in Asia Pacific Region)

  • 이꽃임;황명실;윤혜정;이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6-181
    • /
    • 2012
  • 지속적인 식품안전 사고와 확대된 국제교역은 국제기구들로 하여금 식품안전 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하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법 규제, 조치들, 협력 네트워크, 교육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었고, 특히 나라 간 식품안전 기술조화 및 전문인력 양성에 집중하고 있는 현실이다. APEC 또한 2007년 식품안전협력포럼(FSCF)를 신설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식품안전 향상을 위해 다양한 각도로 노력을 하고 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35개의 activity들이 진행되었고 APEC 프로젝트 절차에 따라 추가로 20여개가 준비 중이다. FSCF에서 수행되는 activity들은 생산에서 소비까지 식품안전 관리에 있어서 국제 최고의 기준과 조치들을 사용함으로 인해 공급사슬 내 에서의 이해당사자들의 능력을 키워 무역을 증진시키고 공중 보건을 지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전략적 목적을 완성하기 위해서 APEC 지역 내 식품안전 정부기관들, 산업체, 학계, 국제기구 등 전문가들 간의 다자간 협력 필요성이 요구되어 교육훈련기관네트워크(PTIN)가 차후에 만들어졌다. 이로 인해 식품 안전과 관련한 과학적 기술적 정보를 교류하고 안전관리 교육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식품안전 분야에서의 국제적인 공조는 필수적이다. 이에 우리나라가 APEC FSCF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아태지역 회원국들의 식품안전기술 향상에 기여할 뿐 아니라 국내 교육지원 프로그램과의 연계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국가 사이버 역량평가 모델을 활용한 국내 사이버안보 정책 의제 도출 연구 (A study on national cybersecurity policy agenda in Korea using national cyber capability assessment model)

  • 송민경;배선하;김소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89-100
    • /
    • 2021
  • 국가 사이버 역량평가는 국가 차원의 사이버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와 그에 대한 국가별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국가 사이버안보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간 우리나라를 평가대상국으로 포함하여 평가를 진행한 다양한 평가결과로부터 국내 사이버역량 개선을 위한 정책적 분석은 다소 부족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 하버드 대학의 벨퍼센터에서 수행한 국가 사이버 추진력 지수(NCPI)의 평가결과에 대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변형·적용해봄으로써 우리나라 사이버안보 정책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공격과 감시 목적의 사이버 기능 활용에 관한 정책 의제 형성이 필요하고, 인텔리전스와 방어에 관한 정책의 실효성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관련 정책 의제를 다루는 국내외 연구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정책개선 방향을 제시하며, 각 정책개선 방향에 관한 심층 연구를 추진할 것을 향후 과제로 제안하였다. 나아가 국가 사이버 역량평가 모델의 정책 분석적 활용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국내 실정을 반영하는 자체 모델 개발·활용이 필요하며, 이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결과 분석 방안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GI를 사용한 PC공동주택 활성화 정책과제 모색 (A Study on the Policy Agenda for Activating PC Apartment using Focus Group Interview(FGI))

  • 배병윤;강태경;신은영;김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88-895
    • /
    • 2020
  • 건설산업에서 근로시간 및 인력 수급의 변화로 탈 현장 공장기반 건설(OSC : Off Site Construction)형태의 생산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과거 1991년에 PC(Precast Concrete) 공동주택의 보급 및 확대 정책이 있었지만, PC 공동 주택은 품질문제 등으로 중단된 후 현재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부문에 OSC 기반 PC 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분석하고 전문가 심층 면접조사(FGI : Focused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정책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과거 정책 벤치마킹을 통해 공공부문 우선 적용을 통한 PC 공동주택 물량제공, 공공택지 우선공급, 용적률 우대, 자금지원, 세제지원, 업역 구조개선, 발주방식 개선, 공장인증시스템, 전문인력 양성 등 9개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FGI를 실시한 결과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PC 공동주택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부분의 선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업역의 개편이나 새로운 발주방식의 도입보다는 협업 강화를 유도하는 정책방향이 바람직하다. 셋째, 적정공사비와 품질확보를 위한 제도적 토대 위에서 PC 활성화가 추진되어야 한다.

'사회문제 해결과 과학기술혁신' 연구의 현황과 과제 (A Review on the Studies of the Societal Challeng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송위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4호
    • /
    • pp.17-45
    • /
    • 2017
  • 이 글에서는 사회문제 해결과 과학기술혁신에 대한 국내 연구들을 리뷰한다.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은 산업혁신과 비교할 때 혁신의 목표, 추진 방식, 생태계가 다른 새로운 접근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문제 해결과 과학기술혁신을 논의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향후 연구의 발전 방향을 다룬다. 이 글은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혁신을 특정 분야에 한정된 논의가 아니라 혁신이론과 정책을 파악하는 새로운 프레임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취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의 특성, 혁신 거버넌스, 혁신주체들의 역할과 생태계, 사회문제 해결형 정책과 다른 정책들간의 관계에 대한 주요 연구 이슈를 제시한다.

South Korea's Role for the joint economic prosperity of South and North Korea

  • KANG, Jang-Oh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1
    • /
    • 2022
  • Purpose - Beginning from the formation of the two governments, South and North Korea in 1948, North Korean collective economy as per trade in exchange strategies with right of way employed on heavy and chemical companies, against the external concerned with South Korean selling economy. This study aims to provide solutions for the joint economic prosperity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utu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dopte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method focuses on themes and concepts that are present in previous literature. This method seeks to derive relationships and meanings by analyzing themes and concepts within existing data. Result - According to qualitative textual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total seven solutions to lead the joint economic prosperity of South and North Korea (Technology Innovation, Energy and Construction,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Gulf market; Oppression via negotiation, Sports and Culture, Agenda-setting and Framing; Competition System). Conclusion - The Korean Government's association strategies outlines tackled in this study are uniform to each other because they are phased, peaceful, regular, and well-designed. But there were situations in which diminutive tenure North Korea approaches was enlisted beyond medium-to-lasting-period union strategies. North Korea should allow a free market whereby its citizens can freely trade among themselves and other people from South Korea.

NON-VALUE ADDING ACTIVITIES IN SOUTH AFRICAN CONSTRUCTION: A RESEARCH AGENDA

  • Fidelis Emuze;John Smallwood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453-458
    • /
    • 2011
  • The construction industry's importance to nation building, economic empowerment, and contributions to global commerce cannot be over emphasised. However, poor productivity, accidents, rework, time and cost overruns, and client dissatisfaction have characterised the industry performance in a multi-dimensional way. The central issue in this particular research is the seemingly inadequate achievement of optimum performance in the construction process, either with respect to value for money for the client and the entire construction supply chain or value in terms of the utility derived from built assets in spite of efforts by government and governmental bodies such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ment Board (cidb) to increase industry performance. Therefore, based upon an extensiv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 paper reports on effects and causes of non-value adding activiti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general, and South African construction in particular.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activities that can be referred to as non-value activities are not only prevalent, but they can also be held responsible for performance related issues in terms of cost, time, quality and health and safety (H&S) in construction; and the exploration of pluralism in the research methodology may result in a robust model based upon the system dynamics approach.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major scope for value optimisation in the construction process especially in terms of availability and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s, which have not only proven successful in other industries, but are also adaptabl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text.

  • PDF

약료서비스 R&D 고도화를 위한 우선순위 기반 전략과제 설정 (Development of Agenda for Pharmaceutical Care Service Research and Development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 한나영;정채린;송윤경;윤정현;장선미;이의경;신현택;이영숙;손현순;지은희;서동철;김대경;오정미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5-55
    • /
    • 2019
  • Background: Although the importance of pharmaceutical care service has been growing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with the improvement of clinical and humanistic outcomes, there was not a systematic strategy to promote research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ore agendas for pharmaceutical care service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onsidering priorities. Methods: Based on desk researches, we developed R&D agendas for the needs of improving pharmaceutical care services in the area of institutio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agendas in developing pharmaceutical care servic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14 experts. Criteria and subcriteria were assessed for significance by pairwise comparisons. Then, agendas were evaluated for importance according to each subcriteria, and rank ordered considering the weight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importance scores of the criteria and the subcriteria. Results: We derived 25 agendas including 13 for institutional pharmaceutical care service, 8 for community pharmaceutical care service, and 4 for public-health related pharmaceutical care service. AHP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4 criteria and 8 subcriteria by a hierarchical structure. From the AHP survey, the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 care service for metabolic and chronic disease' agenda accounted for the highest priority. Conclusion: We have developed the R&D agendas of the pharmaceutical care service which should be promoted. The results should be utilized by the government to national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s and relevant regulations related to pharmaceutical care services in Korea.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 연구 - 정체성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Navigating Identity: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Related Field Professionals' Views on Arts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 신혜선;윤현경
    • 예술경영연구
    • /
    • 제55호
    • /
    • pp.75-113
    • /
    • 2020
  •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재를 성찰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2010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 이행안(로드맵)의 세 번째 목표인 지역 내 소수자와 이민자들을 포용하는 예술교육 전략에 주목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비판 이론(critical theory)을 바탕으로, 문헌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으로 하였다.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본질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탈북 청소년이 체감하는 사회와 정체성 고민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접근방법과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탈북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학습대상자에 대한 이해가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그들이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한 개인으로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인적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동시에 탈북 청소년을 구분 짓는 프로그램이 기존의 대상화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 보인다.

시스템 사고에 의한 학교 자율화 정책 분석 (Analysis of School Autonomy Policy based on the System Thinking)

  • 박수정;권순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5권1호
    • /
    • pp.5-2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hool autonomy policy based on the system thinking perspective using causal loop diagrams. School autonomy was the main educational policy concerning school domain during the last government and was the instrument for school-based management, but it was not implemented effectively in site. The school autonomy policy practically disappeared as an explicit policy agenda in the current government. This study displays causal loop diagrams about the policy's logic and contents of school autonomy, in terms of curriculum,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a supportive system. The causal loop diagrams depic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ool autonomy policy are suggested concerning excessive enforcement and the confirmative mechanism for policy implementation. The conclusion provides some research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