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quired days to harvest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8초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딸기 중 bistrifluron과 chlorantraniliprole의 잔류 특성 연구 (Residual Characteristics of Bistrifluron and Chlorantraniliprole in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for Establishing Pre-Harvest Residue Limit)

  • 이재원;김지윤;김희곤;허경진;권찬혁;허장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7-62
    • /
    • 2017
  • 본 연구는 딸기 중 bistrifluron 및 chlorantraniliprole을 예산군 포장(포장 1), 논산시 포장(포장 2)에 살포한 후, 약제처리 2시간 후를 0일차로 하여 0, 1, 2, 3, 5, 7, 10일에 시료를 채취하였다. 두 시험농약을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 한 후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고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였다. 정량한계는 모두 0.005 mg/kg이었으며, 회수율 분석 결과 bistrifluron의 경우 82.8~103.9%, chlorantraniliprole에서는 82.7~100.2%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10% 미만의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 값을 만족하였다. 딸기 중 bistrifluron 및 chlorantraniliprole의 초기 잔류량은 포장 1에서 0.16 mg/kg, 0.17 mg/kg이었고, 포장 2에서는 0.15 mg/kg, 0.17 mg/kg으로 MRL(bistrifluron: 0.5 mg/kg, chlorantraniliprole: 1.0 mg/kg)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10일 후 잔류량은 포장 1에서 0.05 mg/kg, 0.04 mg/kg, 포장 2에서는 0.05 mg/kg, 0.06 mg/kg이었으며, 초기농도 대비 66.67%, 76.49%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잔류량에 따른 잔류감소 회귀식을 산출한 결과 딸기 중 두 약제에 대한 반감기는 bistrifluron에서는 두 포장 모두 6.3일, chlorantraniliprole은 4.7일(포장 1)과 6.4일(포장 2)로 나타났다. 잔류감소 회귀식을 이용하여 산출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은 bistrifluron과 chlorantraniliprole의 수확 10일전 1.10 mg/kg, 2.29 mg/kg으로 제안하였다.

남부지역에서 콩의 적기파종 대비 후기 파종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and Yield of Soybean on Late-Sowing Compared to Optimal Sowing in the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 김예린;김종혁;노일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61-69
    • /
    • 2024
  • 남부지방(진주)에서 콩 생태형에 따라 적기파종 이후 파종 시기를 달리하였을 때 온도와 일장이 생육일수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기파종 이후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파종하였을 때 모든 생태형에서 출현일, 개화소요일수, 전체 생육일수는 단축되었다. 2. 일장과 온도가 생육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파종~개화기까지 소요일수는 일장과 온도 모두 정의 상관이였고, 개화기~수확기까지 소요일수는 일장은 정의 상관, 온도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3. 추정 회귀모형은 파종~개화까지 소요일수(Y) = 3.177 + (0.030 × (누적일장 + 적산온도)), 개화기~수확기까지 소요일수는 (Y) = 20.945 + (0.021 × (누적일장+적산온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수량은 적기파종에서 가장 높았고 적기파종 이후 늦게 파종할수록 수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조생종은 7월 20일, 중만생종은 7월 10일 이전까지는 파종을 해야 급격한 수량감소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arly wound healing of the hard-palate mucosal harvest site using artificial dermis fixation by a transparent plate

  • Suzuki, Yushi;Tanaka, Ichiro;Sakai, Shigeki;Yamauchi, Tomohir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2호
    • /
    • pp.208-212
    • /
    • 2021
  • Background There are currently no guidelines for the postoperative wound management of the hard-palate donor site in cases involving mucosal harvesting. This study describes our experiences with the use of an artificial dermis for early epithelialization and transparent plate fixation in cases involving hard-palate mucosal harvesting. Methods A transparent palatal plate was custom-fabricated using a thermoplastic resin board. After mucosal harvesting, an alginic acid-containing wound dressing (Sorbsan) was applied to the donor site, which was then covered with the plate. After confirming hemostasis, the dressing was changed to artificial dermis a few days later, and the plate was fixed to the artificial dermis. The size of the mucosal defect ranged from 8×25 to 20×40 mm. Results Plate fixation was adequate, with no postoperative slippage or infection of the artificial dermis. There was no pain at the harvest site, but a slight sense of incongruity during eating was reported. Although the fabr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alatal plate required extra steps before and after harvesting, the combination of the artificial dermis and palatal plate was found to be very useful for protecting the mucosal harvest site, and resulted in decreased pain and earlier epithelialization. Conclusions The combination of artificial dermis and a transparent palatal plate for wound management at the hard-palate mucosal donor site resolved some of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ethods.

수산화칼슘[Ca(OH)2] 처리 배지를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재배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Pleurotus ostreatus (Jacq. ex Fr.) Kummer] at Medium with Ca(OH)2 Treatment)

  • 백승화;이영일;유기용;한성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3-313
    • /
    • 2008
  •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재배에 있어 필수공정인 살균공정을 생략하기 위하여 $Ca(OH)_2$를 처리한 배지(이하 무살균 배지라 칭 함)의 주원료와 두께를 달리하여 지리산 야생주 No.1의 종균을 접종한 후 균사의 활착, 잡균의 오염 수준, 균이 (원기)발생 소요일, 수확일을 조사한 결과와 수확된 느타리버섯의 일반성분, 무기물과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열살균공정을 생략하기 위한 $Ca(OH)_2$[순도95%]의 처리수준은 건배지의 5%(w/w)이었고, 처리초기의 pH는 11이었으며 균일하게 30분간 혼화시키면 pH 9가 되었다. 무살균배지의 pH가 8과 7일 때 잡균이 각각 50%와 100% 발생되었다. 무살균 배지의 주원료가 폐면보다 옥수수 속대를 사용할 때 느타리버섯의 생산량이 $2,030\;ton\;ha^{-1}$까지 증대되었다. 무살균 배지에 균사를 배양시 균사체 배양종료일은 30일이었고, 그로부터 $2{\sim}3$일이 경과되면 균이가 발생되었다. 무살균 배지의 두께를 $70{\sim}80\;mm$로 치상하고, 온도 $22{\sim}26^{\circ}C$, 배지습도 65%, 배지의 pH $6.5{\sim}7.0$ 조건일 때 균이 발생이 가장 빨라 $22{\sim}28$일이 소요되었고, 배지두께가 두꺼울 수록균이 발생은 지연되나 느타리버섯 수량은 증가하였다. 무살균배지에서 수확한 버섯의 Ca 함량은 1차 수확 버섯이 2차 수확 버섯보다 $30.3\;mg\;kg^{-1}$이 더 많았다. 느타리버섯 자루의 굵기에 따른 아미노산 함량은 1차 수확 버섯의 갓과 자루에서 각각 $498.2{\sim}498.8\;mg\;kg^{-1}$$411.16{\sim}343.9\;mg\;kg^{-1}$이었고, 2차 수확 버섯의 갓과 자루에서 각각 $402.37{\sim}498.2\;mg\;kg^{-1}$$442.6{\sim}470.4\;mg\;kg^{-1}$ 범위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느타리버섯 재배를 할 때 $Ca(OH)_2$ 처리에 의한 무살균배지의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적산온도를 활용한 중북부지역 찰옥수수 적정파종기 설정 (Determination of Adaptable Sowing Dates of Waxy Corn Using Growing Degree Days in the Central Northern Area of Korea)

  • 심강보;이종기;구본일;신명나;윤성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3호
    • /
    • pp.269-277
    • /
    • 2019
  •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옥수수 생육 및 수량성을 비교하고 출사기, 출사후 등숙기까지 적산온도를 활용하여 중북부지역에서 적합한 옥수수 파종시기를 구명하고자 2017~2018년 2년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빠를수록 토양온도가 낮아 옥수수 유묘 출현기간이 길었으며, 파종시 기별 평균 유묘 출현소요일수는 조생형인 미백2호가 9.1일, 중생형인 일미찰이 9.5일, 만생형인 찰옥4호가 10.1일 소요되어 조생형일수록 유묘출현소요일수가 짧았다. 2. 지온과 유묘 출현일수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지온이 낮은 4월에는 유묘 출현일수가 16~22일, 지온이 높은 5월에는 9~15일 정도로 감소하였다. 3. 파종기에 따른 경장, 이삭길이, 이삭폭은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조생형인 미백2호는 5월 15일, 중생형인 일미찰은 5월 25일, 만생형인 찰옥4호는 6월 15일 파종에서 각각 수량이 가장 높아 중북부지역의 평년기온 조건에서 생태형별 적정 파종기로 판단할 수가 있었다. 4. 동일 파종조건에서 출사 후 26일 까지 품종 간 유효적산 온도 차이는 적었으나 만생형 품종일수록 성숙기까지 소요적산온도가 적었는데 출사 후 26일까지 유효적산온도는 조생형인 미백2호가 $975^{\circ}C$, 만생형인 찰옥4호가 $604^{\circ}C$이었다. 5. 중북부지역에서 찰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생태형에 따른 품종의 파종지표로 유효적산온도를 활용할 경우 조생형인 미백2호는 출사 후 26일까지 적산온도, 중생형인 일미찰은 전 생육기간 적산온도, 만생형인 찰옥4호는 출사기까지 적산온도가 적합하였다. 6. 중북부지역(강원도, 경기북부)에서 생태형에 따른 찰옥수수를 재배 할 경우 파종기부터 등숙기까지 평균 적산온도는 약 $2,400^{\circ}C$, 평균 출사일수는 65일 이상 조건에서 10 a 당 1,200 kg 수준의 수량성 확보가 가능하였다.

알타리무 삭피용 최적 칼날형상의 구명 (Determination of Optimum Cutter Shape for Peeling Altari Radish)

  • 민영봉;김성태;강동현;정태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5호
    • /
    • pp.421-428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blade shape for peeling Altari radish. To figure out the required peeling force according to various angles of blade and rakes of peeling cutter, two peeling tests such as circumferential peeling and longitudinal peeling of Altari radish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pretest results, which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optimum shape of cutter and to find out the cutting pattern according to the lapse of days after harvesting the radish, the peeling depth and width of the blade were fixed at 2 mm and 10 mm. From two methods of circumferential and longitudinal peeling test, the angles of rake and blade as cutter shape factors were affected on peeling force. But the peeling speed was not affected on it under the safety speed as 0.2 m/s, without blade vibrating on peeling operation. The rake angle was more effective factor than the blade angle, and the optimum angles of blade and rake were 10$^{\circ}$ and 55$^{\circ}$ respectively. The cutting surface by the longitudinal peeling was more smooth than that by the circumferential peeling. There was no problem in peeling work during 4 days after harvest because the freshness of the Altari radish was maintained.

Storage condition that induce black heart of potato (Solanum tuberosom L.)

  • Jin, Yong-Ik;Chang, Dong-Chil;Cho, Ji-Hong;Yu, Dong-Lim;Nam, Jeong-Hwan;Yu, Hong-Seob;Koo, Bon-Choel;Choi, Jong-Kun;Lee, Soon-A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93-193
    • /
    • 2017
  • The black heart in potato is a physiological disorder that occurs when potatoes suffer from breathing problems. When storing potatoes at a low temperature around $0^{\circ}C$,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respiration rate of potato will rise and black heart will occur. Also, respiration can occur easily and briefly in a state where high temperature and ventilation is insufficient. Recently, as black heart has been occurred continuously and severely in South Korea, here we tried to identify the causes of black heart in potato and to develop the control strategy of this disorder. Firstly, we analyzed the influence on the black heart on the basis of preservation containers (breathable plastic box, burlap bag, paper box, sealed plastic box). After harvesting the potato which is cv. Superior, it preserved for 6 months under conditions of temperature $3.5^{\circ}C{\pm}0.2$ and humidity 85%, after then we surveyed the incidence of emergence rate, rate of weight loss and occurrence rate of black heart. Second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ime point of black heart initiation under the oxygen concentration condition of 1% or less, The potatoes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stored for 6 months in a aerated plastic box under conditions of temperature $3.5^{\circ}C{\pm}0.2$ and humidity 85% under sufficient oxygen condition. After stored for 6 month, those were stored at $15^{\circ}C$ and below 1% of oxygen for 25 days, and then the incidence of black heart was surveyed. Thirdl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days after harvest on the occurrence of black heart, it was examined the occurrence of black heart stored on 40 days and 100 days after harvesting under sealed condition and vacuum condition.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potato storage was stored was at $4^{\circ}C$ and $25^{\circ}C$ in humidity 85%.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occurrence of black heart depending on the storage containers, all of the potatoes stored in the sealed plastic box had been occurred black heart. However, black heart of the potatoes in the other treatments did not. Potato preserved under the condition of below 1% of oxygen was found to occur 32% black heart after 25 days of storage. The potatoe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number of days after harvesting were stored for 31 days and the black heart was examined on the occurred. As a result, the potatoes which were 40 days after the harvest did not have black heart under sealed condition and vacuum condition. But potatoes harvested 100 days after harvesting had a black heart incidence of 95.7% under sealed condition at $4^{\circ}C$. The potato placed in the vacuum condition and a sealed state at $25^{\circ}C$ was transformed into anaerobic respiration, the inner tissue of tuber collaps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black heart is caused by the breathing trouble in the central part when the oxygen is almost consumed after the aerobic respiration which gradually consumes the oxygen. We conclude that the black heart occurred in the central part where exchange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is the slowest is sensitive to respiration disorder. It is thought that research to investigate black heart generation time according to storage conditions and post-harvest state of potatoes is further necessary.

  • PDF

파종시기가 찰옥수수 2기작 재배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Dates on Harvesting Time of Double Cropped Waxy Corn)

  • 정건호;이재은;서종호;김선림;김대욱;김정태;황태영;권영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95-201
    • /
    • 2012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라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무상기간이 길어지고 재배기간도 길어지고 있다. 이상기상으로 재해가 심화되는 위기요인이 있으나 작물 재배기간이 연장되고, 이러한 기회요인을 적극 활용한 작부체계가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봄 재배 시 7월 하순~8월 상순의 홍수출하로 인한 가격폭락 문제의 해법을 제시하고 신선한 풋옥수수 공급 기간을 늘리기 위한 찰옥수수 2기작 작부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생태형 및 파종시기별 수확적기를 구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2009~2010년에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찰옥수수의 조생종 품종 찰옥 1호와 만생종 품종 일미찰, 찰옥 4호를 재료로 하여 풋옥수수의 2기작 재배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기작재배에 따른 출사일수는 후기작으로 갈수록 짧아지고, 출사에서 수확까지 소요되는 일수가 증가하였다. 4월 상순~하순에 파종할 경우 생태형에 관계없이 수확기는 출사 후 23~25일 정도 소요되었다. 조생종인 찰옥1호를 7월 상순~하순에 파종할 경우 수확기는 출사 후 28~31일 정도 소요되고, 중만생종인 일미찰은 7월 상순~중순에 파종할 경우 수확기가 출사 후 29~31 일, 7월 하순에 파종할 경우 약 39일 정도 소요되었다. 2. 파종에서 수확까지 적산온도는 약 $1700^{\circ}C{\sim}2100^{\circ}C$ 정도였고, 출사 후 수확까지의 최소 소요 적산온도는 약 $600^{\circ}C{\sim}680^{\circ}C$였다. 3. 이삭길이는 전기작보다 후기작에서 다소 길어지고 일미찰과 찰옥 4호는 증가하였는데, 찰옥 1호는 1기작재배에 비하여 2기작재배에서 감소하였다. 4. 상품 이삭수는 2기작재배가 1기작재배에 비하여 찰옥 1호는 약 101%였고, 일미찰과 찰옥 4호는 92% 및 99%로 감소하였다. 수확량은 2기작의 경우 전기작에 비해 약 74%~78%정도였다. 5. 찰옥수수 2기작 재배는 파종 후 수확까지의 생육기간은 전기작에 비해 짧았으나, 출사 후 수확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오히려 길어졌다.

청우밀의 수확시기가 생산성 및 조사료 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ing Time on Yield and Forage Value of a Winter Wheat Cultivar 'Cheongwoo')

  • 오서영;서종호;최지수;김태희;오성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2-181
    • /
    • 2023
  • 국내 조사료 자급률을 높이고 양질의 동계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청우밀을 대상으로 출수기 후 생육 단계별로 조사료 생산성과 사료가치 등을 분석하여 적정수확시기를 살펴보았다. 청우밀의 생육단계별 지상부 생산량은 출수 후 30일까지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지상부에서 이삭이 차지하는 비율은 출수 후 30일까지는 40% 이하로 낮았지만 그 이후에는 60%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출수 후 30일에 청우밀 지상부의 단백질 함량과 상대적 사료가치(RFV)가 최고점에 달하는 반면 산성세제불용섬유소(ADF)와 중성세제불용섬유소(NDF)는 낮았다. 또한 청우밀 지상부의 무기질 성분들이 반추가축이 필요로 하는 적정기준 범위 내에 있거나 최대 허용 수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따라서 반추가축의 조사료로 활용하기 위한 청우밀의 수확시기는 조사료 생산성, 사료가치 등을 고려하였을 때 출수 후 30일 전후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출수 후 30일에 조사료를 수확하면 시기적으로 2모작 작부체계 시 후작인 벼의 이앙이나 밭작물 파종에도 유리할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시기가 신선편이 결구상추의 품질 및 미생물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 Seasons on Quality and Microbial Population of Fresh-cut Iceberg Lettuce)

  • 인병천;김지강;;이정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3-350
    • /
    • 2010
  • 본 연구는 수확시기와 같은 수확 전 요인이 수확 후 신선편이 결구상추의 품질과 미생물 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신선편이 가공업체에서 사용하는 결구상추를 5, 6, 7, 10, 12월에 수확하여 관행적인 방법으로 가공한 뒤 필름에 포장하고 $5^{\circ}C$에서 9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조사를 하였다. 미생물 측정을 위한 샘플은 각 단계별(수확, 수송, 가공전, 절단, 1차-세척, 2차-세척, 저장 후 3, 6, 9일)로 수집되었다. 실험 결과 하우스에서 재배되어 5, 10월에 수확된 결구상추는 신선편이 가공 후 포장백 내부의 $O_2$ 농도가 낮고 $CO_2$는 매우 높았으며, 제품의 전해질 누출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노지에서 재배된 6, 7월 수확 및 겨울철 하우스재배인 12월에 수확한 원료 는 비교적 낮은 $CO_2$, 전해질 누출 및 갈변을 나타내었다. 원료상태의 미생물수는 7월(6.76 log)에 가장 높았고, 신선편이 가공 후 저장중의 미생물 증식은 5월 시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신선편이 결구상추를 고온, 저습조건의 노지에서 재배되어 6월 상순에 수확한 원료를 사용한 경우 품질과 미생물적 안전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반면, 하우스에서 재배되어 10월에 수확한 결구상추를 원료로 사용한 경우 가공 전과 후의 미생물적 안전성은 모두 우수하였으나, 이취가 빨리 발생하여 품질특성이 나쁘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중 고품질의 신선편이 결구상추 생산을 위해서는 품질과 안전성을 동시에 제어하고 원료의 환경에 따른 품질유지 기간을 달리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