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al Function

검색결과 782건 처리시간 0.034초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상완-발목 맥파 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on Upper Arm-Ankle Pulse Wave Velocity)

  • 강지훈;신상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73-680
    • /
    • 2019
  • 본 연구는 2016년 4월 1일부터 2016년 10월 31일까지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435명을 대상으로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정상 호모시스테인 군과 무증상 고호모시스테인 군 간에 발목-상완 pulse wave velocity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 심혈관 질환 발생의 향후 예측인자로서 호모시스테인 검사와 동맥의 경직도를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상완-발목 pulse wave velocity의 직접적인 상호 연관성을 비교해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고 호모시스테인혈증 군에서 정상 호모시스테인 군에 비해 연령, 허리둘레, BUN, 혈장 크레아티닌이 유의하게 높았고, HDL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고 호모시스테인혈증은 흡연 및 음주 여부와 관련이 있었으며, 남성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관련 변수를 보정하기 전에는 고 호모시스테인 군에서 우측 및 좌측 상완-발목 맥파 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관련 변수를 보정한 후에는 두 군의 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국내 수검자를 대상으로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낮추는 중재적 치료 후 심혈관질환 예방에 대한 독립적 연관성 및 호모시스테인과 신장 기능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모델 랫드에 간 허혈/재관류로 유발된 손상에 대한 항산화제의 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s on Damage Induced by Liver Ischemia/Repefusion in a Rat Model)

  • 안용호;석푸름;오수진;최진우;신재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70-378
    • /
    • 2019
  • 허혈 재관류 손상은 기관 이식, 외과적 혈관 재개통 및 출혈시에 발생하며 조직 및 기관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 최근 허혈 재관류 손상의 기전적 연구를 위해 간장 허혈 모델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허혈 재관류 랫드 모델을 이용하여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Vanillin에 의한 간장 및 신장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알아보고 관련된 기전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물질은 각각 100 mg/kg의 농도로 3일간 투여한 후, 60분동안 간을 결찰하여 허혈 재관류를 유도하여 관찰하였으며, 음성대조군, sham대조군 및 허혈재관류만 실시한 허혈 재관류대조군을 따로 두어, 약물투여군과 비교하였다. Vanillin 처치군에서는 AST, ALT 활성이 허혈 재관류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억제되었고, 조직병리학적 관찰에서도 염증 부분과 괴사부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MDA와 SOD는 허혈 재관류군에 비해 유의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Vanillin은 간장 허혈 재관류에 의한 세포염증 및 세포괴사를 완화시켜 간세포 보호작용을 나타내었고, 신장의 사구체 및 원위세뇨관에 염증 변화를 완화 시키고 있어 세포 손상을 방어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방어효과는 항산화 기능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칼슘과 마그네슘이 조절된 해양심층수가 신장세포에서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um and magnesium-balanced deep sea water on antioxidation in kidney cells)

  • 조소민;남자인;박건희;김병구;정귀화;허병석;김지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2호
    • /
    • pp.165-17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심층수(DSW)가 신장 기능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를 세포 모델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DSW 샘플은 최적의 칼슘/마그네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기 다른 칼슘 및 마그네슘 비율을 가진 4가지 샘플-미량 미네랄(TM), 고 마그네슘(HM), 고 마그네슘 저염(HMLS) 및 고 마그네슘 고 칼슘(HMHC)-로 준비되었다. 신장 세포주 HEK293를 2시간 동안 NaCl로 처리하여 ROS를 유도한 후, 마그네슘과 칼슘 등의 미네랄이 서로 다른 비율로 용해된 물로 처리하여 ROS 농도와 항산화 효소 활성 및 단백질을 측정하였다. 물 샘플 중 HMLS는 ROS에 대한 세포에 가장 많은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세포 내 글루타티온 함량은 HMLS 그룹과 HMHC 그룹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TM과 HMHC는 항산화 유전자의 mRNA 발현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DSW가 과도한 나트륨 섭취로 인한 신장의 산화 스트레스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ROS 농도와 항산화 마커 측정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HMLS와 HMHC가 신장 세포 모델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 DSW 샘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국 성인에서 고혈압과 신기능 저하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and the Declining Renal Function in Korean Adults)

  • 이준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2-40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에서 고혈압(HTN), 추정사구체여과율(eGFR) 및 소변미세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ACR)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제 6차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4)에서 20세 이상 8,922명(남자 3,941명, 여자 4,981명)을 대상으로 관련변수를 보정한 후, 신기능저하(eGFR <60 mL/min/1.73 ㎡) 및 알부민뇨(ACR ≥30 mg/g)에 따른 고혈압의 위험률을 분석하였다. 남자의 경우 HTN [수축기 혈압(SBP) ≥140 mmHg, 이완기 혈압(DBP) ≥90 mmHg 또는 HTN 약물 사용]의 위험비(ORs)가 정상 그룹(eGFR ≥60 mL/min /1.73 ㎡ 및 ACR <30 mg/g)에 비하여 저하된 eGFR 그룹(eGFR <60 mL/min/1.73 ㎡, 1.98; 95% CI, 1.21~3.24), ACR 상승 그룹(ACR ≥30 mg/g, 2.03; 95% CI, 1.54~2.69), eGFR이 감소하고 ACR이 증가된 그룹(eGFR <60 mL/min/1.73 ㎡ 및 ACR ≥30 mg/g, 6.03; 95% CI, 2.82~12.92)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에서 HTN의 위험률은 정상 그룹보다 eGFR 저하 그룹(2.29, 95% CI, 1.27~4.13), ACR 상승 그룹(2.22, 95% CI, 1.68~2.94)과 eGFR이 저하되고 ACR이 증가된 그룹(10.77, 95% CI, 3.89~29.82)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과적으로 HTN은 한국 성인에서 eGFR 저하, ACR 상승과 관련이 있으며, eGFR 저하와 ACR 상승이 동시에 발생했을 때 HTN의 유병률이 크게 증가했다.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of acute kidney injury after total hip or knee replacement surgery

  • Lee, Yoo Jin;Park, Bong Soo;Park, Sihyung;Park, Jin Han;Kim, Il Hwan;Ko, Junghae;Kim, Yang Woo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136-141
    • /
    • 2021
  • Background: Postoperative acute kidney injury (AKI), which increases the risk of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poses a major concern to surgeons. We conducted this study to analyz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AKI after orthopedic surgery.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that included 351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hip or knee replacement surgery at Inje University Haeundae Paik Hospital between January 2012 and December 2016. Results: AKI occurred in 13 (3.7%) of the 351 patients. The patients' preoperativ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was 66.66 ±34.02 mL/min/1.73 m2 in the AKI group and 78.07±21.23 mL/min/1.73 m2 in the non-AKI group. The hemoglobin levels were 11.21±1.65 g/dL in the AKI group and 12.39±1.52 g/dL in the non-AKI group. Hemoglobin level was related to increased risk of AKI (odds ratio [OR], 0.13; 95% confidence interval [CI], 0.02-0.68; p=0.016). Administration of crystalloid or colloid fluid alone and the perioperative amount of fluid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KI. Further analysis of the changes in eGFR was performed using a cutoff value of 7.54. The changes in eGF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creased risk of AKI (OR, 0.74; 95% CI, 0.61-0.89; p=0.002). Conclusion: Renal function should be monitored closely after orthopedic surgery if patients have chronic kidney disease and low hemoglobin level. Predicting the likelihood of AKI occurrence, early treatment of high-risk patients, and monitoring perioperative laboratory test results, including eGFR, will help improve patient prognosis.

뇌졸중으로 인한 운동 관련 후유증의 한의 치료 연구에서 뇌졸중 시기 및 평가 척도에 대한 국내 문헌 고찰 (A Review of the Stroke Stage and Outcome Measures in Stroke Motor Sequelae Clinical Studies in Korea)

  • 이지은;천세은;전민결;신용진;임정태;신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56-679
    • /
    • 2022
  •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fidelity of stroke stage reporting, the timeliness of the outcome measures, and the use of the core outcome set. Methods: We searched the literature using 6 domestic databases. We selected studies that used Korean medicine interventions and targeted stroke patients with motor sequelae. We examined whether the included studies reported the stroke stage and whether they used the outcome measures in the appropriate period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of the "Stroke Evidence Database to Guide Effectiveness". We also confirmed the use of the essential assessment tools suggested by the core outcome set. Results: Overall, 77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with 16 (21%), 55 (71%), and 6 (8%) published on the acute, subacute, and chronic phases, respectively. Only 11 of the studies directly mentioned the stroke stage. The most commonly used assessments were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Modified Barthel Index, and Manual Muscle Testing. Only 5 studies failed to apply the stage-related outcome measures at the recommended period. The outcome variables used inadequately were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ies,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an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mong the core outcome set items, some studies used liver and renal function tests, but no herbal medicine safety reporting was conducted. Conclusions: In future studies, we propose to ensure accurate reporting of the stroke stage with reliable outcome measures to deliver better clinical and research outcomes. Furthermore, in future clinical studies on stroke, a standard protocol that reflects the core outcome set should be developed.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유래 decursin, decursinol 그리고 decursinol angelate의 약리 효과 (Pharmacological Effect of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and Decursinol Derived from Angelica gigas Nakai)

  • 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28-1141
    • /
    • 2021
  • 당귀는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 지역에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한약재 중 하나인데 주로 조혈, 혈행 개선 기능을 바탕으로 한 여성 건강관리 외에도 진정, 진통 그리고 강장 효과를 목적으로 사용되어왔다. 특히, 다른 국가에서 재배 생산되는 당귀에서는 decursin, decursinol 그리고 decursinol angelate와 같은 피라노쿠마린 계열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이 적지만,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함유량이 많아 약효 등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지난 20여년간 decursin, decursinol 그리고 decursinol angelate의 약리학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항암제투여 부작용으로서의 호중구감소증 예방을 포함하는 항종양 효과를 비롯하여 고지질혈증, 당뇨, 생리 불순, 신장기능 장애 등에 대한 대사 순환계 개선, 천식 등에 대한 호흡기계 개선, 인지 개선, 항염증 작용, 항산화 작용, 적혈구 및 혈소판 등 혈구세포의 수준 증가, 임신율 개선 효과 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다양한 식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일정 수준 정제되지 않았거나 섭취 용량에 제한이 없는 식품류의 개발에 대해서는 이들 성분의 과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과 같은 안전성 프로파일에 대한 부분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참당귀에 함유된 피라노쿠마린계 물질의 약리학적 효과와 함께 잠재적인 독성 등과 같은 특성을 요약하여 앞으로의 천연물 기반 제품의 개발 방향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참당귀 등의 소재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식물성 신약 등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네트워크 약리학을 기반으로한 총명공진단(聰明供辰丹) 구성성분과 알츠하이머 타겟 유전자의 효능 및 작용기전 예측 (Network pharmacology-based prediction of efficacy and mechanism of Chongmyunggongjin-dan acting on Alzheimer's disease)

  • 권빛나;유수민;김동욱;오진영;장미경;박성주;배기상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6-118
    • /
    • 2023
  • Objectives: Network pharmacology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nd analyzing a drug-compound-target network to predict potential efficacy and mechanisms related to drug targets. In that large-scale analysis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it is considered a suitable tool to explore the function and role of herbal medicine. Thus,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functions and pathways of Chongmyunggongjin-dan (CMGJD) on Alzheimer's disease (AD) via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Methods: Using public databases and PubChem database, compounds of CMGJD and their target genes were collected. The putative target genes of CMGJD and known target genes of AD were compared and found the correlation. Then, the network was constructed using Cytoscape 3.9.1. and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Gene Ontology (GO) Biological process and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Pathways to predict the mechanism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total 104 compounds and 1157 related genes were gathered from CMGJD. The network consisted of 1157nodes and 10034 edges. 859 genes were interacted with AD gene set, suggesting that the effects of CMGJD are closely related to AD. Target genes of CMGJD are considerably associated with various pathways including 'Positive regulation of chemokine production', 'Cellular response to toxic substance', 'Arachidonic acid metabolic process', 'PI3K-Akt signaling pathway', 'Metabolic pathways', 'IL-17 signaling pathway' and 'Neuroactive ligand-receptor interaction'. Conclusion: Through a network pharmacological method, CMGJD was predicted to have high relevance with AD by regulating inflammatio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effects of CMGJD on AD.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한 조영제 부작용 예측 연구 (Contrast Media Side Effects Prediction Stud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 김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23-43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의 신체정보와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여 부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고 조영제 부작용의 정도를 예측하여 이를 완화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한 데이터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의 검진을 시행한 CT 검사 58,000건 중 조영제 부작용이 발생한 1,235건 중 과거력 조사에서 조영제 부작용이 없었던 606명의 검사자를 대상자로 하였다. 606개 샘플 중 70%는 훈련 셋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30%는 검증을 위한 테스트 셋으로 사용하였다. 나이, BMI(Body Mass Index), GFR(Glomerular Filtration Rate), BUN(Blood Urea Nitrogen), GGT(Gamma Glutamyl Transgerase), AST(Aspartate Amino Transferase,), and ALT(Alanine Amiono Transferase)의 feature를 독립변수로 조영제 중증도를 목표변수로 사용하였다. AdaBoost, Tree, Neural network, SVM, Random foest 알고리즘을 통해 AUC(Area under curve), CA(Classification Accuracy), F1, Precision, Recall을 파악하였다. 분류 예측에 사용된 알고리즘 중 가장 높은 평가지표를 나타내 것은 AdaBoost와 Random Forest이다. 모든 모델의 예측에서 가장 큰 요인은 GFR, BMI, GGT 이였다. 이는 신장 여과 기능, 비만에 따라 주입되는 조영제 양의 차이와 대사증후군의 여부에 따라 조영제 부작용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생아 선별검사를 통해 진단된 1형 타이로신혈증의 NTBC 치료 사례 보고 (Case Report on NTBC Treatment of Type 1 Tyrosinemia Diagnosed through Newborn Screening)

  • 정지은;김화영;고정민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9-44
    • /
    • 2023
  • HT-1은 FAH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타이로신 대사의 중간산물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유전성 대사 질환이다.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간 기능 및 신세뇨관 기능 장애와 더불어 Fanconi 증후군, 포르피린증과 유사한 증상, 지능지수 감소, 인지기능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탠덤매스 스크리닝을 이용한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과 함께 NTBC 약물 치료의 도입으로 치료 성적이 향상되었다. 본 증례는 생후 1개월에 급성 HT-1으로 진단 후 4년 7개월째 NTBC 치료 중인 증례로, 환아는 현재까지 단백 제한식이와 NTBC 복용을 유지하면서 언어지연 외에 특별한 합병증 없이 추적 관찰 중이다. NTBC의 복용이 간 및 신장 기능의 보존과 신경학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