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ote Observatory system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극궤도 위성 관측을 이용한 지표면에서의 태양 복사에너지 도출 (Derivations of Surface Solar Radiation from Polar Orbiting Satellite Observations)

  • 김동철;정명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1-2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대기 상단에서 반사된 복사와 지표면에서 흡수된 복사에너지가 서로 선형 관계임을 보인 기존의 알고리즘을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관측 자료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여 하향 및 순 태양 복사에너지를 산출하였다. 비교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Clouds and the Earth's Radiant Energy System (CERES) 센서와 강릉원주대학교(GWNU), 미국의 Atmospheric Radiation Measurement (ARM) 관측소의 지상 일사계 자료를 사용하였다. 지구 에너지 수지와 관련하여 지표면에서의 복사에너지를 비교하기에 앞서 알고리즘을 통한 산출 결과와 CERES 자료의 대기 상단 복사에너지를 비교한 결과, 결정계수가 0.9이상을 보여 상당히 유사함을 보였지만 Root-Mean-Square-Deviation (RMSD) 값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향과 순 태양 복사에너지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강릉원주대학교 자료와 비교한 결과, 본 연구의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된 결과가 CERES 자료보다 작은 RMSD를 보임으로서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한편, ARM 관측소의 경우 하향 태양 복사에너지의 평균적인 RMSD가 CERES 자료에 비해 다소 크게 산출되었지만 순 태양 복사에너지의 경우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시 공간 해상도를 고려하였을 때 상당히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을 통해 향후 지상 관측을 대신하여 위성 관측으로부터 지표면에서의 하향 및 순 태양 복사에너지 자료를 고해상도로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속초 GNSS 가강수량을 이용한 라디오존데 센서별 편향 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Radiosonde Sensors Bias Using Precipitable Water Vapor from Sokcho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bservatory)

  • 박창근;조정호;심재관;최병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3-274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2007년에서 2014년까지의 여름철에 대해 속초기상대 라디오존데 관측을 통해 산출된 가강수량과 속초 GNSS 관측소의 가강수량을 비교하였다. 라디오존데 센서 유형별 수증기량 관측 자료가 주야간 및 강수 발생 유무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두 관측기기의 주간, 야간별 관측 시점에 따른 가강수량 산포도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주간의 라디오존데 관측에서는 건조 편향이 발견되었다. 특히 RSG-20A 센서는 주간, 야간에서 다른 센서에 비해 건조 편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GNSS 가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라디오존데 가강수량이 GNSS 가강수량에 대해 과대 추정에서 과소 추정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라디오존데 가강수량의 편향 및 오차에 대한 정량적 분석에서는 2007, 2008년을 제외하고는 센서 종류에 상관없이 여름의 주간에 비해 야간에서 더 작은 평균 편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여름철 강수의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는 RS92-SGP 센서가 가장 뛰어난 품질의 결과를 보였다.

BL ERIDANI의 측광관측과 광도곡선 분석 (PHOTOMETRIC OBSERVATIONS AND LIGHT CURVE ANALYSIS OF BL ERIDANI)

  • 한원용;임홍서;이충욱;윤재혁;윤요나;김호일;문홍규;변용익;박선엽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319-326
    • /
    • 2006
  • 한국천문연구원의 NEOPAT 팀과 연세대학교 천문대의 YSTAR 팀이 공동으로 호주 Siding Spring 천문대에 설치한 광시야 자동망원경 2호기를 이용하여 W UMa형 식쌍성 BL Eri의 측광관측을 수행하였다. 이 망원경을 이용하여, 호주와 한국에서 각각 자동관측 모드 및 원격관측 모드로 6일 밤을 관측하여, 새로운 VRI CCD광도곡선과, 5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얻었다. Wilson & Deviney(1971)의 쌍성모델 2005 버전을 이용하여 우리의 광도곡선을 분석하고, 새로운 광도곡선 해를 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구한 질량비 0.48은 이전의 연구자들이 구한 값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편 이 방성계의 접촉상태를 Wilson & Deviney모델을 적용하여 확인한 결과, 현재 BL Eri는 접촉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지기상위성의 밝기온도로 분석한 2004년 동아시아지역에서 발생한 여름철 대류 시스템의 특성과 그 예측 가능성 (The Characteristics and Predictability of Convective System Based on GOES-9 Observations during the Summer of 2004 over East Asia)

  • 백선균;최영진;정주용;조천호
    • 대기
    • /
    • 제16권3호
    • /
    • pp.225-234
    • /
    • 2006
  • Convective systems propagate eastward with a persistent pattern in the longitude-time space.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and fluctuation of convective system is helpful in determining its predictability. In this study, convective index (CI) was defined as a difference between GOES-9 window and water vapor channel brightness temperatures following Mosher (2001). Then the temporal-spatial scales and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mmer convective systems in the East Asia were analyzed. It is found that the average moving speed of the convective system is about 14 m/s which is much faster than the low pressure system in the summer. Their average duration is about 12 hours and the average length of the cloud streak is about 750km. These characteristics are consistent with results from other studies. Although the convective systems are forced by the synoptic system and are mostly developed in the eastern edge of the Tibetan Plateau, they have a persistent pattern, i.e., appearance of the maximum intensity of convective systems, as they approach the Korean Peninsula. The consistency of the convective systems, i.e., the eastward propagation, suggests that there exists an intrinsic predictability.

Solar Interior Currents Presumed by Solar Surface Magnetic Fields

  • Bogyeong Kim;Yu Yi
    • 천문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87-194
    • /
    • 2023
  • The remote sensing technique of measuring the magnetic field was applied first to sunspots by Hale (1908). Later Babcock (1961) showed that the solar surface magnetic field on a global scale is a dipole in first-order approximation and that this dipole field reverses once every solar cycle. The Wilcox Solar Observatory (WSO) supplies the spherical harmonics coefficients of the solar corona magnetic field of each Carrington Rot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remotely-sensed photospheric magnetic field of the solar surface. To infer the internal current system producing the global solar coronal magnetic field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Sun, we calculate the multipole components of the solar magnetic field using the WSO data from 1976 to 2019. The prominent cycle components over the last 4 solar activity cycles are axis-symmetric fields of the dipole and octupole. This implies that the current inversion driving the solar magnetic field reversal originates from the equatorial region and spreads to the whole globe. Thus, a more accurate solar dynamo model must include an explanation of the origin and evolution of such solar internal current dynamics.

NEW DESIGN CONCEPT FOR UNIVERSAL CCD CONTROLLER

  • Han, Won-Yo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41-52
    • /
    • 1994
  • Currently, the CCDs are widely used in astronomical observations either in direct imaging use or spectroscopic mode. However according to the recent technical advances, new large format CCDs are rapidly developed which have better performances with higher quantum efficiency and sensitivity. In many cases, some microprocessors have been adopted to deal with necessary digital logic for a CCD imaging system. This could often lack the flexibility of a system for a user for to upgrade with new devices, especially if it is a commercial product. A new design concept has been explored which could provide the opportunity to deal with any format of devices from any manufactures effectively for as tronomical purposes. Recently available PLD (Programmable Logic Devices)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develop such digital circuit design, which can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onent, instead of using micrprocessors. The design concept could dramatically increase the efficiency and flexibility of a CCD imaging system, particularly when new or large format devices are available and to upgrade the performance of a system. Some variable system control parameters can be selected by a user with a wider range of choice. The software can support such functional requirements very conveniently.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not only to astronomical purpose, but also to some related fields, such as remote sensing and industrial applications.

  • PDF

New Developments for Mosaic CCDs

  • Han, Wonyong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1993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2권2호
    • /
    • pp.21-21
    • /
    • 1993
  • The imaging areas of currently available optical detectors are relatively small to cope with large image areas such as telescope focal Planes. One Possibility to obtain large detection areas is to assemble mosaics of Charge Coupled Devices(CCDs) and drive them simultaneously. Parallel driving of many CCDs together rules out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 tuning; however such optimisation is very important when the ultimate low light level performance is required particularly for new devices. In this work, a new concept has been developed for an entirely novel approach where the drive waveforms are multiplexed and interleaved. This simultaneously reduces the number of leadout connections and permits individual optimisation efficiently. The controller has been designed to include one electronic of component produced by CAD software where most of the digital circuits are integrated to minimise the component count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greatly. The software has an open architecture to permit convenient modificationl by the user to fit their specific purposes. The desire of controller allows great flexibility of system parameters by the softwa re, specifically for the compatibility to deal with any number of mixed CCDs and in any format within the practical limit. The system has been integrated to test the performance and the result is discussed for readout noise, system linearity and cross-talk between the CCDs.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work can be applicable not only for astro nomical observation with a telescope but also in other related fields for low light level detection systems such as spectroscopic application, remote sensing and X-ray detecti13n systems with large sensing areas and high resolution.

  • PDF

원격참조(RR: Remote Reference) 기법과 신호잡음분리(SNS: Signal Noise Separation)기술을 이용한 용인 관측소의 지자기 전달함수 분석 (An Analysis on the Geomagnetic Transfer Function at Yongin Observatory Using by RR (Remote Reference) and SNS (Signal Noise Separation) Technique)

  • 양준모;이덕기;권병두;류용규;윤용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2호
    • /
    • pp.155-163
    • /
    • 2005
  • RR (Remote Reference)과 SNS (Signal Noise Separation) 기법을 도입하여 용인과 이천에서 측정된 지자기 전달함수를 분석하였다. RR 기법은 측정 사이트와 동시에 기록되는 원격참조 자료를 사용하여 자기장의 비상관 잡음 (un-correlated noise)을 제거하는 기법으로서 전달함수의 편향을 최소화한다. 한편 SNS 기법은 원격참조 자료가 잡음이 거의 없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신호에 의한 전달함수와 상관잡음(correlated noise)에 의한 전달함수를 분리하는 기법으로서, 측정 사이트에 상관잡음이 지배적인 경우에도 신호에 의해 전달함수를 성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질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이천을 원격참조 자료로 사용하여, 용인에서의 전달함수를 분석하였다. RR기법을 적용한 곁과, 단일 로버스트 추정(Single robust estimation)에서 나타났던 편향이 감소되었고, 주파수에 따른 전달함수의 연결성도 향상되었다. 잡음원에 대한 보다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 SNS 기법을 적용한 결과, 주기 100초 이하에서 용인의 서쪽에 존재하는 잡음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잡음원은 용인의 서쪽을 지나가는 국철, 고속철도 등의 철도 시스템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Citizen Science in KMLA

  • Hong, Sukbum A.;Rhee, SeungJun;Yun, Jeongjun;Kim, Minseok;Lee, Seung Ho;Kim, Jaihyun;Son, Gukmyeong
    • 천문학회보
    • /
    • 제43권1호
    • /
    • pp.64.4-65
    • /
    • 2018
  • We present a study of citizen science performed at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KMLA). The importance of citizen involvements in scientific studies has been increasing, with remarkable results and performances. For instance, the discovery of an impact scar near Jupiter's south polar region (A. Wesley, 2009) led to an international campaign of professional observations to understand the asteroidal collision responsible for the scar. Citizen science at KMLA has been and will be mainly conducted by members of the astronomical observation club 'Apple-Pie' through amateur telescopes. Members of 'Apple-Pie' are specialized in various fields related to astronomy, from planetary science to cosmology. The spectrum not only includes field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astronomy but also fields such as computer science and astrophotography. The scheduled construction of a new observatory will further enable students to participate in higher level projects such as planetary monitoring over long timescales and the observation and detection of solar system bodies and exoplanets. In addition, a new supervisor with expertise and research experience in galactic astronomy, planetary science, and meteorology has joined the school faculty. He will supplement students with fundamental theoretical backgrounds and essential research techniques to enhance astronomical research at KMLA. KMLA's ultimate goal is to deploy a remote-controlled observatory available to aspiring scientists around the world to create a network of citizen science system. The prime observational conditions of KMLA and the willingness of the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will provide a competitive edge for KMLA over other similar institutes in Korea.

  • PDF

원격 유성 분광 관측 시스템 구축과 관측 사례 연구 (Establishment of Remote Meteor Spectroscopic Observation System and Observation Case Study)

  • 최동열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2
    • /
    • 2022
  • 운장산 천문대에 있는 원격 유성 분광 관측 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총 3대의 고감도 CCD 카메라가 설치되었으며 2대의 CCD 카메라에는 렌즈 전면에 회절 격자를 부착하였다. 시스템은 2019년 11월에 설치되었고, f/1.2 렌즈와 결합된 고감도의 "Watec-902H2" 카메라가 사용되었다. 스펙트럼 관찰을 위한 회절 격자는 500 l/mm이 사용되었다. 관측은 2019년 11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유성 탐지 및 후속 분석을 위해 SonotaCo UFO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사용했으며, 유성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RSpec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관측영상을 활용하기 위해 Astronomical Calibration과 Photometric Calibration을 수행하였고, 최종적으로 유성의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유성 분광 관측 시스템의 설치와 설정/운영 경험을 설명하고 첫 번째 관측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결과를 통해 유성의 기원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