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aining Teeth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3초

치근면 활택술후 치질삭제와 표면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ss of Tooth Substance and Surface Changes following Root Planing)

  • 허수례;김수아;서석란;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351-37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 vitro effects of the loss of tooth substance and root surface changes following root planing with various periodontal instruments. The 39 extracted human teeth due to severe periodontal disease were included. The total 50 root surfaces of 30 teeth were root planed with following instruments : Group 1, with Gracey curette, Group 2, with ultrasonic scaler, Group 3, with rotating root planing bur, Group 4, with Gracey curette plus rubber cup polishing, and Group 5, with ultrasonic scaler plus rubber cup polishing. Following root planing, the amount of tooth substance los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removed tooth substance and then 5 specimens ($5{\times}5{\times}2mm$)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each group for roughness measurement. Root planed areas of each specimen were subjected to five measurements using the Profilometer and an average surface roughness values(Ra) for each group was obtained. Statistical difference for roughness values of each group was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student t-test.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SEM) examination of root surface changes following root planing, 15 root surfaces of remaining 9 teeth were root planed and 3 specimens were randomly selected. The mean loss of tooth substance removed was Group 1, $7.0{\pm}1.09mg$, Group 2, $1.3{\pm}1.00mg$, Group 3, $5.8{\pm}1.72mg$, Group 4, $8.7{\pm}1.34mg$, and Group 5, $4.5{\pm}1.68mg$ following root palning,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urette is effective instrument in the respect of diseased root substance removal. The average surface roughness values are following results : Group 1 and Group 4 were the smoothest surface ($Ra=0.34{\pm}0.06{\mu}m$, $Ra=0.34{\pm}0.04{\mu}m$, respectively) and Group 2 was the roughest surface ($Ra=2.09{\pm}0.06{\mu}m$). Statistical analysis of roughness values demonstrated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each experimental group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oughness valu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 1 and Group 4.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that curette and/or polishing procedure should be done after root planing with ultrasonic scaler and caution should be used with dia-mond-coated bur during routine root planing procedure.

  • PDF

노인장기요양 환자의 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Long-Term Care)

  • 심미애;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9-389
    • /
    • 2014
  • 요양병원에서 6개월 이상 입원 가료중인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였고, 전신질환 및 우울감 상태를 파악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요인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는 11.22개였고, 우식치아 수는 1.17개, 동요치아 수는 0.93개였으며, 81.9%에서 구취가 확인되었다. 전신질환이 없거나 한 가지 미만인 경우는 29.70%에 불과하였고, 70.31%가 두 개 이상의 복합적인 전신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대상자의 87.8%에서 우울감이 있었으며, 이 중 55.40% 는 심한 우울감을 나타냈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평균 2.62점이었고, 관련요인으로는 요양등급, 입원기간, 연령과 함께 잔존치아 수와 우식치아 수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에 장기입원 중인 노인환자는 일반노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전신질환 수와 우울감이 높고,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아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인구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며, 특히 요양시설 노인환자를 위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선천성 양측성 구순구개열 환자의 구비강 연결 폐쇄를 위한 상악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Prosthetic treatment for patient with congenital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to close oro-nasal communication using maxillary double crown and clasp retained removable denture)

  • 도석주;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8-23
    • /
    • 2019
  • 구순구개열의 존재로 인한 음식물 비강이동, 상악 열성장에 의한 교차교합, 발음, 심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악 구개열 근처 잔존치를 이중관으로 수복하고 구치부위는 구강형성(mouth preparation)을 이용한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연합하여 사용하였다. 구개열로 인한 점막 지지의 소실을 이중관으로 보충해 줄 수 있고, 지대치의 발치시 수리가 쉬운 장점도 있다. 본 증례는 상악에 몇 개의 남은 치아와 구순구개열을 가진 55세 여자 환자에서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동시에 사용하여 구강비강 결손을 수복한 경우로 이중관과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연합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구순구개열 환자에서의 구강비강연결을 차단할 수 있고, 교차교합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었다. 또한 이중관 지대치의 이용과 구치부의 고리 유지형 국소의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심미와 발음을 개선할 수 있었다.

실패한 이중관 국소의치에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한 임상증례 (A clinical report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 with friction pin in a failed double crown denture case)

  • 박종훈;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201-209
    • /
    • 2021
  •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 시 유지력을 얻는 방법에 따라 많은 연구와 임상적인 적용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중 한 종류인 이중관 의치는 독일과 스웨덴과 같은 유럽의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는 구강 위생관리의 편의성, 지대치로 교합력의 수직적인 전달, 그리고 지대치들 간의 2차적인 고정과 같은 장점들이 있어 클라스프 유지형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임상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 처음에 환자는 자연치를 이용하여 상악에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의치를 제작하였습니다. 7년 뒤 환자의 불량한 구강위생관리 습관과 정기검진의 부재로 지대치들에 치주염이 발생하였고 5개중 4개의 자연치 지대치를 발치하게 되었다. 남은 1개의 자연치 지대치의 내관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3개의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대합치인 하악이 고정성 보철임에도 불구하고 전략적인 임플란트 식립으로 인해 환자는 새롭게 제작된 상악 치아-임플란트 연합 이중관 의치에 적응하였고 만족하였다.

CAD-CAM을 이용한 RPD 지대치의 retrofit crown 제작 증례 (Fabricating retrofit crowns to an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by CAD-CAM: a case report)

  • 이혁순;김성아;방주혁;김성용;장희원;이근우;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40-145
    • /
    • 2024
  •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잔존 치아가 우식, 마모, 부식, 파절 등의 이유로 보철 수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가철성 국소의치의 구조물과 접촉하는 부분이 많은 지대치의 보철 수복이 필요한 경우,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 후 가철성 국소의치를 새로 제작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다. 이럴 경우, 환자가 적응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 한편, 손상된 치아 외에 구강 내 다른 부분에서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및 안정을 일부분 제공하는 경우 기존 국소의치의 사용은 임상적으로 양호하다. 이 때 기존 국소의치를 유지하면서 해당 치아를 보철 수복한다면, 환자는 불편과 비용을 줄이면서 기존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국소의치에 맞추어 보철을 제작하는 retrofit crown 제작과정에서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D-CAM)의 발전과 지르코니아의 물리적 성질이 개선되면서 디지털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하악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지대치가 심하게 마모되어 국소의치에 맞추어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제작한 케이스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양측성 단일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하악 임플 란트 보조 국소의치 수복 증례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bilateral single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 a case report)

  • 최서준;문홍석;김재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46-156
    • /
    • 2024
  •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의 치료는 오래전부터 여러 형태로 시도되어 왔으며, 이 중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 국소의치의 경우 점차 예지성을 얻고 있으며, 특히 경제적, 해부학적으로 불리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한 가지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는 치료 목적에 따라 전방 식립과 후방 식립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환자의 치조제, 잔존치 예후, 대합치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 Kennedy 1급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두 개의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활용한 하악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를 통해 수복하였다. 본 환자에게 후방 식립이 어렵다는 점과 잔존치의 예후를 고려하여 임플란트를 잔존치에 근접한 부위에 두 개를 식립하는 것이 계획되었으며, 가이드 수술을 통해 계획한 위치, 각도, 깊이에 식립되었다. 고정성 보철물 제작 과정은 상악 무치악 치아 배열 과정과 병행하여 예지성을 높였고, 국소의치를 제작 시에는 임플란트가 최후방 지대치로서 과도한 하중이 가하지 않도록 기능 운동을 허용하는 형태로 디자인되고, 이차 인상 과정을 거쳐 제작되었다. 각 치료 과정을 계획한대로 진행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구개근 절제술을 이용한 상악 제일 대구치의 치료 (Palatal root resection of compromised maxillary first molars)

  • 정성념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3호
    • /
    • pp.375-381
    • /
    • 2009
  • Purpose: Root resection can be a valuable procedure when the tooth in question has a high strategic value. The prognosis of root resection has been well documented in previous studies, but the results focused on the palatal root resection have not been discussed in depth. I represent here the short term effectiveness of palatal root resection of maxillary first molars. Methods: Palatal root resection was performed on maxillary first molars of three patients. All the palatal roots were floating state on the radiographic finding and showed full probing depth and purulent exudation at initial examination. Reduction of palatal cusp and occlusal table was performed concomitantly. Endodontic therapy was completed after root resection. Results: Compromised maxillary first molars were treated successfully by palatal root resection in 3 cases. The mobility of resected tooth was decreased a little bit. The probing pocket depth of remaining buccal roots was not increased compared to initial depth. All the patients satisfied with comfort and cost effective results and the fact they could save their natural teeth. Conclusions: Within the above results, palatal root resection is an effective procedure treating compromised maxillary first molar showing advanced palatal bone loss to root apex with or without pulp involvement when proper case selection is performed.

Formocresol, Glutaraldehyde가 유견 계승치 치배 및 주위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병리조직학적 연구 (THE EFFECTS OF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ON THE PERFORATED INTERRADICULAR TISSUES AND TOOTH GERMS OF PRIMARY TEETH IN DOGS)

  • 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63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to tooth germs and periapical tissues after perforation of interradicular portion of pulpal floor and application of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in control groups,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in experimental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control groups, normal healing processes were seen, and, on the sixteenth day, the epithelization of injured areas was completed. Inflammatory reactions were limited to the injured surface, and the underlying alveolar bone were normal and successive tooth germs were normal. 2. In both formocresol groups and glutaraldehyde groups, tissue reactions were identical. Inflammatory reactions were sligh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but the surface epithelizations were delay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In both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groups, necrosis was seen in superficial tissue of bone marrow, and, at 24th day, center area of bone marrow on the successive tooth germs were losed and replaced with connective tissue, and superficial soft tissue of the injured area was connected with soft tissue on the successive tooth germ. In remaining alveolar bone, osteoclastic reaction was remarkable. 4. In both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groups, there is no injury to the successive tooth germs. 5. In both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groups, periodontal membrane was normal, but the partial resorption of cementum and dentin near the injured area were seen.

  • PDF

법랑아세포종 제거후의 Implant보철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THE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BY USING OSSEOINTEGRATE IMPLANT AFTER REMOVAL OF AMELOBLASTOMA)

  • 안상헌;김종필;조병완;안재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5-102
    • /
    • 1997
  • Ameloblastoma is the most agrressive ofht odontogenic tumors and it arises from the dental lamina or the derivatives of lamina. Ameloblastoma is a benign but locally invasive neoplasm consisting of proliferating odontogenic epithelium lying in a fibrous stroma. Usually the ameloblastomas are diagnosed in the forth and fifth decardes. Over 80% of them occur in the mandible, the remainder in the maxilla. The preferred treatment for ameloblastoma is radical excision, conserving(when possible.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The functional and esthetic rehabilitation of the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may prevent the remaining structures from supporting conventional prosthetic treatment. Patients with long edentulous spans, malpositioned teeth, residual ridges defects and high muscle attachments may be offered an osseointegrated fixed prosthesis.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provide a viable alternative of tooth replacement. This is a case report of 16 year old female with ameloblastoma. We treated patient with radical excision, conserving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and allogenous bone graft. The defected residual ridge area was reconstructed implants(Steri-Oss Implant System). the result was satisfactory.

  • PDF

치근 이개부 병소의 치근처방법에 따른 주사현미경적 연구 (The SEM Observation of The Various Root Treatment Effect On Furcation Area)

  • 박현수;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205-215
    • /
    • 1997
  • In periodontal regeneration treatment, access to the frucation area is very difficult. Thus complete removal of plaque, calculus and endotoxin is somewhat impossible. In this study, teeth that were extracted due to periodontal disease were used. The furcation area was treated with periodontal curette, ultrasonic scaler, roto bur and they observed using SEM. The result was follows 1. The group treatment with curette showed remaining plaque, the cementum existed in most of the surface and partial dentinal tubule orifice could be seen. 2. The group treatment with ultrasonic scaler showed less removalof plaque compared to curette and irregular surface could be seen. 3. The group treatment with roto bur showed cleaner surface and many dentinal tubule orifice could be seen compared to the curette and ultrasonic scaler groups. Thus when suing treatments such as bone grafting 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furcation area should be treatment with Roto bu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