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ed Document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28초

The Bethesda System 2001의 최신지견 (The Bethedsa System 2001 Workshop Report)

  • 홍은경;남종희;박문향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5
    • /
    • 2001
  • The Bethesda System (TBS) was first developed in 1988 for the need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of the cytopathologic findings to the referring physician in unambiguous diagnostic terms.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reporting system should reflect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esis of cervical/vaginal disease so the framework of the reporting system should be flexible enough to accommodate advances in medicine including virology, molecular biology, and pathology. Three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BS, the second Bethesda workshop was held to set or amend diagnostic criteria for each categories of TBS. TBS 1991 is now widely used. The third Bethesda workshop, The Bethesda System 2001 Workshop, was held in National Cancer institute Bethesda, Maryland from April 30 to May 2, 2001. Again, the goals of this workshop were to promot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to clarify in reporting cervical cytopathology results to clinicians and to provide with the information to make appropriate decisions about diagnosis and treatment. Nine forum groups were made and there were Web-based bulletin board discussions between October, 2000 and the first week of April, 2001. On the basis of bulletin board comments and discussions, the forum moderators recommended revised terminologies in the Workshop. Hot discussions were followed after the presentation by forum moderators during the workshop. Terminologies confusing clinicians and providing no additional informations regarding patient management were deleted in the workshop to clarify the cervicovaginal cytology results. Any informations related to the patient management were encouraged to add. So 'Satisfactory for evaluation but limited by...' of 'Specimen Adequacy' catergory was deleted. Terminology of 'Unsatisfactory' was further specified as 'Specimen rejected' and 'Specimen processed and examined, but unsatisfactory'. Terminologies of 'Benign Cellular Change' and 'Within Normal Limits' were combined and terminology was changed to 'Negative for intraepithelial lesion or malignancy'. In General categorization, category 'Other' was newly inserted and the presence of 'Endometrial cells' in women over 40 years old can be checked. Although the category 'Benign Cellular Change' was deleted, the organisms or reactive changes of this category can be listed in the descriptive diagnoses. Terminologies of ASCUS and AGUS were changed to atypical squamous cell and atypical glandular cell, respectively. Diagnostic term of 'Adenocarcinoma in situ', which is highly reproducible with reliable diagnostic criteria, was newly Inserted. The category of hormonal evaluation was deleted. Criteria for liquid-based specimen were discussed. Reporting by computer-assisted cytology was discussed and terminology for automated review was newly inserted. This is not the final edition of Bethesda 2001. The final document can be prepared before the ASCCP meeting in which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n Cytology Abnormalities and Cervical Precursors will develop in September 2001.

  • PDF

공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 for Assessment the Attitude toward Engineering)

  • 최유현;박기문;류승민;이정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1-178
    • /
    • 2009
  • 이 연구는 공과대학생들의 공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기초로 공학에 대한 태도의 조작적 정의와 범주를 마련하였고 공학에 대한 태도 측정 문항을 개발한 후, 공과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는 태도의 본질적 측면에 근거하여 인지적 변인으로는 '공학의 가치에 대한 태도'와 정의적 변인으로 '공학에 대한 일반적 태도와 공학 학습에 대한 태도', 행동적 변인으로 '공학 활동에의 참여'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하위영역은 첫째, 공학의 가치에 대한 태도에는 학문/직업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개인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둘째, 공학에 대한 일반적 태도와 공학학습에 대한 태도에는 일반적 태도, 공학학습에 대한 태도(자아효능감, 두려움, 흥미, 협동)로 분류되었다. 셋째, 공학 활동에의 참여는 공학 학습에 대한 태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검사 도구를 현장에 적용한 결과, 공학학습에 대한 태도 중에서 자기 개념과 자아효능감을 자아효능감으로 통합하고 1개 문항의 독단적 요인 수는 제거하였으며, 요인분석(Verimax)을 통해 최종적으로 3개 변인과 9개 하위영역, 39개 문항으로 구성된 대한 일반를 '공학에 대한 학에 대한 일반'(Instrument of Assessment the Attitude toward Engineering, IAAE)로 명명하였다. 이 측정 도구는 공과대학생의 공학에 접근하는 태도를 알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면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조선 왕실의료문헌과 문집에 나타난 우각구법(牛角灸法) 연구 (Study on Horn-shaped Moxa Treatment in the Annals and Anthologies of Joseon-Korea)

  • 오준호;김진희;안상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48
    • /
    • 2010
  • Objectives: Moxa treatment has outstanding effects that are frequently facilitated in a clinical setting, and it is also known to have positive effects for immunity and relief of pain through various studies. Currently, moxa treatment has become diversified in many ways. One of the moxa treatment techniques that was frequently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Woogakgubeop (牛角灸法, horn-shaped moxa treatment). This articles aims to disclose the fact that the Woogakgubeop is the technique applicable to the origin of the Large moxa treatments of today. Also, the writings of Woogakgubeop recorded in the royal medical documentations, such as the Chronicles of the Royal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the Seungjeonwonilgi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and others, a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gakgubeop are cleared through it. Methods: From the royal medical documents, the Chronicles of the Royal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Seungjeonwonilgi, articles related Woogakgubeop were extracted and analyzed. Records of each document were facilitated for the DB search. In addition to these two documents, the records of written literature were surveyed as well. The written literature are appropriate to express the experiences of intellectuals at the time. Results and Conclusions: 1. Considering that Woogakgubeop is a single therapy, there exists relatively many records in addition to the specialized medical documents, and through them, it is known that Woogakgubeop was a widely known therapy in the middle to later parts of Joseon in general. 2. Woogakgubeop is a method that addresses problems contained within the existing moxa treatment techniques. By enlarging the size of the mugwort wick, it strengthens the heat energy of the moxa treatment to reduce the frequency of applying moxa treatment. When undertaking the method to empty the wick inside the mugwort, the pain of a fever patient will be reduced and burn damage to the skin is minimized. 3. Wind-cold type weakness and other general moxa treatment techniques have been used for various symptoms detailed, including chest pain, tinnitus, carbuncle, cellulites, cold sense of leg, colic, diarrhea and other illnesses. In addition, it may generate strong fever, and was used to implement the Yeonjebeop (煉臍法). 4. Woogakgubeop is applicable to the origin of Large moxa treatment of today and it provides important bibliographic base thereof.

한국에서의 건강영향평가 도입 방안 (Introduction Scheme of Health Impact Assessment in Korea)

  • 김임순;한영한;한상욱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6호
    • /
    • pp.511-524
    • /
    • 2007
  • Korea has 30 years of experience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lthough EIA includes sanitation-public health factor, considering health impacts, among 74 unit projects of 17 sections, health impacts haven't been properly considered or have been ignored in many cases. The increasing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health impacts has triggered this study to seek an optimal introduction scheme of health impact assessment (HIA). The processes of EIA already include screening, scoping, analysis, impact assessment, consultation, document review, decision making and monitoring, in which they would be the essential parts of HIA. In this context, integrating HIA into the existing EIA process could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use the benefits in both legal and procedural processes existed and to avoid the confusion and overlapping since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 and health impacts might be. Furthermore, it is desirable that the existing sanitation-public health factor should be substituted by and extended to environment-health factor with sufficient determinants to properly consider health impacts. When considering the first step of HIA, the prospec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is suitable more than the retrospective and quantitative one due to the lack of database accumulated. Similarly, an approach based on epidemiology and toxicology could analyze the limited evidences and impacts related to human disease, whereas one based on socio-science and psychology could provide the effective means available for predicting how the people and community will act by the change of surroundings. Checklist approach with various and comprehensive health determinants focused on prospec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ill be very useful for more convenient and progressive dissemination of HIA. Various checklist approaches of toolkits could be found from HIA documents elsewhere, for example Westminster Toolkit, and they would be helpful to figure out how to develop common procedures and health determinants for checklist, in whic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n korean cultural and political context compared to abroad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since checklist would be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part of HIA. After the establishment of checklist and procedural processes, the pilot projects should be conducted. Main purpose of pilot projects is to apparently prove the effectiveness and profitability of HIA. Pilot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to decide the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of HIA for future projects, programs and policies, and should be provided as the positive cases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proper implementation and progress.

CT 전문방사선사 교육을 위한 웹기반 문항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roblem Management System for CT Radiological Technologist Education)

  • 신용원;구봉오;심춘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7-35
    • /
    • 2005
  • 최근 의료 및 보건 분야의 정보화가 급격히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보건 분야 중의 전문방사선사와 관련된 의료 및 교육 컨텐츠 개발에 해당하는 시험문제 개발이나 관리가 여전히 수작업이나 문서편집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방식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T 방사선사 전문자격증 취득 및 보수교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문항들을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지 효율적으로 문항을 출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웹기반 문항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관리자 모듈과 사용자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리자 모듈 내에서는 관련 있는 문항들을 그룹핑할 수 있는 분류관리와 문항출제 및 사용자관리, 난이도조절등과 같은 기능이 있으며, 사용자 모듈에서는 시험응시, 문항검색, 개인성적 조회, 해설듣기 등과 같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구현된 문항관리시스템은 CT전문방사선사 자격시험을 준비하는 방사선사들에게 정보교류, 의료컨텐츠 제공 및 학습능력 배양시킬 뿐만 아니라, 테스트 후 성적결과의 분석 및 문제해설까지 제공하는 활용가치가 높은 시스템으로 기대된다.

  • PDF

자아 중심 주제 인용분석을 활용한 딥러닝 연구동향 분석 (Deep Learning Research Trends Analysis with Ego Centered Topic Citation Analysi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32
    • /
    • 2017
  • 최근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딥러닝이 혁신적인 기계학습 기법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딥러닝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자아 중심 주제 인용분석 기법을 변형하여 응용해보았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에서 'deep learning'으로 탐색하여 검색된 문헌 중 소수의 씨앗 문헌으로부터 인용 관계를 통해 분석 대상 문헌을 확보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씨앗 문헌을 인용하는 최근 논문들을 딥러닝 분야의 현행 연구를 반영하는 자아 문헌집합으로 설정하였다. 자아 문헌으로부터 빈번히 인용된 선행 연구들은 딥러닝 분야의 연구 주제를 나타내는 인용 정체성 문헌집합으로 설정하였다. 자아 문헌집합에 대해서는 공저 네트워크 분석을 비롯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국가와 연구 기관을 파악하였다. 인용 정체성 문헌들에 대해서는 동시인용 분석을 실시하고, 도출된 문헌 군집을 인용하는 주요 키워드인 인용 이미지 키워드를 파악하여 주요 문헌과 주요 연구 주제를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특정 주제에 대한 인용 영향력이 성장하는 추세를 반영하는 인용 성장지수 CGI를 제안하고 측정하여 딥러닝 분야의 선도 연구 주제가 변화하는 동향을 밝혔다.

이용자 행태 및 특성에 따른 어린이공원 시설 계획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ldren's Park Facility Planning Scheme according to User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 이동훈;이석환;백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32-241
    • /
    • 2016
  • 도시공원 중 어린이공원은 도시 내 다른 공원보다 접근성이 높아 이용자가 많으며 어린이들의 놀이공간만이 아닌 지역주민들의 휴식 및 여가생활공간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공원법에 의한 공학적구분에 따른 양적증가에 치중한 결과 다양한 계층의 이용자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단독주택지역과 공동주택지역의 어린이공원 이용실태를 분석하여 어린이공원 이용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그 중 이용빈도가 높은 시설물의 종류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함께 사례조사를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 어린이공원과 관련된 논문 및 연구보고서 등 자료를 바탕으로 이론적인 검토와 현황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대상지 어린이공원의 공원관리 담당자의 면담과 현장답사를 통해 입지, 시설, 관리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공원은 생활권 내 접근성이 높은 여가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관찰결과 이용자 대부분 체류 시간이 1시간에서 2시간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린이의 이용자들 보다 고령층의 이용자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어린이공원을 계획하고 조성함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인 다목적 근린형 어린이공원에 따른 배치방식으로 계획하여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나리족, 향선나무족, Myxopyrum속(물푸레나무과)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Comparative anatomy of petiole in Forsythieae, Fontanesieae and Myxopyrum (Oleaceae)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

  • 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0-63
    • /
    • 2012
  • 개나리족(Abeliophyllum: 1 sp., Forsythia: 12 spp.)과 향선나무족(Fontanesia: 2 spp.) 및 근연분류군인 Myxopyreae족(Myxopyrum: 5 spp.)을 포함한 총 20분류군의 엽병의 해부학적인 형질을 검토하고자 광학현미경(LM)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모든 해부학적 형질은 엽병의 횡단면을 단부, 중앙부, 기부로 나누어 관찰하였고, 측정된 정량적 형질과 정성적 형질에 대해 자세히 비교하고 기재하였다. 세 가지 유형(침상, 프리즘형, 선정체)의 결정체가 Fontanesia속과 Myxopyrum속에서만 확인되었다. 미선나무속과 개나리속의 일부 분류군(Forsythia europaea, F. giraldiana, F. japonica)에서만 단세포성 비선모(un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엽병의 유관속 패턴을 크게 두 타입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Type 1A: 결정체가 존재하지 않는 단순호형(Abeliophyllum, Forsythia), 1B: 결정체가 존재하는 단순호형(Myxopyrum), Type 2: 결정체가 존재하는 함입호형(Fontanesia). 또한 세부적인 해부학적 형질에 대해 자세히 기재하였고, 분류학적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부 엽병 해부학적 형질(예, 주유관속 패턴, 결정체의 유무)은 진단형질로서 유용할 뿐 아니라 최근의 분자계통학적 결과를 지지하였다.

십간십이지의 기원에 관한 문헌적 고찰 (The Literature Study about the Origin of Sipgan-Sipiji)

  • 나혁진;김기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117-124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음양오행이 배속되어 있는 십간십이지의 기원과 의의에 대하여 고찰해보는 것이다. 십간과 십이지가 고대 중국 역법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는 가설과 신화적인 기록이라고 할지라도 고전문헌에 기록된 자료의 내용, 고고학적으로 갑골문자에 남겨진 기록 등을 차례로 살펴봄으로써 동양 인문사회과학에서 기필코 간과할 수 없는 십간십이지에 대한 시작점을 탐색해 나가고자 하였다. 십간십이지의 문헌적 고찰을 통해 이 부호체계는 신석기 후기 부계 씨족사회를 이끌던 황제와 그의 스승 대요에 의해 완성되었을 것이라고 본 연구자는 생각한다. 그 이유는 제순시대에 남겨진 고대 천상대 유물이 십간과 연관된 10월력의 사용을 뒷받침하고, 갑골문에 나타난 십간이 신성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역법에 사용되었음을 볼 때 시간을 기록화하고자 하였던 역법의 시대와 그 궤를 같이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명리학에 대한 이론체계의 논리성 담보, 그리고 통계적 사회과학 기법을 통한 증명 등 부단한 연구 노력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그 근간이 되는 십간십이지에 대한 이 문헌적 고찰이 향후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국내 푸드 코디네이션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 2000~2008년 논문을 중심으로 - (Trend Analysis of Food Coordination-related Studies Conducted from 2000 to 2008)

  • 권용석;홍완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8-236
    • /
    • 2010
  • 푸드 코디네이션 분야는 90년대 말에 국내에 소개되었고, 현재까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문에 대한 분류의 기준과 용어에 대해 표준화 된 체계조차 잡혀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8년 사이에 국내에서 발행된 푸드 코디네이션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모두 335편이었다. 내용분석과 문헌연구에 의한 유목 분류는 연구 주제, 논문의 연구형식 및 조사방법, 분석 방법, 논문의 연구대상, 연구 조사지역 및 조사대상자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유목 분류는 연구주제를 분류하는 것이다. 10개의 분류된 연구주제는 1) 푸드 코디네이션의 정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2) 식공간 환경에 관한 연구, 3) 색채, 패키지(포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 4) 테이블 세팅, 식사 매너 및 에티켓에 관한 연구, 5) 사진, 편집 디자인, 아이덴티티 디자인 및 메뉴에 관한 연구, 6) 식공간 구성요소, 테이블/글라스 웨어에 관한 연구, 7) 감성, 오감 및 요리 코디에 관한 연구, 8) 직무, 인적 자원에 관한 연구, 9) 평론, 식문화 및 교육에 관한 연구, 10) 구매, 소비자 행동, 경영및 마케팅에 관한 연구로 나누었다. 위의 10가지 연구주제 중 식공간 구성요소, 테이블/글라스 웨어에 관한 연구(23.6%)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색채, 패키지(포장) 디자인에 관한 연구(17%), 구매, 소비자행동, 경영 및 마케팅에 관한 연구(14.6%), 식공간 환경에 관한 연구(13.4%), 평론, 식문화 및 교육에 관한 연구(9.6%)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5가지 주제로 연구된 논문이 전체의 75%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